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교육에서 과제 변형 활동에 대한 고찰

        박미미(Mimi Park) 수학교육철학연구회 2023 수학교육철학연구 Vol.5 No.1

        수학 교과서 과제 변형 활동은 예비교사교육에서 활용되는 주요 도구 중 하나지만, 아직 과제 변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에 주목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서 과제를 분석하고 이를 좋은 수학 과제로 변형하는 활동을 경험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좋은 수학 과제의 특징과 수학 교과서 과제 변형 활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수학 교과서 과제 변형의 경우, 초등 예비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수행도 인식을 각각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과서 과제 변형 활동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ask modifica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is an important aspect of prospective teacher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on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ask modification. In this stud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engaged in activities that involved analyzing mathematics textbook tasks and modifying them into high-quality mathematics tasks. Then their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quality mathematics tasks and the task modification process were examined. Th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use of mathematics textbook task modification in prospectiv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호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소양 분석

        박미미(Mimi Park) 수학교육철학연구회 2024 수학교육철학연구 Vol.6 No.1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소양을 기초 소양의 하나로 설정하고 모든 교과에서 디지털 소양의 함양을 도모하고 있으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 교과 내용과 디지털 소양 간의 연계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과 내용과 역량을 명시적으로 연계하고 있는 호주의 교육과정에서 일반 역량으로 제시된 디지털 소양의 특징을 이해하고, 호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소양의 반영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호주의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소양의 하위 요소 중 ‘도구 선택 및 조작’, ‘데이터 해석’, ‘생성, 의사소통 및 협력’, ‘데이터 수집 및 획득’의 네 가지가 주로 반영되었고, 내용 영역별로 디지털 소양의 하위 요소가 다르게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기초 소양으로서 디지털 소양의 함양을 추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Korea presented digital literacy as a fundamental skill and emphasized its development across all subjects. However, establishing a clear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content and digital literacy with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mains challenging.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s outlined in the general capabilities of the Australian curriculum and to examine its integration within the F-6 Australian mathematics curriculum. Findings revealed four sub-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embedded within the Australia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with variations in prominence across different mathematics content areas. Drawing from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for fostering digital literacy as a fundamental skill within mathematics curriculum.

      • KCI등재

        AI 기반 수학교육 관련 국외 연구의 논지 탐색

        임웅(Woong Lim),박미미(Mimi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AI 기반 수학교육에 관한 최근 국외 연구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AI 기반 수학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AI 기반 수학교육 관련 국외 연구의 주제를 ‘AI 기반 교육 콘텐츠’, ‘AI 기반 교육 플랫폼’, ‘지능형 교수 체제’, ‘자동화된(적응적) 평가’로 구분하고 각 주제에 대하여 AI 기반 수학교육 관련 국외 연구의 주요 논점을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교육적 변화 양상’, ‘인간-기계 관계 수준’, ‘교사교육’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AI 기반 수학교육에 대한 수학교육 연구 공동체 내부의 논의는 미흡하였고, AI 기반 수학교육 관련 국외 연구들에서는 교사, 인공물, 교실공동체, 교육과정, 평가 등 전통적인 수학교육의 주요 구성요소의 확장, 변화, 혹은 대체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요한 AI 기반 수학교육 연구주제를 제시하였고 AI 기반 수학교육의 한계 및 가능성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s the themes of emerging issues in the international research about AI-based mathematics education and examines the concepts and u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Methods The international research about AI-based mathematics education was analyzed by the analytic framework of ‘AI-based educational content’, ‘AI-based educational platform’, ‘intelligent tutoring system’, and ‘adaptive assessment’. Results Overall, the international papers were found to relate AI-based mathematics education to the expansion, reform, or replacement of traditional topics and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 regarding teachers, learning artifacts, classroom communities, curriculum, and assessments. Conclusions Reflecting on the future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forethought facing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time of rapid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our study discusses the potential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make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with technology in mathematics more accessible and affordable.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대인관계 능력이 간호 역량에 미치는 영향

        서미숙 ( Misuk Seo ),박정순 ( Jungsoon Park ),김옥경 ( Okkyoung Kim ),허문희 ( Munhee Heo ),박정옥 ( Jeongok Park ),박미미 ( Mimi Park ) 한국병원경영학회 2017 병원경영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nursing competence of clinical n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cross sectional survey with 182 nurses who work at a tertiary hospital which has over 1,000 beds, located in Gyeounggi - d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1th, 2016 to October 28th, 2016.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2.65±0.29 points in the range of 1 point to 4 poi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as an average of 3.55±0.35 points in the range of 1 point to 5 points. Nursing competence was an average of 2.65±0.39 points in the range of 1 point to 4 point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competence. Nursing competence was differed from clinical career(F=10.518, p<.001), working unit(F=4.139, p=.018), educational background(F=6.542, p=.002), and satisfaction on nursing(F=6.326, p<.001). The regression model with clinical career, working unit, educational background, satisfaction on nursing, 3 sub domain of professional self-concept(professional practice,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31.94, p<.001). And this model could explain 51.5% of nursing competency(Adj R2=.515). Especially, professional practice(β=.532, p<.001) of professional self-concept, interpersonal relations(β=.223, p<.001), clinical career(β=.169, p<.001), working unit: ICU (β=.169, p<.05) were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on nursing competence. Therefore, improving clinical nurses` nursing competence can be achieved with broad approach that includes improvements i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lso, working unit, and clinical career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the actual program for nursing competence,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