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VMD 적합성이 소비자의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감정,인지이론과 인지,감정이론에 근거한 모델 검증-

        박민정,이소은 복식문화학회 2009 服飾文化硏究 Vol.17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in apparel shopping contexts. Two competing models are utilized. The first model is developed from the emotion-cognition theory which explains that environmental cues(i.e., VMD image appropriateness) generate consumers' emotion, and in turn, consumers' behaviors. The second model is developed based on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and posits that environmental cues stimulates consumers' cognitive perceptions of retail environments, subsequently influencing consumers'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 A 2(VMD image appropriateness: high vs. low)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experiment was conducted. Female college students(n=592)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found that the emotion-cognition model better explains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on consumer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VMD 구성요소와 브랜드 점포이미지에 관한 연구

        박민정(Min Jungpark),이소은(So Eun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다양한 유통형태의 확산으로 소비자에게 선택의 기회가 다양해지면서, 브랜드와 제품 선택의 기회뿐만 아니라 점포 선택에 대한 기회 또한 확대되었다. 소비자는 의류 구매 과정에서 제품과 함께 점포에 대한 선호 태도와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VMD는 시각적인 방법을 통해 고객의 구매심리를 작용하여 매출에 최대 효과를 거두고 독특한 점포 이미지를 연출하는 방식으로, SPA 브랜드들은 대형매장 자체를 마케팅 수단으로 삼아 매장을 최대한 노출시킴으로써 잠재 고객을 매장으로 유인할 뿐만 아니라 고객 접점의 극대화를 통한 판매율 향상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매장 환경에 주목하고 이에 투자하고 있다. 경쟁이 심화된 SPA 브랜드 마켓에서 VMD 구성요소와 효과적인 점포 이미지는 경쟁사와 차별화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점포이미지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VMD 구성요소의 전개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제한되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SPA브랜드의 VMD 구성요소가 점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VMD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활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남녀대학생을 239명을 대상으로 SPA 브랜드들 간의 VMD 구성요인에 대한 고객의 평가 차이를 분석하고 VMD 구성요인 중 SPA 브랜드 점포 이미지 형성에 기여한 VMD 구성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기업경영실적을 바탕으로 선정된 SPA 브랜드로 자라(ZARA), 갭(GAP), 에이치엔엠(H&M), 유니클로(UNIQLO), 포에버21(FOREVER21)이었다. SPA 브랜드간의 VMD의 구성요소의 비교 분석 결과, 연출에 대한 평가는 에이치엔엠(H&M)이 다른 SPA 브랜드들에 비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열의 경우 갭(GAP)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레이아웃과 동선의 경우는 갭(GAP), 유니클로(UNIQLO), 자라(ZARA)가 포에버21 (FOREVER21)과 에이치엔엠(H&M)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POP의 경우 유니클로(UNIQLO)가 나머지 브랜드들에 비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사드의 경우 에이치엔엠(H&M)이, 인적요인의 경우 갭(GAP)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환경적 요인에 대한 평가는 브랜드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MD 구성요인 중 SPA 브랜드의 점포 이미지 형성에 기여한 구성 요소로는, 연출과 레이아웃 및 동선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출 요인의 하위 요인으로 인테리어와 집기, VP/PP, 쇼윈도, 코디네이트의 순으로 점포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레이아웃 및 동선의 하위 요인 중 상품군 분류가 점포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PA 브랜드의 매출 증가와 점포 이미지 형성을 위해 적합한 VMD 구성요인 운용과 차별화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Due to the diffusion of diverse retailers, consumers have various opportunities to select not only brands and products but also stores. During the processes of clothing purchases and decision making, consumers tend to have attitudes toward products and stores and perceive store image. VMD is a visual strategy to stimulate consumer purchases, enhance sales volume, and present unique store image. SPA brands try to attract consumers to their stores and improve their sales by utilizing effective store environmental strategies. Appropriate VMD and store image can be one of effective strategies to differentiate from competitors in the competitive SPA brand market. Although the importance of effective VMD components as contributors to store image has been emphasized, the study on the topic was limi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MD components on store image of SPA brand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effective VMD strategies. Survey methodology was utilized and the sample of the study was 20`s female and male college students (N=239).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onsumer perceptions of VMD components across SPA brands, and examining which VMD components contributed to store image. The SPA brands for the study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mpany performance and were ZARA, GAP, H&M, UNIQLO, and FOREVER21. The study found the differences of SPA brands in terms of performance of VMD components. H&M was perceived as being superior to other brands in terms of visual presentation and GAP was perceived as being better than other brands regarding item presentation. GAP, UNIQLO and ZARA showed higher scores on layout & path of flow than FOREVER 21 and H&M. UNIQLO was perceived as being superior to other brands regarding POP, and facade of H&M was perceived as being better than those of other brand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factors across brands. Among VMD components, visual presentation and layout & path of flow we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as contributors to store image. In particular, among the subcategories of visual presentation, interior, fixture, VP/PP, window dis play, and coordination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 Product categoriz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among subcategories of layout & path of flow.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SPA brands should utilize appropriate VMD components and differentiate them as compared to competitors for the increase in sales and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