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황후 표상과 젠더 ― 천황가의 이미지 정치와 황후의 역할

        朴利鎭 ( Park Yi-j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8 No.-

        본고에서는 일본 근현대 사회에서 변화의 패러다임으로써 그 주역을 맡아 온 천황가의 여성들, 즉 황후 및 황태자비의 표상을 검토하고, 그 표상체계와 그 이면에 감춰진 모순된 구조들을 젠더사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메이지 시대 쇼켄 황후의 역할과 당시의 여성관을 담고 있는 ‘女帝 논쟁’에 주목하고, 현재까지 평행선을 이루며 계승되고 있는 여제론이 천황제의 법적인 운용이라는 측면을 넘어 일반의 여성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젠더사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천황가의 황후들은 천황의 파트너로서 대중 앞에 서서 가족국가 중심의 근대화된 천황가를 어필하고, 여성 교육과 육아 교육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해 냄은 물론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황후들의 표상이 적극적으로 선전되고 받아들여질 때마다 ‘절대 권력’으로서의 근대 천황제가 완성되고 또 현대에 와서는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서의 ‘상징 천황제’가 정착된 것은 천황제 시스템이 갖는 일본에서의 고유의 기능(특수성) 때문만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황후의 표상이 갖는 의미 체계를 현재의 마사코 황후의 문제를 포함해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할 필요성을 문제제기하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Kōgō(皇后, Empress), a charitable mother and a national mother in Japan, and criticizes the ideology of Tennoism. The post-war Japan has maintained and recreated the ideal of the “national body” in such a way that the people and Kōgō are directly connected. The maternity of Kōgō as an affectionate mother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nationalism. However, Kōgō suffers from the ideology of hereditary lineage. And Kōgō is still caught by the ideology of gender role division. This is also a problem in that Kōgō acts like a model for Japanese women. This paper focuses on the Kōgō symbol, which has been an icon of the times, and discusses it from a gender perspectiv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ole of women's powers such as the Kōgō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approach the crises of Tennoism.

      • KCI등재

        혼혈아 외부화 프로세스와 대중문화 ― 경제성장기 일본사회의 혼혈아 표상

        朴利鎭 ( Park¸ Yi-j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5 No.-

        일본에서 1952년 ‘혼혈아논쟁’ 이후부터 1960년대 일명 ‘혼혈 붐’의 시대를 거쳐 ‘하프 담론’이 등장하는 1970년대까지 20년간 일본사회에 유포된 혼혈아 표상은 그들에 대한 고착된 인식을 대중들에게 심어주었다. 특히 1960년대 중후반부터는 일본인론이 크게 유행하면서 일본인에 대한 새로운 의미화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단일민족으로서의 인종화가 강화되며 혼혈아들은 외부화되어 간다. 이러한 흐름을 본고에서는 현대 일본의 인종주의가 갖는 ‘전후적 기원’으로 파악하여 그 구체적인 특징을 다양한 대중문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70년대 혼혈아들이 하프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재탄생되는 구조에 작용하고 있는 대중들의 심급에 주목할 수 있었다. 점령의 기억이라는 과거의 상흔이 혼혈아의 상징체계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었고, 일본사회의 재건과 경제성장, 그리고 일본인론의 유행처럼 사회문화적 자신감의 회복이 혼혈아 표상의 변주 속에 고스란히 담겨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본식 인종주의를 이루고 있는 기원적 문제를 통해 현대 일본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종주의적 차별과 편견이 단순히 서양식 인종주의를 답습한 형태라고 설명하는 시각을 비판하는 근거로 제안해 보았다. The mixed-race representations which is disseminated in Japanese society for 20 years from the 1952 ‘Mixed-Race Controversy’ to the 1970s, when the ‘Half Discourse’ appeared after the ‘Mixed-Race Boom’ in the 1960s, have instilled in the public a fixed perception of mixed-race children. Especially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60s, when the theories about the Japanese(Nihonjinron) became very popular, a new meaning was given to the Japanese. At the same time that racialization as a single ethnic group was strengthened, mixed-race children were externalized. This paper grasped such a trend as the ‘postwar origin’ of racism in contemporary Japanese, and examined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popular cultures. As a result, this paper was able to focus on the public sympathy acting on the structure in which mixed-race children were reborn with the new concept of half in the 1970s. The memory of the occupation, which is a scar of the past, was deeply involved in the symbolic system of mixed-race children. Like the reconstruction and economic growth of Japanese society and the epidemic of Japanese theory, the restoration of sociocultural self-confidence was dominated by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mixed-race children. Through these originating issues of Japanese racism, this paper attempts to refute the argument that racis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contemporary Japan just follows Western racism.

