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 m 점증 왕복달리기 검사를 이용한 여중생의 VO2max 추정식 개발

        박동호,송정란,이상현,김창선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4 운동과학 Vol.23 No.1

        박동호, 송정란, 이상현, 김창선. 20 m 점증 왕복달리기 검사를 이용한 여중생 VO2max 추정식 개발. 운동과학, 제23권 제1호, 1-11, 2014.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20 m 점증왕복달리검사(20 m PSR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여중생의 VO2max를 추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보된 추정식을 개발하는 데 있다. 총 194명의 여중생(13-15세) 중 127명은 타당도 검사를 위해 그리고 99명(나머지 67명+32명은 타당도 분석에도 참여함)은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127명의 참여자는 VO2max 추정식의 개발과 새로운 20 m PSRT 프로토콜의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트레드밀을 이용한 최대점증부하검사(고정식)와 이동식 가스분석기를 착용하고 20 m PSRT(이동식)를 실시하였다. 신뢰도분석을 위하여 99명의 참여자들은 새로운 20 m PSRT를 1주일 간격으로 1회 반복(총 2회) 실시하였다. 이동식 가스분석기를 착용하고 측정한 20 m PSRT VO2max 실측 값(39.2±5.1 ml/kg/min)은 고정식 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측정한 VO2max 실측 값(37.7±5.7 ml/kg/min, p=.001)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매우 좁은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었다(1.5 ml/kg/min). 또한 이동식과 고정식 가스분석기(20 m PSRT vs. 트레드밀)에서 얻은 VO2max의 상관계수는 .88(p<.001)이었다. 20 m PSRT의 신뢰도 검사와 관련하여 왕복달리기 횟수(r=.88, p<.001) & 최종속도(r= .85)의 상관계수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O2max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새로운 추정식은 y = .231× 왕복횟수 - .311×체중 + 46.201 이다(r=.74, SEE=4.29 ml/kg/ml). 결론적으로 첫째, 새로운 20 m PSRT 프로토콜은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보된 검사이며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20 m PSRT 추정 식은 한국 여중생(14-16세)에게 적합하고 타당성 있는 VO2max 추정 값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Park, Dong-Ho, Song, Jung-Ran, Lee, Sang-Hyun, Kim, Chang-Sun.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Equation for Estimating VO2max from the 20 m PSRT in Korean Middle-School Girls. Exercise Science, 23(1): 1-11.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regression models to estimate maximal oxygen uptake (V O2max) from the 20 m Progressive Shuttle Run Test (20 m PSRT) in Korean middle-school girls aged 13-15 years. The 20 m PSRT and VO2max were assessed in a sample of 194 participants. The sample was randomly split into validation (n=127) and test-retest reliability (n=99, 32 out of 127 participants also performed validity test) groups. 127 participants performed a graded exercise test (GXT, stationary gas analyser) and the 20 m PSRT (portable gas analyser) once to develop a VO2max prediction model and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modified 20 m PSRT protocol (starting at 7.5 km/h and increasing by 0.5 km/h every 1 min). 99 participants performed the 20 m PSRT twice for test-retest reliability purpose. Mean measured VO2max (39.2±5.1 ml/kg/min) from the potable gas analyz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that measured during the GXT from stationary gas analyzer (37.7±5.7 ml/kg/min, p=.001) using the modified 20 m PSRT protocol. But it was a narrow range (1.5 ml/kg/min). The measured VO2max from the potable and stationary gas analyzers correlated at r=.88(p<.001). Test-retest of the 20 m PSRT yielded comparable results (Laps r=.88 & final speed r=.85). New regression equations were developed from present data to predict VO2max for middle-school girls: y=.231XLaps-.311Xweight(in kg)+46.201 (r=.74, SEE=4.29 ml/kg/min). It is concluded that (a) the modified 20 m PSRT protocol is a valid and reliable test and (b) this equ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valid estimates of VO2max of Korean middle-school girl aged 13-15 years.

