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강릉과 율곡과의 관계

        박도식 (사)율곡학회 2009 율곡학연구 Vol.18 No.-

        From its old days, Gangneung has been called home of literacy for its reputation as a town to produce lots of prominent figures and home of decency for many dutiful sons and daughters and virtuous women. Yulgok was born the third son among 4 sons and 3 daughters of Lee Won-su and Sinsaimdang at his mother's maiden home, Bukpyeong-chon, Gangneung-bu in 1536. Yulgok, who layed his academic groundwork with the support of his mother, he strictly dedicated the funeral rites for his mother by means of Chu-tzuChia-Li(朱子家禮), a book about etiquette when she passed away. Even 3 years after his mother's decease he couldn't overcome the lamentation, wanders and retires to Geumgang Mountain. He finishes the mountain retirement after 1 year and stays in Gangneung for about 1 year before going to Hanyang(Seoul of today). There, he has a historic opportunity to meet Toegye(退溪) who was one of then great scholars at Dosan(Andong of today) in 1558 when he was 23 years old and gives an eulogy for him in a letter sent to Jomok(趙穆), one of disciples of Toegye by using a word, Youth should be regarded with respect(後生可畏). Yulgok is appointed to a position, Hojo-jwarang, after winning the first place in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at 29 years of age in August of 1564. Later, he severs as Yejo-jwarang, Hongmungwan-gyori, Daesagan, Daesaheon, Dongjijungchubusa, Yijo-panseo, Yejo-panseo, Byeongjo-panseo. Yulgok, who spent his childhood in Gangneung until six years, visited Gangneung whenever there were matters great and small, keeping a close relations with the Neo-Confucian Literati. Included in this the Neo-Confucian Literati are Choi Un-woo(崔雲遇) and Kim Yeol(金說) from 12 Local Worthies(鄕賢). His demise is followed by building SeoWon(private academies) designed to cherish the memory of his decease and one of those halls built under the lead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a doctrinal faction in Gangneung is a shrine, Seokcheonmyo(石泉廟). At the time when it was being built, this shrine was located on a hill called Wanggogae(王峴), in Haksan-ri, Gujeong-myun. Later in 1652, it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Eonbyeol-ri, Gangdong-myun under the cooperation of Kim Ik-hee, then an magistrate of Gangwon-do and Lee Man-yeong, then a vice envoy of Gangneung, and renamed ‘Sondam-SeoWon’. Later it became the so-called royally chartered private academies(賜額書院) in 1660 by an appeal for royally chartered made in 1659. 강릉은 예로부터 문장과 덕행이 뛰어난 인물이 많이 났다고 하여 ‘文鄕’의 고장이라 하였고, 효자‧효부‧열녀가 많이 나온 곳이라 하여 ‘禮鄕’의 고장이라 하였다. 율곡은 1536년(중종 31) 강릉부 북평촌 외가에서 이원수와 신사임당의 4남 3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학문의 기초를 어머니로부터 닦은 율곡은 16세 때 어머니 사임당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주자가례』에 의해 어머니의 喪葬禮를 정중히 마쳤고, 삼년상을 치른 뒤에도 어머니에 대해 애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해 방황하며 마음을 정하지 못하자 속세를 떠나 금강산에 들어간다. 1년 만에 하산한 율곡은 1여 년을 강릉에서 머물다 한양으로 올라간다. 율곡은 23세 되던 1558년에 陶山으로 가서 당대의 석학인 퇴계 선생과 역사적인 만남을 갖게 되는데, 퇴계는 그의 제자 月川 조목에게 보낸 편지에서 ‘後生可畏’란 말로 율곡을 칭송하고 있다. 율곡은 29세 되던 1564년(명종 19) 8월에 실시한 대과에서 장원급제한 후 호조좌랑에 임명되어 첫 벼슬길에 오르게 된다. 그후 예조좌랑을 거쳐 이조좌랑, 홍문관 교리, 병조참지, 대사간, 대사헌, 동지중추부사, 이조‧형조‧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6세 때까지 강릉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율곡은 외가에 대소사가 있을 때마다 강릉을 방문하였고, 그때마다 강릉의 士類들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강릉의 사류 가운데 율곡과 교유 관계를 가진 인물로는 12鄕賢 가운데 최운우와 김열이 확인된다. 율곡 사후에 강릉지방에서의 추모활동은 먼저 서원건립으로 나타난다. 강릉지방의 사림들이 율곡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은 石泉廟이다. 석천묘는 건립 당시 구정면 학산리 왕고개[王峴]에 있었다. 그러나 1652년(효종 3)에 강원감사 김익희와 강릉부사 이만영의 협조를 얻어 현재의 위치인 강동면 언별리로 이건하면서 ‘송담서원’이라 개칭하였다. 1659년(효종 10)에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1660년(현종 1)에 사액서원이 되었다.