      • KCI등재

        19세기 후반 일본 여자교육의 모델이 된 여성들 ― 수신 교과서 『婦女鑑』의 인물 구성 연구

        朴利鎭 ( Park Lee-j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7 No.-

        본고에서는 일본 여자 수신 교과서 『婦女鑑』에 등장한 인물 구성이 갖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주요 메신저로 등장하는 여성 124명의 출신 국가별 분포, 활약 시기의 편차, 그리고 신분 및 사회적 지위 요소를 구체적으로 수치화해 그 특징을 분석했다. 기원전 11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총 12개국 124명의 여성이 등장하는 『婦女鑑』은 19세기 후반 일본의 근대 전환기적 양상을 잘 보여준다. 특히 서양 국가의 다양한 편재나 낯선 지역명과 함께 장거리 이동을 하는 인물의 경험이 결합하면서 국경, 인종, 민족 등 다양한 경계를 넘나드는 여성상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일본의 중국과 서양에 대한 대국의식의 변화도 알 수 있었다. 이는 일본이 문명국으로서의 자부심을 서양 인물들과 오버랩하고 나아가 일본 여성과 서양 여성을 대등하게 이해하고 평가하는 태도로 이어졌다. 또 여성들은 주로 남성의 계급, 출신에 의해 그 사회적 지위가 소개되고 있었다. 이는 여성의 직분을 딸, 아내, 어머니로 범주화하는 형태로 당시 아내라는 지위가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는 상황을 알 수 있다. 물론 남편을 보조하거나 남성의 자리(역할)를 대체하는 형태가 아니라 온전히 여성만의 능력으로 도덕적 가치를 구현하는 여성상도 등장한다. 이러한 인물의 제시는 당시 기존과 다른 여성성을 재구성하는 것과 함께 새로운 도덕관의 재편과 확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내라는 직위의 재발견과 마찬가지로 자선이 문명화된 도덕률처럼 여겨지는데, 이상적인 여성이 갖추어야 할 자질로 개발된 것이다. 이렇게 범주화된 존재로서가 아니라 여성의 자아실현에 가까운 도전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상은 그 당시까지 개념화되어 있지 않던 자립성을 새로운 여성성으로 포섭해 가는 것이기도 했다. 『婦女鑑』은 유교 사회의, 혹은 근대 전환기의 모범적 여성상을 제시하고 이를 내면화하고 있다. 그러나 독자는 학습 과정에서 모범적 여성상을 모방(수행)하는 차원을 넘어서게 된다. 모범적 행적만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인간관계를 추체험하고 나아가 타자와의 공감 능력을 형성한다. 수신 교과서인『婦女鑑』을 반복과 모방의 세계가 아니라 재배치와 재의미화와 같은 표상 체계 속에서 파악해야 할 이유이다.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composition appearing in the moral textbook Hujokagami in Japan were examined. The research method specifically quantified the distribution of 124 women who appeared as major messengers by country of origin, the variation in their activities, and the factors of status and social status.Hujokagami, featuring 124 women from 12 countries from the 11th century BC to the 19th century AD, showed Japan’s modern transitional aspects well in the late 19th century. In particular, readers of this book were able to indirectly experience the image of women crossing borders, races, and ethnicities by combining the experiences of various Western countries, unfamiliar local names, and long-distance travelers. There is also a change in Japan’s perception of China and the West.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Japan’s pride as a civilized country overlaps with Western figures. This led to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Japanese and Western women on an equal basis. Lastly, the social status of women is mainly introduced by men’s class and origin. This is a form of categorizing women’s positions as daughter, wife, and mother.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status of wife at the time was socially important. Of course, there are also images of women who embody moral values through women’s unique abilities rather than subsidizing husbands or substituting men’s positions (roles). The presentation of such a character reconstructs the existing femininity and also means the reorganization and expansion of a new moral view. With the rediscovery of the position of wife, charity was regarded as a civilized moral code and developed as a quality that an ideal woman should possess. The challenging and subjective image of a woman who achieved such self-realization was also to embrace independence, which had not been conceptualized up to that time, as a new femininity. Hujokagami presents an exemplary image of a woman in Confucian society and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era, and internalizes it. However, the reader goes beyond imitating (performing) the exemplary female figure in the learning process. The reader not only follows exemplary behavior, but also forms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by indirectly experiencing various human relationships appearing in the story. This means that the moral textbook Hujokagami should be grasped not in the world of repetition and imitation, but in a system of representation such as rearrangement and re-meaning.

