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世紀 初 國語學의 滑音과 二重母音에 대한 認識 -國語 文法書를 中心으로-

        박대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lide recognition and diphthong description. This study reviewed the method of description in grammar books published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the material time of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and traced relationship between the method of description and the glide recognition of grammarian. Some authoritative grammar books which have particular descrip- tion of diphthong were chosen first, and then the specific characters of diphthong description were summarized in this study. And this study groped for the way specific characters of description connect with glid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glide and diphthong, the grammar books published in that period were classified into the ignorance of glide, the beginning of glide recognition, and total glide recognition. The diphthong descriptions were depending on glide recognition. In such grammar books as Kim Kyu-sik(1908), Yu Kil-jun(1909), Kim Heu-sang(1911), because of diphthong analysis from it's character, we can not find any glide recognition. They analyzed diphthong into more than one character. After that, Kim Du-bong(1916, 1922), Ahn Hwak (1923) took in phonetic theory from the outside world. So they could study based on real voice. But it is important that they accomplished their works founded on the tradition of Korean Um-hak. As a result, phonetic recognition of glide began, and diphthong could be described, the same. And then Choe Hyun-bea(1929) put the established studies together, enlarged them. His study included phonological analyze as well as phonetic description. At th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most of studies on glide and diphthong succeed to the achievements accumulated from the early years of 20th century. 국어 音聲學 및 音韻論 硏究의 발전에서 중요한 시기로 평가되는 20世紀 初의 文法書에서 二重母音을 어떻게 記述하고 있는지를 살피고 그 기술 방식과 연구자들의 滑音 認識 사이의 연관성을 밝혔다. 이 시기에 發行된 문법서를 활음과 이중모음의 기술에 따라 滑音의 未認識, 滑音 認識의 始作, 滑音의 綜合的 認識 단계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단계에 따라 이중모음에 대한 기술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추적하였다. 활음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지 않는 金奎植(1908), 兪吉濬(1909), 金熙祥(1911), 주시경(1914) 등의 문법서에서는 이중모음을 文字的으로 分析, 둘 이상의 文字가 結合한 결과로 보았다. 김두봉(1916, 1922), 安廓(1923)은 音學 硏究의 傳統을 바탕으로 音聲學 理論을 수용, 現實音을 연구하여 활음에 대한 음성학적 인식을 기반으로 이중모음을 기술하였다. 최현배(1929)는 활음과 이중모음에 대한 기존 연구를 綜合하고 擴張하였다.

      • KCI등재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변화 경향과 요건

        박대아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ity brand slogans in totality and to analyze the requirement and changing tendency of it. We compared the city brand slogans in 2017 with the city brand slogans in 2007 and analyzed changing tendency. We also analyzed the character and material of city brand slogans. The local governments using its own city brand slogan have multiplied. The growth of using ratio of city brand slogan stood out in city units because of its geographic, cultural, administrative independence. The city brand slogans marked with Hangeul(Korean alphabet) have increased. Because the marking with Hangeul has advantages of transfer concrete meaning, create friendliness, linguistic playfulness. The value materials have reduced, the natural materials and the humanities materials have expanded in city brand slogans to secure the probability and the distinctiveness of city brand slogans. The efficient city brand slogans should have the probability, the expandability and the distinctiveness at least. The city brand slogan has to be connected with the city features, has to include the city future value, h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전체적으로 조사하여 변화 경향과 특징 및 요건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7년 1월 현재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활용하고 있는 도시브랜드 슬로건과 2007년의 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변화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형식적 측면인 표기 방식과 내용적 측면인 사용 소재의 변화 양상도 분석했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을 사용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가 크게 증가했는데, 특히 지리적‧문화적‧행정적 독립성이 강한 시 단위에서의 사용 비율 증가가 두드러졌다. 표기 방식에서는 한글표기가 증가했다. 한글표기가 구체적 의미 전달, 친근한 정서 유발, 언어유희적 표현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소재 활용에서는 가치 소재는 축소되고 자연‧인문 소재의 활용은 확대되었다. 이는 도시브랜드 슬로건의 개연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효과적인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개연성, 확장성, 차별성을 갖추어야 한다.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도시의 특징과 직관적으로 연결되고 도시의 미래 가치를 포함해야 하며 다른 도시와 형식적‧내용적으로 구별되어야 한다.