      • KCI등재

        조선전기 영동지역의 전세조공물

        박도식 강원사학회 2020 江原史學 Vol.0 No.34

        This paper aims to examine on the tributary substitute for land tax of Yeongdong reg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this, it also hope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ribut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were original tribute(元貢物) and a tributary substitute for land tax(田稅 條貢物)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original tribute was a tribute to calculate the amount of rice paddies and fields and to pay them to the authorities in Seoul(中央各司), the tributary substitute for land tax was a tribute to collect the necessary goods for life such as cotton, ramie, cooking oil and honey them to the authorities in Seoul. These land taxes(田稅) mainly received from grain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Various mode of transportation were used to transport these items to Hanyang. The ship was most appropriate transportation of large quantities of goods especially the rice grains which have many mounts and are difficult to transport through land route since traversing with rough peaks Yeongdong region in Gangwon-do. On the other hand, some areas have paid the tributary substitute for land tax such as cotton honey spec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ist Services were held within the royal family. The Sangwonsa Temple as a representative temple maintained the situation from the activ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in Yeongdong region King Sejo also ordered to lower the rice, cotton, pig iron expenses and materials required to rebuild the Sangwonsa Temple. Moreover, the year after rebuilding the Sangwonsa Temple, he gave a Sansanjeeon(蒜山堤堰, Laying an Embankment in Gangneung) to the Buddhist monk Sinmi(信眉). The preference for the Sangwonsa Temple is not limited to land, but it also exempted a special sergeant in the Naesusa(內需司, the king's private office) slaves, miscellaneous services(雜役) and labor services(徭役), and the salt kiln tax(鹽盆稅) owned by the temple. the Buddhist monk Hakyul(學悅) was forced to distribute and repay the cotton to the private sector, and those who can not pay back within the deadline was also received interest. 본고는 조선전기 영동지역의 전세조공물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전기의 공물 연구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선전기 공물에는 원공물과 전세조공물이 있었다. 원공물은 논밭의 결수를 통계하여 잡물을 계산해 중앙각사에 납부하는 공물이었고, 전세조공물은 면포·마포· 유밀 등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징수하여 중앙각사에 납부하는 공물이었다. 전세는 주로 쌀·보리·밀·콩 등의 곡물류를 수취하였다. 이들 현물을 한양으로운송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운송수단이 사용되었다. 특히 산지가 많아 육로 운송에어려움이 많은 미곡과 같은 대량의 물품을 운송하는 데는 선박이 가장 적절한 수단이었다. 특히 강원도 영동지방은 험난한 큰 고개를 넘어야 했기 때문에 輸納의 어려움이 다른 도에 비해 매우 컸다. 그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조공물로 布類를 납부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조선초기에는 왕실과 관련된 사원들을 중심으로 불사가 이루어졌다. 영동지방에서 왕실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으며 사세를 유지시켜 간 대표적인 사원은 상원사였다. 세조는 상원사를 중창할 때 이에 소요되는 경비와 자재로 米穀·綿布·正鐵 등을 내리기도 하였고, 상원사를 중창하고 낙성법회가 있었던 그 다음해에 상원사에산산 제언을 사급하였다. 상원사에 대한 특혜는 토지에 국한되지 않고, 내수사 노비특사와 각종 잡역과 요역, 사원 소유의 염분세를 면제해 주었다. 학열은 민간에게면포를 강제로 나누어주고 갚게 하였는데, 기한 내에 갚지 못하는 자에게는 이식을 계산하여 받기도 하였다.

