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흥의 미륵하생관 -분과와 사상을 중심으로

        박민현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4 南道文化硏究 Vol.- No.52

        경흥은 통일신라 시대의 학승으로서 수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중에 현존하는 것이바로 삼미륵경소 이다. 삼미륵경소 는 미륵상생경 , 미륵하생경 , 미륵하생성불경 에 대한 주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이 가운데 미륵하생경소 와 미륵하생성불경소 에 대한 분과와 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경전에 대한 분과를 흔히과문이라고 한다. 과문은 경론을 해석하고 이해함에 있어 그 구조를 내용과 의미에 따라나누어 도식화한 도표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문은 경전을 이해하는 주요 방편으로서 경전 해석학의 기본도구로 자리 잡게 되었다. 먼저 경흥은 두 경전의 큰 요의를 3문으로 나누었다. 이것은 경흥이 미륵상생경 의 분과에 있어 규기의 영향을 받은 것과 달리*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과제번호)(NRF-2021S1A5B5A17052414). https://doi.org/10.31929/namdo.2024.52.78 남도문화연구 제52집(2024.8) 무언가 차별화를 꾀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주석서들이 없어 이것이 경흥의독창적인 분과방식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 그런데 경흥의 분과과정에는 크게 두 가지문제점이 있다. 그중 하나는 과목에 대한 불분명한 명명이고, 다른 하나는 분과 자체의오류이다. 하지만 내용분석을 통해 그 오류를 바로잡았으며 이는 경흥의 분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경흥이 표방하고 있는 하생사상의 특징은 경론에 대한회통으로 규정할 수 있다. 경흥은 여러 경론들의 이견을 근기설에 입각하여 회통하였다. 이는 여러 경전을 대하는 사람들의 혼란이나 불신을 방지하기 위한 자비심의 발로였다고할 수 있을 것이다. Gyeongheung left numerous writings as a scholar of the Unified Silla Period. One of them is the 三彌勒經疎 that currently exists. 三彌勒經疎 consists of annotations for 彌勒上生經 , 彌勒下生經 , 彌勒下生成佛經 . Among them, this study examined the text-division (分科) and idea of 彌 勒下生經疎 and 彌勒下生成佛經疎 . In general, the text-division of the scriptures is referred to as sentence-division (科文). Sentence-division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criptu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meaning, that aids in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the scriptures. This method has become a fundamental tool for hermeneutics, serving as a major means of understanding the scriptures. Gyeongheung first divided the major themes of the two scriptures into three subjects. It appears that Gyeongheung attempted to differentiate his approach from the influence of Kyu-ki in the text-division of the 彌勒上生經 . However, there are no existing annotations, so it is unclear whether this text-division method was originally developed by Gyeongheung or not. Nonetheless, there are two major issues with Gyeongheung’s text-division process: one is the unclear naming of subjects, and the other is an error in the division itself. The error was corre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which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Gyeongheung’s text-division. Additionally,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heung’s concept of Rebirth can be defined as the reconciliation of the scriptures. Gyeongheung harmonized the differing views of various scriptures based on the theory of natural character. This can be seen as an expression of compassion, aimed at preventing confusion or distrust among those engaging with various scriptures.

      • KCI등재

        Differences in Performance of ADHD Children on a Visual and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ccording to IQ

        박민현,권용실,이수정,박이진,이철,이창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1 PSYCHIATRY INVESTIGATION Vol.8 No.3

        ObjectiveaaContinuous performance tests (CPTs) are frequently used in clinical practice to assess the attentiveness of ADHD children. Although most CPTs do not categorize T scores by intelligence, there is great diversity of opinion regard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CPT performanc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if ADHD children with superior IQs would perform better than ADHD children with average IQs. Additionally, we aimed to examine the need for CPTs’ to categorize according to IQ. MethodsaaParticipants were 326 outpatients, aged 5-15 years, diagnosed with ADHD.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Revised and a CPT. After excluding those who meet exclusion criteria, we had 266 patients for our analysis. ResultsaaThe “Highly Intelligent Group” (HIG), patients with IQs 120 and above, performed superiorly to the “Normally Intelligent Group” (NIG) patients, with IQs between 70 and 120, with regard to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s on the visual-auditory CPT, even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gender. The HIG had higher ratios of subjects with T scores <65 on the visual and auditory CPT variables than the NIG did. Conclusionaa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is CPT is not sensitive for discerning ADHD in children with superior IQs; thus, there is a need to standardize the variables based on IQ, as well as on age and gender. Moreover, clinician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effect of IQ in interpreting CPT scores; that is, a “normal” score does not rule out a diagnosis of ADHD.