      • KCI등재

        글쓰기 교재의 자기소개서 항목 구성에 대한 연구 -거점국립대학교 글쓰기 교재의 자기소개서 항목을 중심으로-

        박대아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0 사고와표현 Vol.13 No.1

        In this study, the reality of self-introduction education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was identified through the topic of self-introduction in the writing textbook of the hub national university. Four stages of preparation, writing, example, and exercise we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self-introduction item.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lack of explanation for the genre and explanation for the pre-survey were cited as problems. In the preparation stage, declarative writing techniques and specific written methods were identified as problems. In the writing stage, declarative writing techniques and specific written methods were identified as problems. At the stage of the illustrative examples, some textbooks have found that examples are presented without the formal and detailed conditions of the question or self-introduction, and the diversity of examples is not ensured. In the exercise stage, the problem was pointed out as the lack of practicality and non-stepwise practice problems. It then proposed the formation of a question-integrated self-introduction item. A description of the concept and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self-introduc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presented to plan during the preparation stage. Data surveys should systematically present the importance of pre-survey, the method of pre-survey, and the method of utilizing the results. The stage of writing, the stage of illustrative examples, and the stage of exercise questions form an integrated configuration. The writing stage should specifically provide an analysis of the question intention and the writing method by questions. At the stage of the illustrative examples, a variety of best examples should be experienced. And at the stage of the exercise question, practical and stepwise exercise question are experienced. Therefore, efficient self-introduction writing education should be pursued. 이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의 현실을 거점국립대학교의 글쓰기 교재의 자기소개서 항목을 통해 확인하였다. 자기소개서 항목의 문제점을 준비하기, 작성하기, 예시문, 연습문제의 네 단계로 나누어 살폈다. 준비하기 단계에서는 장르에 대한 설명과 사전조사에 대한 설명의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작성하기 단계에서는 선언적인 작성 요령과 구체적이지 않은 문항별 작성 방법이 문제점으로 확인되었다. 예시문 단계에서는 문항의 질문이나 자기소개서의 형식적⋅내용적 조건을 누락한 채 예시문을 제시하는 경우와 예시문의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가 일부 교재에서 발견되었다. 연습문제 단계에서는 현실성이 부족한 연습문제와 비단계적 연습문제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어서 문항-통합적 자기소개서 항목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준비하기 단계 중 계획하기에는 자기소개서의 개념과 장르적 특성에 대한 설명이, 자료조사에는 사전조사의 중요성과 사전 조사 방법, 결과 활용 방법에 대한 설명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작성하기 단계, 예시문 단계, 연습문제 단계는 통합적 구성을 이루는데, 작성하기 단계에는 문항의 질문 의도 분석과 문항별 작성 요령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예시문 단계에서는 문항별 모범 예시문을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연습문제 단계에서는 현실적이고 단계적인 문항별 연습문제를 경험하게 하여 효율적인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을 추구해야 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행정 슬로건의 언어적 특징과 변화 양상

        박대아,김숙정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8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esent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slogans used by local government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city brand slogans and administrative slogans among regional slogans was revealed, an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slogans were summarized through this. The entire administrative slogan of the 6th and 7th local governments was investigated, and linguistically analyzed. The linguistic analysis of the administrative slogan was divided into formal and semantic aspects. For the form of administrative slogans, linguistic structure, language notation, vocabulary frequency, and sentence composition were analyzed.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administrative slogan is ‘expression + region name’, but there are slogans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region name is included in the expression, and there are some cases where the region name is not presented in the slogan. The vocabulary that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in the administrative slogans of the two periods is ‘happiness, city, citizen’, etc., which is either a positive word or an essential word in the composition of administrative slogans. The sentence composition of the administrative slogan is first divided into word segment type, phrase type, and sentence type, and the phrase type is again divided into a single phrase type and a distich type. The meaning of the administrative slogan was divided into a target presentation type, a goal presentation type, and a method presentation type based on the emphasized components of the administration, and then the changes in each specific realization pattern were examined. Among the target presentation types in both the 6th and 7th periods, slogans that emphasize the happiness of local residen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ere used at a high rate, but changes were confirmed in specific realization patterns.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하는 행정 슬로건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 관련 슬로건 중 도시브랜드 슬로건과 행정 슬로건의 차이점을 밝히고, 이를 통해 행정 슬로건의 개념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총 243개 지방자치단체의 민선 6기와 7기 행정 슬로건 전체를 조사하고 이를 언어적으로 분석하였다. 행정 슬로건의 언어적 분석은 형식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행정 슬로건의 형식에 대해서는 언어적 구조, 언어 표기, 어휘 빈도, 문장 구성 등을 분석하였다. 행정 슬로건의 일반적인 구조는 ‘표현+지역명’이지만 지역명이 표현에 포함된 구조를 갖는 슬로건도 있으며, 지역명이 슬로건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도 일부 존재한다. 두 시기의 행정 슬로건에서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어휘는 ‘행복, 도시, 시민’ 등의 어휘인데, 이들 어휘는 가치 지향적 의미의 어휘이거나 행정 슬로건 구성에 필수적인 어휘이다. 행정 슬로건의 문장 구성은 어절형, 구형, 문장형으로 우선 나뉘며 구형은 다시 단구형과 대구형으로 나뉜다. 행정 슬로건의 의미는, 강조되고 있는 행정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대상 제시형, 목표 제시형, 방식 제시형 나눈 뒤 각각의 구체적인 실현 양상의 변화를 살폈다. 민선 6기와 7기 모두 목표 제시형 중에서 지역민의 행복과 지역의 발전을 강조하는 유형의 슬로건이 높은 비율로 사용되었으나, 구체적인 실현 양상에서 변화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신조어 ‘개’의 문법적 지위와 변화에 대하여

