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종과 한글을 활용한 지역 문화 정책

        박대아(Park, Dae-Ah)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세종시의 사례를 통해 세종과 한글을 활용한 지역 문화정책을 검토하는 것이다 . 세종시는 지역의 특성에 맞추어 지역 정체성, 지역이미지, 도시 브랜드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세종시를 대표할만한 문화 자산의 부족으로 인해 타 지역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방법을 활용해 지역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세종시는 지역 정체성을 담기 위한 목적으로 명명된 ‘세종(世宗, Sejong)’이라는 도시 명칭에서 출발해 세종, 세종 관련 인물, 한글 및 우리말글 등과 연결되는 지역의 기존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세종시에서는 현재 세종을 모티브로 한 콘텐츠와, 김종서 성삼문 박팽년 등 세종 관련 인물들을 모티브로 한 콘텐츠, 한글 등 우리말글을 모티브로 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문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의 변별성 실효성 체계성 부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원도심의 문화적 소외 현상, 정책과 관련된 내 외부적 갈등의 문제점도 존재하고 있다.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종시의 지역 문화와 지역 정체성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내 외부적 상호작용에 대한 충분한 고려, 정책 및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policies which King Sejong and Hangeul is utilized in Sejong city. Sejong city endeavors after it’s own regional identity, regional image, and city brand.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re must be independent means for it’s own regional identity. Sejong city needs to start at city name ‘Sejong(世宗)’, embodying it’s own regional identity ab initio. And then Sejong city needs to optimize existing cultural resources connected with King Sejong, King Sejong’s surrounding people, and Hangeul. The contents of King Sejong motif, King Sejong’s surrounding people motif, and Hangeul motif are being developed and actualized in Sejong city. But they have the lack of distinctiveness,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 And they have the problem of cultural alienation of original downtown and conflicts related to the policies. To minimize problems, Sejong city needs to carry out basic research of regional culture and regional identity, to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interactions, and to build the management system of policies and contents.

      • KCI등재

        대학생의 글쓰기 인식에 대한 추적조사 연구 -M대학교의 글쓰기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박대아 ( Park Dea-ah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7 No.-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인식과 수강 이후 인식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2019년 1학기 전라남도 소재의 M대학교에서 진행된 <글쓰기의 기초> 강의를 수강한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두 차례의 연속적인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1차 설문조사는 <글쓰기의 기초> 강의가 진행되던 1학기 초반에 이루어졌고, 2차 설문조사는 8개월 뒤인 2학기 후반에 이루어졌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와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2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글쓰기 수업 이후 변화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이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특정한 글쓰기 환경과 경험에 노출되어 매우 제한적인 글쓰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글쓰기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만족도에 대한 긍정 응답의 이유로는 교육 방식, 교육 내용, 담당교수 등의 요인이 관여하고 있었으며 부정 응답의 이유로는 과제, 학점, 교육 방식 등의 요인이 관여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현실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글쓰기 과목을 희망하고 있었다. 글쓰기 강의의 체제에 대해서는 1학점에서 2학점으로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이수 학기의 확대나 수업시간의 확대는 희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를 통해 글쓰기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글쓰기 효능감 강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차례의 설문조사는 글쓰기 효능감과 관련되는 글쓰기 선호도와 글쓰기 용이성, 글쓰기 만족도 등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the perception of writing by students who take writing classes at university and the changing pattern of perception change. The study is based on two surveys of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Basics of Writing" at M University in Mokpo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semester when the "Basics of Writing" lecture was conducted, an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eight months later in the second semester. The first survey confirmed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and writing classes, and the second survey confirmed the chang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irst survey. First, we could find that students' basic perceptions of writing tend to expand from a personal level to a social level. Second, students were experiencing very limited writing, exposed to a limited writing environment and experience. Third, students' satisfaction with writing courses was found to be high. Among the reasons for the response to satisfaction were education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professors in charge, while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response were tasks, credits, and education methods. Fourth, students were hoping for writing subjects that could be used directly in real life. As for the writing lecture system, it calls for an expansion to two credits, bu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hope for an expansion of the completion semester or an expansion of class hours. Fifth, the survey confirmed that students who experienced writing classes had a strong writing efficacy. The two surveys specifically show that writing preferences, ease of writing, and satisfaction with writing, related to the writing efficacy, are rising sharply.