      • KCI등재

        전후 일본의 혼혈 담론 ― GHQ 점령기를 중심으로

        박리진 ( Park Yi-j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3 No.-

        본고는 ‘대동아공영권’ 주창과 함께 불거졌던 일본의 혼혈론이 패전 이후 GHQ 점령기로 이어지면서 갖는 연속과 비연속적 인식의 층위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일본인종론에 작용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이 갖는 특징을 심층적으로 살필 수 있었고, 이는 향후 현대 일본의 인종주의적 시각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기초 토대로 활용할 것이다. 1940년대에 일본인종론이 국내적으로 우생학의 교양화로, 국외적으로는 ‘대동아공영권’의 주창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혼혈론이 논리적 근거로 활용된다. 생물학적인 근거를 비롯해 사회학적인 인식, (국가정신)문화론적 인식 위에서 복합적으로 사유되던 당시의 혼혈론은 공교롭게 GHQ 점령기로 이어지면서 더욱 공고해진다. 강화조약 발효 이후 혼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금전적’ 책임론으로 시작된 혼혈 문제는 차츰 ‘순혈주의, 민족 정조’와 같은 담론의 영역으로 확산되어 간다. 이는 혼혈아들이 학령기를 맞아 사회적으로 대거 노출되면서 일본의 ‘패전의식’의 가시화와 맞물려 민족적 수치심을 자극하는 결과라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승자와 패자라는 미일관계 차원에서 규정되는 혼혈아들에 대한 관념이 일본 사회의 차별과 편견의 대상으로 ‘공적 서사’화 되어감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혼혈아 문제가 전쟁에 부수하는 것이라고 보는 전후 일본 사회의 시각이 갖는 특징을 ‘특이한 세계성’과 관련해 생각해 보았다. 그것은 백색인종에 대해 심적으로 동경했던 메이지시대 일본인들의 주된 ‘세계관’과 서양 인종주의의 일본식 권력화와 관련 된다. 즉 전후 일본 사회에서 강화되는 흑인계 혼혈아에 대한 철저한 편견과 차별은 서양 인종주의적 시각을 그대로 답습해 온 일본인종론과 맥을 같이 하는 한편, 전전의 열등한 존재로서의 아시아인의 위치를 흑인이 대체하게 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혼혈 문제는 단순히 전쟁의 부수물이라는 패전의식 외에도 철저히 정치 역학과 같은 권력 구조상의 인식 속에서 중층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evel of consecutive and non-consecutive perceptions of Japan's mixed blood theory, which was accompanied by the claims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look deeply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damental mechanisms that act on Japanese theology. And thi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racking the changes of racist vision of modern Japan in the future. In the 1940's, the theory of mixed blood is used as a logical basis while Japanese dominance spreads domestically by the cultivation of eugenics and by the advocac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As the US military occupation continues, the theory of mixed blood, which has been complexly thought out on biological basis, sociological awareness, (state spirit) culturalism, becomes more and more publicized unfortunately. Discussions about mixed blood became active when the peace treaty was signed. The half-blood problem started with 'monetary' accountability and gradually spread to areas of discourse such as 'pure blood' and 'national chastity'. This was the result of the mass exposure of mixed-race children to the school year, provoking national disgrace with the visibility of Japan's sense of defeat. In the process, the notion of mixed-bloods, which is defined in terms of the U.S.-Japan relationship, was becoming a "public epic" subject to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Japanese society. Lastly, I considered the unique values of the Japanese society's view that the issue of mixed-race children is incidental to war. It is related to the main 'values' of the Japanese during Meiji period, which had a strong longing for white race, and the Japanese power of Western racism. In other words, thoroug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mixed blood between black and Japanese strengthened in postwar Japanese society is in accord with Japanese racialism that has followed Western racist views.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phenomenon that black people replace the position of the Asian as the inferior existence of the war. Apart from the sense of defeat, the problem of mixed blood has a mixed meaning in terms of power structure, such as political dynamics.

      • 지하철 터널 내 운행 중 객차에서 화재발생시 제연풍량에 따른 열 및 연기 확산 예측 연구

        장희철,윤경범,박리진,김태국,박원희,김동현,Chang. Hee-Chul,Yoon. Kyung-Beom,Park. Lee-Jin,Kim. Tae-Kuk,Park. Won-Hee,Kim. Dong-Hyeon 한국방재학회 200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cussed on the numerical predictions of the heat and smoke propagations for a passenger train fire in an underground subway tunnel for different air supply and extraction flowrates. The analysis is performed for one of the stations on subway line #5 in Seoul under the emergency operation mode for different air supply and extraction flowrates. Five different the air supply and extraction flowrates are considered for the numerical analyses.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air supply and extraction flowrates affect the smoke control performance significantly by improving the smoke removal performance for the balanced control of air supply and smoke extraction and for the unbalanced control with lager smoke extraction than air supply.

      • WSGGM-RG를 이용한 임의의 형상을 갖는 3차원 공간 내의 비회색 복사열전달 해석 연구

        윤경범(Kyung-Beom Yoon),장희철(Hee-Chul Chang),박원희(Won-Hee Park),박리진(Lee-Jin Park),김태국(Tae-Kuk Kim)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6

        The weighted sum of gray gases model with a gray gas regrouping(WSGGM-RG) has been successfully developed to nonhomogeneous and nonisothermal combustion gases. The WSGGM with gray gas regrouping technique is then applied to model the radiative transfer within some three-dimensional irregular enclosure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WSGGM-RG for different geometrical variations. In this study some radiative transfer problems through nongray gases are successfully solved by using the discrete ordinates interpolation method(DOIM) with the regrouped WSGGM and with nonorthogonal grids generated for a cubical enclosure and for some skewed hexahedral enclo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