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형 Adelaide Driving Self Efficacy Scale (K-ADSES)의 임상적용을 위한 심리측정학적 특성

        박명옥,김명주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Adelaide Driving Self-Efficacy Scale (K-ADSES). Methods: K-ADSES was developed after a translation and verification by a group of experts. To verify the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ADSES, 114 elderly persons with more than 1 year of driving experience wereevaluated using K-ADSES, K-SDBM and K-Drivers 65 plus. Results: As a result of the content validity, the CVI score for all 12 items was an average of .95 points. Accordingto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valuations conducted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the totalscores of K-ADSES and K-Drivers 65 plus are r = -.644 (p < .001), and the total scores of K-ADSES andK-SDBM are r = .792 (p < .001). These results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e Cronbach’s αvalue, which verifie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K-ADSES, showed a high reliability of .975, and the test-retestreliability result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of .813 in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Conclusion: K-ADSES has been identified as a driving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 for older drivers with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K-ADSES will be widely used as a tool to measurethe driving-related self-efficacy of elderly and vulnerable drivers in a driving rehabilitation clinic where there isno such assessment tool for driving.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애들레이드 운전 자기효능감 척도(Adelaide Driving Self-Efficacy Scale)를한국 문화에 맞게 번안하여 임상 적용을 위한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 한국형 애들레이드 운전 자기효능감 척도(K-ADSES)는 전문가 집단에 의한 번역 및 검증을거쳐 개발되었다. 완성된 K-ADSES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운전 경험이 1년 이상인 노인 114명을 대상으로 K-ADSES,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 운전 행동 척도(K-SDBM), 한국형 노인자가 운전 평가(K-Driver 65 plus)를 실시하였다. 결과 :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 전체 12항목의 CVI 점수는 평균 .95점이었다. 수렴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평가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K-ADSES의 총점과 한국형 노인 자가 운전 평가의 총점은r=-.644(p<.001), K-ADSES의 총점과 한국형 자가 보고식 안전 운전 행동 척도의 총점은 r=.792(p<.001)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K-ADSES의 내적 일치도를 검증한 Cronbach'sα값은 .975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결과, 급간내 상관계수가 .813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 K-ADSES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노인 운전자의 운전에 대한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K-ADSES가 운전에 관한 자기효능감 평가도구가 미비한 국내의 운전 재활임상 환경에서 노인 운전자 및 운전 취약계층의 운전 관련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Tourism Information Sourcing and Destination Image: A Case Study of Taiwan for Korean Market

        박명옥,이상미,황영현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10 관광레저연구 Vol.22 No.1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ourism destination image of Taiwan for Korean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ourcing behavior and destiantion image.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a survey of conveniently selected 197 Busan/Ulsan citizens, Korea, during March, 2006. An exploration of destination image of Taiwan perceived by Koreans revealed that Taiwan is not well perceived as an attractive tourism destination. Most of cognitive and affective images considered were under evaluated by Korean women and those who never been to Taiwan. The results indicate that WOM is the most influential information source to form the image of Taiwan as a tourism destination for Koreans. Given the situation that those Koreans with a less favorable image of Taiwan rely more on TV/Radio and the Internet to obtain tourism information, it is suggested that a targeted tourism information dissemination through TV/Radio and the Internet is demanded to improve the destination image of Taiwan for Korean market.