      • KCI등재

        팀·개인 창의정체성이 개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팀·개인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동호,윤필현 대한경영학회 2015 大韓經營學會誌 Vol.28 No.9

        This study is aimed at inquir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identity and crea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dividual effec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dentity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survey data for 393 persons in all from the total of 68 teams in 8 domestic large companies, which are operating a team organization through its introduction. As a result, first,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eam creative identity on individual creative identity at a cross level wasn’t confirmed. Second, this study could confirm the process, in which individual creative ident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individual creativity; particularly, this study could confirm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Third, this study could also confirm the process, in which team creative ident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team creativity, and confirm complete mediating effects of team creative identity as well. Meanwhile, this study couldn’t confirm the process, in which team creative ident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individual creativity. On the basis of such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s intending to suggest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eam & individual creativity enhancement & individual effectiveness enhancement. 본 연구는 정체성 이론 관점에서, 창의정체성과 창의성의 관계 및 창의성과 개인 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창의정체성과 개인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개인 창의정체성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개인 창의정체성과 개인 효과성과의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셋째, 팀 창의정체성과 개인 효과성과의 관계에서 팀 창의성의 매개적 효과를 확인하고, 넷째, 팀 창의정체성과 개인 효과성과의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팀제 조직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국내 8개 대기업, 총 68개 팀, 총 393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차수준에서 팀 창의정체성이 개인 창의정체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개인 창의정체성이 개인 창의성을 매개하여 개인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개인 창의성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팀 창의정체성이 팀 창의성을 매개하여 개인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과정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팀 창의정체성의 완전매개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팀 창의정체성이 개인 창의성을 매개하여 개인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팀․개인 창의성 증진 및 개인 효과성 증진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이 팀・개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팀・개인 창의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박동호,윤필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6

        In recent times, the research aiming at exploring the process of a team & individual’s effectiveness enhancement in the organizational behavior field is in active progress, in which creativity is handled as a major variable having an influence on effectiveness. However reality is that the research which explores the process of a team & individual’s effectiveness improvement through creativity is still in an insufficient state.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into the mediated effect of creativity, which forms at a level of a team and an individual as a result of team members’ cognition of a team leader’s leadership in terms of social cognitive theory, on effectiveness.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uld confirm the significant partial mediated effect of individual creativity in the relation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gnized at a level of a team and individual effectiveness. Individual creativity h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partial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dividu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individuals at the team level. The findings verify the following. First, the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inspirational motivation, consideration for individuals, intellectual stimulation) mainl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individuals. The fact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influences the sub-variables, enhances individual effectiveness by affecting the creativity of individuals has been verified. Second, team creativity has no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at a team level and the team effectiveness. It implies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a prerequisite to enhancing team creativity and team effectiveness. Also, team creativity can serve as a prerequisite that affects team effectiveness. However, there is a limited mechanism among all the variables. Thus,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m creativity should be distinguished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at the team level. Also the following analysis and debate should be needed for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the preceding variab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s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a team-level variable affecting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The findings are signific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individual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a multi-level analysis. It can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on the relevance of variables measured at different level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Second, this study proves the top-down process wh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at a team level affects individual effectiveness through individual creativity.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the following analysis regarding variables that can make the mediation or connection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creativity and team effectiveness at a team level. Also, the effects of creativity can be more clearly analyzed provided that more studies about individual & team creativity and effectiveness are proceeded. It is because the aim of enhancing creativity is the effectiveness including fruits. In particular, it would be more specific analysis of the effect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근래에 조직 행동 분야에서 팀과 개인의 효과성 증진 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창의성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다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창의성을 통해 팀과 개인의 효과성을 증진하는 과정 탐색의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 관점에서 팀 구성원들이 팀장의 리더십을 인지하고, 그 결과로 팀과 개인수준에서 형성되는 창의성이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팀 수준에서 인지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의 부분 매개 효과가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팀이 인지한 변혁적 리더십과 팀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팀 창의성은 매개적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의미는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이 갖는 매개적 효과를 사회인지이론의 근거로 다수준 분석방법을 통해서 실증하였고, 팀 수준에서 인지된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 창의성을 통해 개인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하향식(top-down) 프로세스를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향후 후속연구로서 팀 수준에서는 변혁적 리더십, 팀 창의성과 팀 효과성을 연결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변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 Study of the Korean Clausal Connectives ‘-ŏsŏ’ and ‘-ko’ of Temporal Sequence