      • KCI등재

        돌출귀의 교정

        박민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6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9 No.3

        External ear anomaly was not uncommon disease. The spectrum of anomaly is wide, from mild anomalies including prominent ears, cryptotia to absence of external ear. In western countries, prominent ears were common and surgical correction was usually performed in their childhood period. However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prominent ears were not considered correcting condition. Many techniques and skills were introduced to perform otoplasty since 19th century. For improving surgical result of otoplasty, operator should choose suitable surgical techniques considering patient’s condition in these techniques and can read demands of patient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6;59(3):188-93

      • KCI등재
      • KCI등재

        이경화증 환자에서 등골 수술 후 청력변화의 양상

        박민현,오승하,김종선,장선오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8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1 No.10

        Hearing loss is the main symptom of otosclerosis. Stapes surgery could restore the hearing ability, but the amount of restoration was changed as time pass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outcome of primary stapes surgery in otosclerosis and to compare hearing changes in stapedectomy and stapedotomy group. Subjects and Method:This study involved 221 ears, which were operated on for otosclerosi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83 to 2005. We analyzed the hearing results of stapes surgery regarding air conduction, bone conduction, air-bone gap using the operation methods in preoperative, postoperative 1, 3, 6, 12, 24 months and after 36-months period. Results:Stapedectomy was performed in 75 ears and stapedotomy in 146 ears.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mean age, preoperative hearing between stapedectomy and stapedotomy group. In the postoperative period, hearing threshold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preoperative period in each group. The stapedectomy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f air conduction and reduction of AB gap than the stapedotomy group. Results of bone conduction showed no difference after the postoperative 12 months period between the two groups. Hearing improvement went on upto postoperative 12 months. Development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was found in two patients (2.7%) in the stapedectomy group and in one patient (0.68%) in the stapedotomy group. Conclusion:Stapedectomy showed better hearing results, but had more risks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in this study. (Korean J Otorhinolaryngol- Head Neck Surg 2008;51:872-7)

      • KCI등재

        미륵사상의 발생과 중심사상

        박민현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4 No.-

        불교사상에 있어 미륵사상은 아미타불의 정토사상과 함께 왕생사상을 대표하는 사상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미륵사상은 욕계천인 도솔천에의 왕생사상뿐만 아니라 미륵불의 중생구제라는 하생사상도 들어있어 불교 본연의 목적에 있어서는 결코 정토사상에 비해 뒤떨어진다고 할 수 없다. 이러한 미륵사상은 미륵6부경을 통해서 그 전모를 살펴볼 수 있지만, 그 사상은 이미 초기의 아함경전들에 단편적으로 또는 축약적으로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상생사상은 아함경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도솔천에 존재하는 미륵보살의 존재에 대해서는 밝히고 있으며, 하생사상은 비교적 풍부하게 그 사상이 이미 설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미륵상생경 과 하생경 류의 내용적인 분류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이 두 부류의 성립시기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그 성립시기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재 통용되고 있는 학설로는 미륵상생경 이 하생경 류 보다 늦게 성립되었다고 보고 있지만, 증일아함경 의 「서품」과 축법호 역의 미륵하생경 의 내용, 나머지 하생경 류의 내용을 살펴보면 꼭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내용을 종합하면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미륵상생경 은 적어도 현존하는 하생경 류 보다는 먼저 성립하였다고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아무튼 미륵사상은 이미 아함경 단계에서부터 그 사상의 전모가 드러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후대에 미륵사상은 미륵관계 경전에서 그 완성을 보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ought on Maitreya, there are the rebirth of Tushita Heaven in the Heaven of desires and the thought of birth in this land that is the salvation of sentient beings. It means that the thought on Maitreya never falls behind than the thought of Pure Land in the original purpose of Buddhism. The rebirth of Tushita Heaven is to take an easy passage into eternity from Tushita Heaven after death and the thought of birth in this land is to receive a relief that will become a Buddha when Maitreya comes down to the ground after 5.6 billion years. It can look at the entire contents through the six scriptures of Maitreya and implicitly confirm such ideas in early agama .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out the form and substance of thought on Maitreya in early agama and to consider how they affects the later scriptures associated with Maitreya.