      • 聖書에 나타난 女性像 : 家事활동을 中心으로

        박도식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1 女性問題硏究 Vol.19 No.-

        성서에 神이 인간을 창조할 때 남성과 여성으로 창조하여 각기 고유한 노동의 분야를 제시하고 있다. 최초로 창조된 인간이 부여받은 사명은 「자식을 낳고 번성하여 온 땅에 펴져서 땅을 정복하여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위를 돌아다니는 모든 짐승을 부려라」(창세기 1장 28절) 우주를 개발하고 동물들을 다스리는 소위 인간의 사명은 「노동」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인간의 존재와 더불어 주어진 노동의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인간은 노동을 통해서 자신이 성숙되게 마련이다. 다시말해서 노동은 '인간 성숙의 기본 조건'이다. 남여가 한 가정을 이루는 자연법은 곧 인간 사회성의 기초가 된다. 한 작은 가정공동체를 위해서 주어진 그 노동의 분야가 다르다. 여성이 맡은 가정사회의 성숙과 발전을 위한 영역이 곧 가사활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성서에서도 우선 여성은 가정에서 가사활동에 전념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으며 그 아름다운 실례도 여러곳에서 볼 수 있다. 위대한 어머니의 귀감으로 나타나는 성모 마리아의 생애에서도 가사활동이 너무 소상하게 서술되고 있다. "어린 예수는 성모를 잘 도왔다. 성모가 맷돌을 돌리면 아드님은 맷돌 안쪽의 돌가운데 구멍에 밀을 넣는다." 이런 말을 보아서도 마리아도 평범한 한 가정부로서의 가사활동에 모범을 보여주신 사실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뭇 여성들이 가사활동을 무시하고 사회활동을 노리고 있지마는 실상 여성의 기본 위치와 노동은 가사에 전념해서 가정을 꾸려 나가고 자녀들을 양육하는 기본 영역을 잊어서는 안된다. 여성은 '가정의 태양'이라고 했다. 태양이 빛을 잃으면 세상은 암혹이다. 여성들이 가정을 떠나면 태양을 잃은 가정이 된다. 결론해서 말하면 인간은 남성과 여성이 한 공동체를 이루게 마련이다. 이 공동체안에서 양성이 맡은 고유한 분야가 있다. 남성은 사회활동을 통해서 가정살이의 기본 문제를 해결하고 여성은 가사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사명을 느끼고 의무 수행을 해야한다는 것이 성서의 가르침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鄭保의 단종복위운동 연루와 伸寃ㆍ追尊 연구