        박대아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linguistic issues associated with the new-word 'ge(개)'. To this end, the following facts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issues such as the origin, the grammatical status, and the cause of the change of the new-word 'ge(개)'. First of all, the new-word 'ge(개)' is a prefix derived from the existing prefix 'ge(개)' Next, the change from the existing prefix 'ge(개)' to the new-word prefix 'ge(개)' relates to the meaning entry 「3」 and is summarized as the loss of two constraints. One is the loss of the semantic constraint of 'negative meaning' and the other is the loss of the morphological constraint of 'attached to some nouns'. The loss of morphological constraints resulted from the noun's own semantic property of the noun that combines with the new-word prefix 'ge(개)', and from non-termination, a practice of verbal usage that does not completely end sentences. Finally, it was believed that functional gaps caused by the decline of similar functional forms, and deviant motives, language entertainment motives, and strengthening ties motives also contributed to the productivity of the new-word prefix 'ge(개)’ 이 연구의 목적은 신조어 ‘개’와 관련된 언어적 문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조어 ‘개’의 유래, 문법적 지위, 변화의 원인 등의 문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제시하였다. 우선, 신조어 ‘개’는 기존의 접두사 ‘개’로부터 유래한 접두사이다. 다음으로, 기존의 접두사 ‘개’에서 신조어 접두사 ‘개’로의 변화는 「3」의 뜻풀이 항목과 관련되며 두 가지 제약의 소실로 요약된다. 하나는 ‘부정적인 뜻을 가지는’이라는 의미 제약의 소실이며 다른 하나는 ‘일부 명사 앞에 붙어’라는 형태 제약의 소실이다. 의미 제약의 소실은 신조어 접두사 ‘개’의 어원어인 명사 ‘개(犬)’에 대한 언중의 인식 변화에서 비롯되었으며, 형태 제약의 소실은 신조어 접두사 ‘개’와 결합하는 명사 어기 자체의 의미 속성인 서술성과 문장을 완전하게 종결하지 않는 언중의 언어 사용 습관인 비종결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밖에도 유사 기능을 담당하던 형태들의 쇠퇴로 인한 기능적 공백과 언중의 언어적 일탈 동기, 유희 동기, 유대 강화 동기 등도 신조어 접두사 ‘개’의 생산성에 복합적으로 기여했을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의 띄어쓰기 오류 유형과 지도 방안