      • KCI등재

        미륵보살과 그 하생시기에 대한 고찰

        박민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3 南道文化硏究 Vol.- No.49

        Maitreya ideology along with Amitabha ideology are important ideas that perform significant roles in Buddhism. Also, Maitreya ideology is a very friendly idea in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world we live in. And Maitreyabodhisattva are important ideological backgrounds and bodhisattva of this Maitreya ideology. It is known that Maitreyabodhisattva is currently dwelling in Tuṣita-deva and edifying the heavenly people there.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when this Maitreyabodhisattva will be born on this land. This is because the rebirth of the Maitreyabodhisattva is not irrelevant to the expectation of removing the anguish and pain of the people by making this world a Buddhist land. In addition, there are many places in the Three Scriptures to the rebirth period of Maitreyabodhisattva. And looking at this, there are a total of 18 types. Therefore, the specific time is very diverse so it is too difficult to unify all into one. As far as we know, 5.67 billion years is only a theory of 賢愚經 or 菩薩處胎經 . But this cannot represent the rebirth time. And this doesn’t even fit with arithmetic calculations. Therefore, we need a consensus to doctrinally unify the rebirth time of the Maitreyabodhisattva. And one of the methodologies is the lifespan of Tuṣita-deva which is consistent with all doctrines. According to the Buddhist doctrine, the lifespan of Tuṣita-deva is 4,000 years and this is all said to be consistent throughout the Three Scriptures. And 400 years of the human lifespan corresponds to a day of Tuṣita-deva. According to this calculation, Tuṣita-deva’s 4,000 years correspond to the 576 million years of the human world. Maitreyabodhisattva is said to come down to the human world after spending 4,000 years in Tuṣita-deva. Based on that Maitreyabodhisattva is reborn 576 million years after Buddha's death. And the scriptures that accurately describe this are 本事經 and 分別論 . In general, all scriptures are considered Buddha's words. Therefore, the contents of each scripture cannot be ignored unilaterally. There is a need to unify the rebirth time of the Maitreyabodhisattva to 576 million years.