        박도식(朴道植)(Park Doh-Sik) 포은학회 2012 포은학연구 Vol.10 No.-

        When the restoration movement for King Danjong was taking place, JeongBo(鄭保) pleaded for Six honorable vassals(死六臣)'s innocence. He was sentenced to firmly tied to break on the wheel(轘刑) for an offense of disorderly talk(亂言罪). But the death sentence was reduced to imprisonment when the King learned that he was Jeong Mong-ju's grandson. He was exiled to YeoungIl(영일) and was moved to MunTae-Chon(문태촌) at DanSeong(단성). The persons involved with the restoration movement for King Danjong was carried out by 17th year of King Sukjong in 1691. King Sukjong himself lead the reinstatement based on King Sejo' order in which King Sejo said "they are contemporarily traitors but must be loyal subjects in the future." With the exoneration of Six honorable vassals, King Danjong was also reinstated. The restoration movement for King Danjong of them were involved with accelerated. Yi-You(李濡) expressed his viewpoint that some people like JeongBo should be reinstated, introducing JeongBo's historical deeds. King Sukjong gave JeongBo a higher officiary title Yijochamui(吏曹參議) than when he was alive. King Yeongjo(英祖) followed suit. He also kept working at it and tried to take relevant measures. In 1736, a confucian named Park Jae-Hyun in Youngwol explained the historical deeds of Kim Shi-Seub(金時習), Nam Hyo-On(南孝溫), Weon Ho(元昊), Gweon Jeol(權節), Jo Ryeo(趙旅), Yi Maeng-Jeon(李孟專), JeongBo, Seong Dam-Su(成聃壽) and asked that the King should offer special support. King Yeongjo said that he would take appropriate measures after he confirm. But it was not realized. The category of '8 wise figures(8賢)' was formed in King Yeongjo. Youngwol citizens built 8 wise figures shrine(8賢祠) on the right side of Changjeol-sa(彰節祠) and offered them a sacrificial rite. Following that, King Jeongjo put the deeds of King Danjong and other historical figures together by compiling Jang'reung Sabo(History of the King buried in Jang'reung, 莊陵史補). King Jeongjo wanted to wrap up the argument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phases. King Jeongjo referred to JeongBo who was almost to be executed after he defended actively for Six honorable vassals as the Loyal Vassals of JeongEui(靖義諸臣). King Sunjo(순조) sat on the throne at the age of 11. The political circle awoked the deeds of King Danjong and the Loyal Vassals(제신). Rewards were offered to them. But, there was no additional Honoring(褒獎). According to Nam Jeong-Chel's request, JeongBo was granted the Jung second Grade(정2품) Jahundaebu(資憲大夫) Naebudaesin(內部大臣), but posthumous epithet was not offered to him. 鄭保는 세조 2년(1456) 6월에 단종복위운동이 일어났을 때, 死六臣의 무죄를 주장했다가 亂言罪로 연루되어 車裂刑에 처해졌으나 형 집행 직전에 정몽주의 손자라는 사실이 알려져 감형되어 영일로 유배되었다가 후에 丹城의 文泰村에 移配되었다. 단종복위운동에 연루된 자들에 대한 신원 조처는 숙종 17년(1691)에 국왕의 주도로 전격 단행되었다. 숙종은 사육신의 신원을 직접 주도하면서 세조의 비망기를 내세웠는데, 그 내용은 세조가 이들을 "당대에는 난신이나 후세에는 충신"이라고 평하였다는 것이다. 사육신의 복권과 함께 숙종 24년(1698) 11월에는 端宗도 복권되었다. 사육신 복권과 단종 복위를 계기로 단종복위운동의 관련자에 대한 복권도 가속화되었다. 숙종 25년(1699) 4월에 李濡는 鄭保의 행적에 대해 소개하면서 단종이 복위된 만큼 사육신 외에 정보와 같은 인물들도 복권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자, 숙종은 정보를 복권하고 이조참의에 추증한다. 숙종에 이어 영조 역시 단종복위운동 관련자 사적의 정비와 인물 顯彰에 대한 조처를 계속해서 확대 발전시켜 나갔다. 그러나 영조대에는 '단종제신'에 대한 포장이 활발하게 논의되던 숙종대와 달리 개별적 포장 요청과 수락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영조대에는 생육신과 별도로 '八賢'이라는 범주가 형성되었다. 8현의 범주가 형성되면서 영조 8년(1732)에 영월 인사들은 창절사 오른편에 八賢祠를 건립하여 이들을 제향하였다. 영조 12년(1736)에 영월의 유생 朴賢齊 등은 팔현의 신위를 모신 八賢祠에 사액해 줄 것을 청하였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이어 정조는 『莊陵史補』를 편찬하여 단종 및 제신의 사적을 종합 정리하였다. 여기서 정조는 제신의 사적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함으로써 그와 관련된 제반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하였다. 정조는 사육신을 적극 변호했다가 죽임을 당할 뻔했던 鄭保 등을 '靖義諸臣'이라 칭하였다. 정조를 이어 순조가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면서 정계는 단종과 諸臣의 사적을 다시 환기하였고, 이로 인해 제신에 대한 추가적인 포장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정보의 추가적인 추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후 고종 42년(1905) 남정철의 요청에 따라 고종은 정보에게 정2품 資憲大夫 內部大臣을 추증하였으나 시호는 끝내 내리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