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일 평면상에서 연성된 직사각형 평판의 진동파워흐름해석

        박도현,홍석윤,길현권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8 소음 진동 Vol.8 No.6

        In this paper. the power flow analysis(PFA) method is applied to the prediction of the vibrational energy density and intensity of coupled co-planar plates. To cover the energy transmission and reflection at the joint of the plates. the wave transmission approach is Introduced with the assumption that all the incident waves are normal to the joint. By changing the frequency ranges and internal loss factors. we have obtained the reliable PFA results. and compared them with the analytical exact solutions.

      • KCI등재

        식생과 조석의 영향을 고려한 연안습지 퇴적물 내 물질거동 모형의 개발

        박도현,왕수균,Park, Do-Hyun,Wang, Soo-Kyu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9 지하수토양환경 Vol.14 No.6

        습지는 다양한 생지화학적 반응기작을 통하여 폐수로부터 유입되는 유기오염물질을 완화/정화하는 지역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습지에서 다양한 물질의 성상과 거동을 모의하기 위하여 수학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형은 1차원 수직 포화 모형으로 이류, 수리학적 분산,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 산화/환원반응, 식생과 조수 등 외부환경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조수의 영향은 퇴적물 내 공극수의 흐름에 주기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계절에 따라 식생은 증발산과 뿌리로부터의 산소공급을 통해 흐름과 근권 내 산화/환원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개발된 모형을 적용하여 습지퇴적물 내에 존재하는 관심물질의 공간적 및 시간적 분포 모의를 위한 가상의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중금속 오염물질의 하나인 크롬의 습지퇴적물 내 성상과 거동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는 식생 뿌리와 조수가 습지퇴적물 내 전자수용체, 환원물질, 중금속의 분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Wetlands can remove organic contaminants, metals and radionuclides from wastewater through various biogeochemical mechanisms. In this study, a mathematical model was developed for simulating the fate and transport of chemical species in marsh wetland sediments. The proposed model is a one-dimensional vertical saturated model which is incorporated advection, hydrodynamic dispersion, biodegradation, oxidative/reductive chemical reactions and the effects from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the growth of plants and the fluctuation of water level due to periodic tides. The tidal effects causes periodic changes of porewater flow in the sediments and the evapotranspiration and oxygen supply by plant roots affect the porewater flow and redox condition on in the rhizosphere along with seasonal variation. A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under hypothetical conditions were performed for simulating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hemical species of interests using the proposed model. The fate and transport of a trace metal pollutant, chromium, in marsh sediments were also simulated.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show that plant roots and tides significantly affect the chemical profiles of different electron acceptors, their reduced species and trace metals in marsh sediments.

      • KCI우수등재

        계측변위 기반의 역해석에 의한 암반강도 추정 시 고려사항

        박도현 한국자원공학회 201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6 No.3

        To ensure construction safety, field measurements in the underground excavation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nd behavior predicted in the design phase and that observed during construction. Whe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a reexamination of the adequacy of excavation design is needed. In this reexamination, the properties of the rock mass should be updated to simulate the ground behavior observed in the field. Inverse analysi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field and laboratory tests for determining the properties of the surrounding rock masses. Based on excavation examples applying the Mohr-Coulomb plasticity model, we identified strength parameters of the surrounding rock by ground displacement-based inverse analysis. These applications showed different identification results of the strength parameters, which were dependent on the input displacement conditions. Using these results, we described considerations on the parameter estimation of rock mass strength by ground displacement-based inverse analysis. 지하굴착 공사에서 현장계측은 설계단계에서 예측된 지반거동과 시공단계에서 관측된 지반거동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로부터 굴착공사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된다. 설계단계와 시공단계의 지반거동이 크게 상이한 경 우에는 굴착설계의 적정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장의 암반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재료물성이 재산정 되어야 하며, 주변암반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 및 실내시험에 대한 대안으로서 역해석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hr-Coulomb 탄소성 재료모델을 적용한 굴착예제에 대해 지반변위 기반의 역해석을 적용하여 주변 암반의 강도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계측된 입력변위 조건에 따라 강도 매개변수 추정결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이를 토대로 지반변위 기반의 역해석에 의한 암반강도 추정 시 고려사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GREAT 셀을 이용한 삼축압축시험의 수치모사: 수리역학 실험