        박대아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8 No.-

        The formal part as well as the process is important for the writing. But the college students make many formal errors in writ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attern out the frequent word spacing error, to come up with effective plans for guidance on the word spacing. The error pattern of word spacing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rror pattern of non-spacing instead of word spacing and the error pattern of spacing instead of non-spacing. The former occurs more frequently than the latter. This is the reflection of the tendency to seek the non-spacing than the spacing as far as possible. The most frequent non-spacing error is the non-spacing 'noun+noun' pattern. In the second place, there is non-spacing 'preceding component +bound noun' pattern, and 'modifying component+noun' pattern. Meanwhile, spacing error pattern occurs in the spacing postposition and affix from preceding independent component. And Some students separate one word into two words. This paper also places emphasis on the consistency of word spacing in the same work, and points out inner and outer cause of word spacing error. The students must be taught the orthography including word spacing in the writing class. The teachers have to deliver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word spacing, to emphasize consistency of word spacing, to construct the guidance details according to the error pattern, and to guide students through the word spacing on ways of using the effective contents. 글쓰기에서는 과정뿐 아니라 띄어쓰기와 같은 형식적인 부분도 중요하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실제 글쓰기에서 많은 형식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 연구는 빈번히 발생하는 띄어쓰기 오류를 유형화하고 적절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생들의 띄어쓰기 오류 유형은 크게 ‘띄어 써야 할 것을 붙여 쓴 유형’과 ‘붙여 써야 할 것을 띄어 쓴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붙여 쓴 오류가 띄어 쓴 오류보다 월등히 많았는데, 이는 띄어서 쓰기보다는 가능한 한 붙여 쓰는 학생들의 띄어쓰기 경향을 반영한다. 학생들이 가장 빈번하게 범하는 띄어쓰기 오류는 띄어 써야 할 ‘명사+명사’ 결합을 붙여 쓰는 유형이다. 그 다음으로 의존명사를 앞 성분과 띄어 쓰지 않는 유형이며, 명사를 수식하는 성분과 수식을 받는 명사를 붙여 쓰는 오류도 많았다. 띄어 쓴 오류로는 종속적 성격을 지닌 조사와 접사를 독립적 성분으로부터 띄어 쓴 경우가 자주 발견되었으며, 한 단어를 두 단어로 잘못 분석하여 띄어 쓴 경우도 있었다. 또한 띄어쓰기의 일관성에 대한 문제도 지적되었다. 이 문제는 규정에서 인정한 예외들 때문에 발생하는데, 띄어쓰기 예외 규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조건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한 편의 글에서는 일관된 원칙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띄어쓰기 오류를 범하는 원인은 내부적 원인과 외부적 원인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내부적 원인은 띄어쓰기와 관련된 문법 지식의 부족을 가리키며, 외부적 원인은 띄어쓰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말한다. 띄어쓰기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학의 글쓰기 수업에서 띄어쓰기를 포함한 어문규정을 반드시 지도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을 충실히 전달해야 하며 띄어쓰기의 일관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오류 유형에 따라 지도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띄어쓰기를 지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KCI등재