      • KCI등재

        국내 노인 운전자를 위한 운전재활 연구의 체계적 고찰

        박명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9 재활복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driving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in Korea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driving rehabilitation in the area of geriatric rehabilitation and the direction of approach in occupational therapy. We used electronic databases RISS 4U and KISS as research methods and searched for articles from 2000 to 2018. The major search terms were “elderly” and “dri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ticle about driving rehabilitation intervention should focus on driving rehabilitation related to elderly people, Four (40%) of the papers correlated with driving. In addition, there were 1 articles (10%) on the driving evaluation of the elderly, and 1 article (10%) on the measuring tools of the elderly driv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and training considering the cognitive, physical,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e necessary for the safe self - driving of the elderly. Therefore, strategic evaluation systems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valuate the reduced ability of the elderly in the elderly driving rehabilitation, which is a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The occupational therapist, who is a professional occupation considering the physi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elderly, can play a role as an expert in driving rehabilitation.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운전재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노인 재활 영역에서 운전 재활 분야의 중요성과 작업치료 분야에서의 접근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RISS4U, KISS를 사용하였고 2000년부터 2018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는 “노 인”, “운전”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과 관련된 논문을 중심으로 운전재활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점이나, 운전실태, 운전에 대한 인식으로 한 논문이 4개(40%), 노인의 인지나 감각 처리 능력과 운전에 대한 상관관계를 한 논문이 4개(40%)였다. 그 외로 노인의 운전 평가에 대한 논문이 1개(10%), 노인운전을 위한 측정도구에 관한 논문이 1개(10%)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안전한 자가운전을 위해서는 노인의 인지적, 신체적, 시지각적 특성을 고려한 운전재활프로그램및 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작업치료의 한 분야인 노인 운전재활에서도 노인의 감소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과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노인의 신체 적, 생리학적 변화를 고려한 운전재활 훈련 프로그램이 반드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다문화가정 지원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명옥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12 사회복지지원학회지 Vol.7 No.1

        외국인 체류질서 확립을 통하여 개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각계각층의 전문가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세계화ㆍ국가 간 소득 격차로 인한 국제인구 이동의 가속화로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 새터민 등 다문화가족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민족과 문화가 유입되어 이제는 다민족ㆍ다문화사회로 매우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그래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과 가족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대책을 수립하여 지원을 하고 있다. 지원으로 인한 지역사회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정부 정책을 파악하고 성남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 KCI등재

        Clinical Usefulness on K-MBI for Decision of Driving Rehabilitation Period in Patients with Stroke: A pilot study

        박명옥,Park, Myoung-Ok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 2017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1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수정된 바델지수(MBI)는 지역사회 재활세팅 및 재활 병원에서 흔히 사용되어지는 기본적인 일상생활 평가 도구이다.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노인 혹은 뇌졸중 환자들의 운전 능력과 일상생활활동의 수준은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음을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의 운전능력을 예측함에 있어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상생활 활동 기본 평가인 수정된 바델지수의 유용성을 밝힌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수정된 바델 지수(K-MBI)룰 활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운전 가능성을 알아봄으로서 운전 수행 능력을 예측함에 있어 한국형 수정된 바델 지수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 소재 재활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4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에게 K-MBI 검사를 통해 기본적인 일상생활 활동 수준을 측정하였고 가상현실 운전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전 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운전 시뮬레이터상의 운전 수행 검사의 합격/불합격에 따른 K-MBI 점수의 예측 타당도를 ROC curve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뇌졸중 이후 운전재활을 권고할 만한 기본적인 일상생활 활동 수준은 K-MBI 점수가 최소 86.5점인 경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 재활을 권고하는 시기를 예측함에 있어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Object: Basic daily activity screening tool such as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has been used commonly in rehabilitation clinic and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setting.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daily activities and driving ability on stroke or elderly people.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MBI on prediction of driving ability for stroke patient. This study was to predict driving abilities of stroke survivor using Korean version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ethods: A sample of 48 patients with stroke in rehabilitation hospital was recruited.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level of basic daily activities using K-MBI. The driving ability of participants was tested using virtual reality driving simulator. The predictive validity was calculated of the K-MBI among pass or fail group of driving simulator test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s. Results: The cut-off score of >86.5 on the K-MBI is proper sensitivity to predict on driving performance ability. Conclusion: This pilot result offers clinical reference to therapists and caregivers for reasoning on driving recommendation period during rehabilitation stage of stroke survivors. Further studies need to identify prediction using real on-road test in a large population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