        박도현,박찬희 한국암반공학회 2023 터널과지하공간 Vol.33 No.2

        Unlike the conventional triaxial test cells for cylindrical specimens, which impose uniform lateral confining pressures, the GREAT (Geo-Reservoir Experimental Analogue Technology) cell can exert differential radial stresses using eight independently-controlled pairs of lateral loading elements and thereby generate horizontal stress fields with various magnitudes and orientations. In the preceding companion paper, GREAT cell tests were numerically simulated under different mechanical loading conditions and the validity of the numerical model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for circumferential strain. In the present study, we simulated GREAT cell tests for an artificial sample containing a fracture under both mechanical loading and fluid flow conditions.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by vary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racture surface, which were unknown. The numerical responses (circumferential strains) of the sample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and a good match was found between the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under certain mechanical conditions of the fracture surface. Additionally, the effect of fluid flow conditions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sample was investigated and discussed. 원통형 시료의 측면에 일정하게 구속압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삼축시험 셀과는 달리, GREAT 셀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8쌍의 측면 가압장치들을 이용하여 차등적으로 구속압을 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와 방향의 수평 응력장을 생성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선행 논문에서는 다양한 역학적 재하 조건에서 GREAT 셀 시험을 수치해석적으로 모사하고, 원주변형률에 대한 수치해석 및 실험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적용된 수치모델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학적 재하 조건과 유체흐름 조건을 함께 고려하여 균열이 포함된 인공시료에 대한 GREAT 셀 시험을 수치모사하였다. 값이 알려지지 않은 균열면의 역학적 물성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시료의 거동(원주변형률)에 대한 수치해석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균열면의 특정 역학적 조건에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추가적으로 유체흐름 조건이 시료의 역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이론적 고찰

        박도현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2

        There have been growing discussions on establishing desirable artificial intelligence (AI) governance to maximize benefits and minimize harm and risk of AI. Today, the concept of trustworthiness is at the heart of AI governance. However, unlike active practical discussions on the sub- components of trustworthiness, fundamental discussions are insufficient. This may make it difficult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nd critically reflect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trustworthy AI governance and may hinder the creation of desirable legal policie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ies of AI trustworthines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In human society, the concept of trustworthiness focuses mainly on reducing fundamental uncertainty by exercising reciprocity based on good will. While thi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raditional rule-based AI contexts,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deep learning AI, where uncertainty related to results rather than intentions is mainly highligh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trustworthiness theory based on the results. The establishment of a risk management system to reduce uncertainty is at the core of this result-based trustworthiness theory. In the case of technical risk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discussed in the engineering field, various risk management methodologies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cial risks created by deep learning AI, it is not easy to apply the existing quantitative risk management methodologies because they are related to human qualitative values. In response, two alternatives have been proposed: human-in-the-loop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Instead of acknowledging the supremacy of either one, we should have convergent thinking that embraces both. 인공지능의 편익을 극대화하고 해악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다양한 거버넌스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오늘날 인공지능 거버넌스의 중심에는 신뢰성이라는 개념이 자리 잡고 있는데, 신뢰성을 이루는 하부 구성요소에 관한 실무적 차원의 논의가 활발한 것과는 달리 전체를 아우르는 이론적 차원의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거버넌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비판적 성찰을 어렵게 만들고 바람직한 법정책적 대안의 제시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신뢰성의 함의를 규명하고 이로부터 어떠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차원의 논의를 진행하였다. 인간 사회의 신뢰성 개념은 주로 선의지에 기초한 호혜성을 발휘하여 근원적 불확실성을 줄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전통적 규칙 기반 인공지능맥락에서는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주로 의도성 대신 결과와 결부된 불확실성이 부각되는 딥러닝 인공지능 맥락에는 그대로 적용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후자에 대해서는 독자적 신뢰성 이론이 새로이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 기반 신뢰성 이론의 핵심에는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위험관리 체계의 정립이 자리 잡고 있다. 공학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논의된 기술적 위험의 경우 이미 다양한 위험관리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으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실제로도 그러한 상황이다. 반면 딥러닝 인공지능이 만들어 내는 사회적 위험의 경우 인간의 정성적 가치와 결부된 것이어서 기존의 정량적 위험관리 방법론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대해 인적 접근과 기술적 접근의 고도화라는 두 가지 대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어느 하나의 전적인 우위를 인정하는 대신 양자를 포용하는 융합적 사고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