        박동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Acta Koreana Vol.16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uses of ‘-ŏsŏ’ and ‘-ko’ connective endings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express the temporal sequence of action between two clauses.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the clausal connective ‘-ko’ is used after a transitive verb taking an object while ‘-ŏsŏ’ is used after an intransitive verb as well as in cases where the predicates in the two clauses of a sentence repeat the same speech elements, including the object. Studies have also explained that ‘-ko’ is used when the action in the preceding clause is completed before the following action takes place while ‘-ŏsŏ’ is used when the action in the preceding clause continues to have effect on the action in the following clause. These suggestions, however, come with many excep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modify, and support previous research on these connectives. It argues that ‘-ŏsŏ’ is used when the result of the action in the first clause continues into the action in the following clause and when pragmatic relevance is established. It also maintains that the connective ending ‘-ko’ is used without regard to pragmatic relevance or whether the action in the first clause affects the action in the second, following clause. The result of the study is a clear, effective explanation of the differences in the uses of the connective endings ‘-ŏsŏ’ and ‘-ko.’

      • KCI등재

        5·18광주민중항쟁과 교회의 길

        박동호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5

        1980년 5·18광주민중항쟁 이후 저항하며 물리치고 극복하려 했던 대상이 어쩌면 그때보다 더 잔인하고 더 교묘한 방법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이 현실에서 ‘교회는 그동안 무엇을 했는가?’를 묻는다. 필자는 이 문제의식이 바로 광주대교구가 ‘5·18의 영성화’를 꾀하는 배경이라고 보았다. ‘5·18광주민중항쟁’ 과정에서 광주대교구의 활동은 ‘공의회의 정신’에 따라 ‘세상 안의 교회’ 특히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적 약자의 교회’(the Poor Church for the Poor)로서, 하느님 백성이 겪는 기쁨과 희망, 슬픔과 고뇌와 함께 한 연대의 활동이었다. 그렇지만 한국 천주교회의 전반적인 외면과 침묵은 ‘세상과의 거리두기’(외면하기)였으며, 이는 세상의 불의에 공범이 되는 것과 다르지 않았고, 역사의 진보에 기여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결국 교회의 활력과 생명력을 잃는 길이 되기도 했다. 필자는 사목현장에서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국 천주교회 생활에서 볼 수 있는 ‘거리두기’의 원인이 전반적으로 ‘사회교리의 외면 현상’이라고 보았다. 이 현상은 무엇보다도 신학교의 사제 양성과정의 결과로서, 자연스럽게 ‘관리’와 ‘성사’, ‘경신례’ 중심의 교회생활을 형성했다. 그 결과 사람을 만나고 사회적 약자와 동행하며, 세상 속에서 복음화 사명을 수행하는 여정(복음화의 사회차원)을 소홀히 하게 되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개인주의적이며 내재주의적인 교회생활이 자리 잡은 것이다. 곧 한국 천주교회는 보편교회의 가르침과 세상 복음화의 사명 대신에 ‘자기보전’의 길을 택한 셈이다. 필자는 한국 천주교회 생활의 근본적인 ‘전환’(conversion)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그 전환의 기준을 ‘복음화의 사회차원’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사회교리의 원리’와 ‘사회생활의 근본가치’ 그리고 프란치스코 교종의 ‘사회형성’의 원칙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1960년대 일본영화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형상 : <큐폴라가 있는 마을>과 <교사형>을 중심으로

        박동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고에서는 재일조선인에 의한 자화상 영화가 등장하기 이전인 1960년대 일본영화가 묘사한 재일조선인의 형상을 고찰하기 위해 재일조선인을 다룬 영화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우라야마키리오의 <큐폴라가 있는 마을>과 이진우 사건을 모델로 한 오시마 나기사의 <교사형>을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큐폴라가 있는 마을>은 구 종주국에 대한 속죄의식 속에 조선인 차별과 박해를 직접적으로 비판하면서도, 일본인들의 죄악을 역사적으로 검증하기보다 선의의 조선인과 이를 추종하는 일본인을 감상적 멜로드라마로 미화하여 가해자로서의 기억을 은폐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형>은 재일조선인 범죄자 R을 통해 동시대 사회파 영화와 교육 영화의 휴머니즘적 양심을 비판하고 일본 제국주의의 폭력과 전쟁책임 및 청산 결여로부터 야기되는 전후 일본의 자화상을 전위적인 기법으로 고발하고 있다. 두 작품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발현양상은 상이하지만 전후 일본과 일본인을 상대화하는 수단으로 형상화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즉 일본인들은 자신들의 필터로 미화한 경상(鏡像)으로서의 타자 재일조선인을 통해 가해자로서의 기억을 은폐하거나, 일그러진 자화상을 보고자 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