      • KCI등재

        미륵의 명호와 미래불로서의 사상적 기반

        박민현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은 미래불로서의 미륵의 명호와 그 사상적 기반에 대해 고찰해 본 것이다. 먼저 미륵은 미륵이라는 이름 외에도 아일다(阿逸多, 아지타)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지만 언제부터 미륵이 아일다라는 이름을 동시에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아함경』을 비롯한 초기 불전들을 중심으로 그 둘의 상관성을 고찰해 보았다. 첫째로 『아함경』에는 총 다섯 개의 소경에 아지타란 이름이 등장하고, 미륵이라는 이름은 열다섯 개의 소경에 등장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아지타는 크게 부처님의 제자, 이교도 사문 만두의 제자, 그리고 6사외도의 아지타케사캄발리로 구분된다. 하지만 이들은 전혀 미륵과는 상관성이 없는 인물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륵은 수행과정에 따른 지위에 따라 네 가지 경우로 분별되어 독립적으로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부처님의 제자, 삼세 수행자로서의 미륵보살, 도솔천에 거주하는 일생보처보살로서의 미륵보살, 미래에 출세할 미래불로서의 미륵불이다. 특히『중아함경 「설본경」에서는 아지타와 미륵이 동시에 등장하지만, 이 둘은 전혀 상관성이 없는 각각의 부처님의 제자들이다. 이와 같이 볼 때 최소한 『아함경』 단계에서는 아지타와 미륵은 별개의 인물로서 설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로 『숫타니파타』와 『현우경』은 그 이야기의 구조와 내용의 유사성으로 인해 이 둘의 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는 훌륭한 자료들이다. 만일 이 두 경전이 동일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면 삥기야는 빈기기에 대응하고 아지타는 미륵에 대응하므로 아지타와 미륵을 동일인물로 간주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하지만 이 두 경전이 제작된 시기에는 어느 정도 시간적 차이가 존재하고, 두 경전의 동일성을 입증할 문헌학적, 역사학적 고증이 아직은 불충분하기 때문에 아지타와 미륵을 동일 인물로 단정 지을 수는 없다. 그렇다하더라도 그 가능성을 유추해볼 수 있는 가장 초기의 사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로 『법주기』에서는 부처님의 제자로서 16명의 대아라한이 등장하는데 이 중 열다섯 번째 인물이 바로 아지타이다. 그리고 여기에 나오는 아지타에 대한 내용은 보편적인 미륵사상과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기도 하고 전혀 상반되는 사상이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법주기』의 내용만으로는 아지타와 미륵이 동일인물이라고 단정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다. 하지만 설출세부의 율장에서 분리된 『마하바스투』에는 명확히 아지타와 미륵의 동일성이 밝혀져 있다. 그리고 『마하바스투』는 B.C 2세기부터 제작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대승경전들보다 그 제작시기가 앞선다고 볼 수 있으므로 아지타와 미륵의 동일성을 입증할 최초의 경전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제작 시기는 최대 A.D 4-5세기까지 이어지므로 쉽사리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미륵불이 석가모니불을 이어 다음 세대의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인증절차나 그를 입증할 사상적인 기반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수행중인 불제자에 불과한 미륵이 스스로 미래의 부처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설득력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사상적 기반 중의 하나가 바로 석가모니불 외에도 삼세에 걸쳐 수많은 부처가 존재한다는 삼세제불 사상이다. 과거불 사상은 석가모니불의 본생담 으로부터 비롯되어 그것이 일반화되고 정형화되었으며 궁극적으로는 과거에 셀 수 없이 많은 부처가 존재했었다는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대중부를 통해서는 시방의 모든 불국토에 현재 수많은 부처님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현재불 사상이 등장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아미타불은 현재 극락정토에 거주하고 있는 부처님이며, 이후 ‘4방불’, ‘6방불’, ‘10방불’ 등 시방의 무수한 불국토에 무수한 부처님들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미래불 사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사상은 성수겁천불 사상이다. 그리고 현겁천불은 구류손불부터 석가모니불까지의 과거불 사상뿐만 아니라 미륵불을 포함한 995명의 미래불 사상이 혼재되어 있다. 이렇듯 삼세에 부처가 존재한다는 사상을 토대로 본다면 미륵은 얼마든지 미래의 부처가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미 부처를 이룬 석가모니불의 수기와 부촉은 의심할 바 없는 확실한 인증이라고 할 수 있다. 『일체지광명선인경』이나 『중아함경』「설본경」, 『비화경』 등에는 미륵에 대한 부처님의 수기가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금첩가사나 자신이 입었던 분소의를 미륵에게 전해 주는 과정을 통해 그 수기에 대한 확실성을 담보하였다. 『잡보장경』이나 『현우경』, 『중아함경』「설본경」, 『아육왕경』 등에는 미륵을 자신의 대를 이을 미래의 부처로 모두에게 보증하였다. 즉 미륵은 결코 스스로 자신이 미래의 부처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와 같이 미륵은 불교 사상사에 있어서 삼세제불 사상 그리고 수기와 부촉사상을 통해 미래불로서의 그 지위와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었던 것이다. Maitreya has a different name in various Mahayana Sutras(大乘經典) including the Maitreya urdhva-janma sutra(彌勒上生經) that is a contemplation of Maitreya Bodhisattva ascending to the Tusita Heaven. It is the very ‘阿逸多’ that does a transliteration of Ajita. It is an important concern to we know when he becomes this name and comes to the same thing with it. Ajita is found in the Agama(阿含經),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However, this name has nothing to do with Maitreya and is just the disciple of Buddha or a person of non-Buddhist way. Therefore, I suggest that Maitreya and Ajita are different people at the Agama. It is also difficult to find the definitive answer about their relationship through 『Sutta-Nipāta』, 『賢愚經』, 『法住記』, 『Mahāvastu』 etc. Maitreya is the future Buddha, and therefore he will succeed Buddha as the Buddha of the future. It means that Maitreya needs the official process or ideological foundations in order to become the future Buddha. One of them is ‘the thought of all Buddhas’(三世諸佛). It is no question at all that Maitreya is the future Buddha because Buddha already exists three times over the past, present, and future. Moreover, there are conclusive evidences; one is the permission(授記) that receives a prediction of enlightenment, and the other is request(咐囑) that is the verbal promis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Buddha-dharma. According to this, Maitreya is firmly to establish the status of the future Buddha.

      •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질의 기반 에너지 인식 라우팅 기법

        박민현,김승남,정영준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7 정보통신논문지 Vol.11 No.-

        Efficient energy use is very important in wireless sensor networks that consist of sensor nodes that have limited energy. Specially, energy amount which is spent for message transmissions attributes most of whole energy consumption. It can say as method be said that minimizing message transmissions is a good way to increase a whole network life that minimizes these message transmission. This paper proposes Query-Specific Energy Awareness Routing Tree(QEART) that uses RD(Result Data) and residual energy of sensor nodes. QEART limits routing tree by cluster in hierarchical sensor networks and minimizes overhead to organize the routing tree. Also, that limits unnecessary message occurrence through partial data aggregation and packet union in networks using RD and residual energy of sensor node. As a result, that increase life of whole sensor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