        남성혐오표현과 여성혐오표현의 상호작용 연구 - 반사형(反射型) 혐오표현을 중심으로 -

        박대아(Park, DaeAh)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6 No.-

        이 연구에서는 남성혐오표현과 여성혐오표현에서 형태적·의미적 상호 대응 관계에 있는 혐오표현을 반사형 혐오표현으로 정의하고 이들을 조사한 후 목록을 작성하였다. 반사형 혐오표현은 언어적 실현 방식에 따라 남녀 지시형 혐오표현과 남녀 대입형 혐오표현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반사의 작용 방식에 따라 일반적인 반사 작용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역반사형 혐오표현과 반사 작용의 중복으로 만들어지는 재반사형 혐오표현으로 유형화하였다. 반사형 혐오표현은 다양한 조어 방식을 통해 형성되는데, 대응 관계에 있는 혐오표현과 형태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된다. 형태적 상호작용의 특징은 형태 유지와 형성 방식 유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성별을 의미하는 형태교체로 혐오의 방향을 전환하면서 나머지 형태와 형성 방식은 최대한 유지한다. 형태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반사형 혐오표현의 의미는 최대한 보존되며, 남성혐오표현과 여성혐오표현 간 의미 차이는 혐오의 방향으로만 나타난다. 의미적 상호작용은 대응 혐오표현의 형태를 온전히 유지하면서 의미 전환만으로 혐오의 방향을 뒤집는 극단적인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혐오 의미 강화를 위해 의미적 대응 관계를 의도적으로 파괴하는 경우도 있다. 반사형 혐오표현의 형태적 의미적 상호작용은 반사(미러링 mirroring)의 명분과 목적의 효과적 선전이라는 대외적 의도와 새로운 혐오표현에 대한 이해·수용·활용 정도를 높이려는 대내적 의도 때문에 발생한다. In this paper, misandry expression and misogyny expression that are morphologically or semantically interrelated are defined as reflective hatred expressions, and then listed. Reflexive hatred expressions are formed through a variety of word formation, which are formed by morphological interactions with corresponding hatred expressions.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interactions can be explained by maintaining form and formative methods. By replacing only gender-meaning forms, they shift only the direction of hate, while maintaining the rest of the forms and the formative methods to the fullest extent possible. Due to the morphological interaction, the meaning of reflexive hatred expressions are preserved to the fullest extent, and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misandry expressions and misogyny expressions only appears in the direction of hate. Semantic interactions are sometimes shown in extreme ways to reverse the direction of hate only with semantic transitions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corresponding hatred expressions intact, and sometimes intentionally destroy semantic correspondence to reinforce hate meaning.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interaction of reflective hate speech occurs due to the external intention of effective propagation of the cause and purpose of mirroring, and the internal intention of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acceptance and utilization of new hatred expression.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글쓰기 인식에 대한 추적조사 연구 -M대학교의 글쓰기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박대아 ( Park Dea-ah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7 No.-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인식과 수강 이후 인식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2019년 1학기 전라남도 소재의 M대학교에서 진행된 <글쓰기의 기초> 강의를 수강한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두 차례의 연속적인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1차 설문조사는 <글쓰기의 기초> 강의가 진행되던 1학기 초반에 이루어졌고, 2차 설문조사는 8개월 뒤인 2학기 후반에 이루어졌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와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2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 수업 이후 변화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이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특정한 글쓰기 환경과 경험에 노출되어 매우 제한적인 글쓰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글쓰기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만족도에 대한 긍정 응답의 이유로는 교육 방식, 교육 내용, 담당교수 등의 요인이 관여하고 있었으며 부정 응답의 이유로는 과제, 학점, 교육 방식 등의 요인이 관여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현실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글쓰기 과목을 희망하고 있었다. 글쓰기 강의의 체제에 대해서는 1학점에서 2학점으로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이수 학기의 확대나 수업시간의 확대는 희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글쓰기 효능감 강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차례의 설문조사는 글쓰기 효능감과 관련되는 글쓰기 선호도와 글쓰기 용이성, 글쓰기 만족도 등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the perception of writing by students who take writing classes at university and the changing pattern of perception change. The study is based on two surveys of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Basics of Writing" at M University in Mokpo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semester when the "Basics of Writing" lecture was conducted, an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eight months later in the second semester. The first survey confirmed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and writing classes, and the second survey confirmed the chang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irst survey. First, we could find that students' basic perceptions of writing tend to expand from a personal level to a social level. Second, students were experiencing very limited writing, exposed to a limited writing environment and experience. Third, students' satisfaction with writing courses was found to be high. Among the reasons for the response to satisfaction were education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professors in charge, while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response were tasks, credits, and education methods. Fourth, students were hoping for writing subjects that could be used directly in real life. As for the writing lecture system, it calls for an expansion to two credits, bu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hope for an expansion of the completion semester or an expansion of class hours. Fifth, the survey confirmed that students who experienced writing classes had a strong writing efficacy. The two surveys specifically show that writing preferences, ease of writing, and satisfaction with writing, related to the writing efficacy, are rising sharply.

      • KCI등재

        세종과 한글을 활용한 지역 문화 정책

        박대아(Park, Dae-Ah)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세종시의 사례를 통해 세종과 한글을 활용한 지역 문화정책을 검토하는 것이다 . 세종시는 지역의 특성에 맞추어 지역 정체성, 지역이미지, 도시 브랜드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세종시를 대표할만한 문화 자산의 부족으로 인해 타 지역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방법을 활용해 지역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세종시는 지역 정체성을 담기 위한 목적으로 명명된 ‘세종(世宗, Sejong)’이라는 도시 명칭에서 출발해 세종, 세종 관련 인물, 한글 및 우리말글 등과 연결되는 지역의 기존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세종시에서는 현재 세종을 모티브로 한 콘텐츠와, 김종서 성삼문 박팽년 등 세종 관련 인물들을 모티브로 한 콘텐츠, 한글 등 우리말글을 모티브로 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문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의 변별성 실효성 체계성 부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원도심의 문화적 소외 현상, 정책과 관련된 내 외부적 갈등의 문제점도 존재하고 있다.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종시의 지역 문화와 지역 정체성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내 외부적 상호작용에 대한 충분한 고려, 정책 및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policies which King Sejong and Hangeul is utilized in Sejong city. Sejong city endeavors after it’s own regional identity, regional image, and city brand.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re must be independent means for it’s own regional identity. Sejong city needs to start at city name ‘Sejong(世宗)’, embodying it’s own regional identity ab initio. And then Sejong city needs to optimize existing cultural resources connected with King Sejong, King Sejong’s surrounding people, and Hangeul. The contents of King Sejong motif, King Sejong’s surrounding people motif, and Hangeul motif are being developed and actualized in Sejong city. But they have the lack of distinctiveness,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 And they have the problem of cultural alienation of original downtown and conflicts related to the policies. To minimize problems, Sejong city needs to carry out basic research of regional culture and regional identity, to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interactions, and to build the management system of policies and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