      • KCI등재

        남성혐오표현과 여성혐오표현의 상호작용 연구 - 반사형(反射型) 혐오표현을 중심으로 -

        박대아(Park, DaeAh)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6 No.-

        이 연구에서는 남성혐오표현과 여성혐오표현에서 형태적·의미적 상호 대응 관계에 있는 혐오표현을 반사형 혐오표현으로 정의하고 이들을 조사한 후 목록을 작성하였다. 반사형 혐오표현은 언어적 실현 방식에 따라 남녀 지시형 혐오표현과 남녀 대입형 혐오표현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반사의 작용 방식에 따라 일반적인 반사 작용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역반사형 혐오표현과 반사 작용의 중복으로 만들어지는 재반사형 혐오표현으로 유형화하였다. 반사형 혐오표현은 다양한 조어 방식을 통해 형성되는데, 대응 관계에 있는 혐오표현과 형태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된다. 형태적 상호작용의 특징은 형태 유지와 형성 방식 유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성별을 의미하는 형태교체로 혐오의 방향을 전환하면서 나머지 형태와 형성 방식은 최대한 유지한다. 형태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반사형 혐오표현의 의미는 최대한 보존되며, 남성혐오표현과 여성혐오표현 간 의미 차이는 혐오의 방향으로만 나타난다. 의미적 상호작용은 대응 혐오표현의 형태를 온전히 유지하면서 의미 전환만으로 혐오의 방향을 뒤집는 극단적인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혐오 의미 강화를 위해 의미적 대응 관계를 의도적으로 파괴하는 경우도 있다. 반사형 혐오표현의 형태적 의미적 상호작용은 반사(미러링 mirroring)의 명분과 목적의 효과적 선전이라는 대외적 의도와 새로운 혐오표현에 대한 이해·수용·활용 정도를 높이려는 대내적 의도 때문에 발생한다. In this paper, misandry expression and misogyny expression that are morphologically or semantically interrelated are defined as reflective hatred expressions, and then listed. Reflexive hatred expressions are formed through a variety of word formation, which are formed by morphological interactions with corresponding hatred expressions.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interactions can be explained by maintaining form and formative methods. By replacing only gender-meaning forms, they shift only the direction of hate, while maintaining the rest of the forms and the formative methods to the fullest extent possible. Due to the morphological interaction, the meaning of reflexive hatred expressions are preserved to the fullest extent, and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misandry expressions and misogyny expressions only appears in the direction of hate. Semantic interactions are sometimes shown in extreme ways to reverse the direction of hate only with semantic transitions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corresponding hatred expressions intact, and sometimes intentionally destroy semantic correspondence to reinforce hate meaning.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interaction of reflective hate speech occurs due to the external intention of effective propagation of the cause and purpose of mirroring, and the internal intention of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acceptance and utilization of new hatred expression.

      • KCI등재

        남성혐오표현의 유형과 사용 양상

        박대아 ( Park Dea-ah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2 No.-

        남성혐오표현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 사용 양상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남성혐오표현, 즉 남성에 대한 혐오의 정서나 태도가 담긴 언어적 표현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워마드(Womad)’ 사이트를 중심으로 인터넷에서 확인되는 남성혐오표현을 조사하였다. 남성혐오표현은 남성에 대한 혐오의 정서나 태도를 언어적으로 실현하는 방식에 따라 남성 지시형 혐오표현과 남성 대입형 혐오표현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남성 자체를 지시하는 혐오표현, 그중에서도 남성 일반을 지시하는 혐오표현이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으며, 남성 대입형 혐오표현 중 남성 성기를 대입한 혐오표현도 자주 관찰되었다. 남성혐오표현의 사용 양상과 의미 확인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남성혐오표현이 목표로 하는 혐오의 대상은 한국 남성과 한국 사회이며, 남성혐오표현에는 남성혐오라는 분명한 의도가 드러난다. 남성혐오라는 의도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유형·형태·기원의 남성혐오표현이 존재하며, 이들 남성혐오표현들은 한 문맥 내에서 큰 제약 없이 중복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남성 지시형과 남성 대입형 혐오표현은 사용 문맥과 의미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두 유형의 본질적 속성과 관련된다. 남성혐오표현의 두 유형은 남성혐오표현의 생성 기제를 설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ypes of the hatred expression for male, the use aspects of the hatred expression for male, and the meanings of the hatred expression for mal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language expressions with the emotion and the attitude of hatred for male, that is to say the hatred expression for male. the investigation of hatred expression for male centered around ‘Womad’ site. You distinguish between two types of calling-hatred expression and substituting-hatred expression, based on the way of Linguistic reality method of the emotion and the attitude of hatred for male. Calling male-hatred expression is used as a high frequency in the calling-hatred expression. The substituting virilia-hatred expression is used as a high frequency in the substituting-hatred expression. There are some character of the hatred expression for male. The targets of the hatred expression for male is Korean male and Korean society. The hatred expression for male has clear intention of the hatred for male. There are many hatred expression for male based on the various types, forms, origins. The hatred expressions for male are used repeatably in the context without restriction. The calling-hatred expression and the substituting-hatred expression have differing contexts and meanings result from an intrinsic attribute. This two types can be used for the explanation of create mechanism in hatred expression for male.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실

        이기동(Lee Ki-dong),안병섭(Ahn Byoung-seob),박대아(Park Dae-Ah)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1 No.-

        이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실적 문제를 진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어 교사들의 실제적 사례를 조사하였다. 사례 조사는 예비 면접 조사와 설문 조사, 심층 면접 조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현장의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네 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 첫째 한국어 교사의 경제적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 교육 내용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한국어 교육 대상자 선정 기준과 절차를 개선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 교육 현장과 중앙 행정기관 간 소통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현장의 의견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실시되기 위해서는 현장의 의견을 수용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관련 행정기관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practical problem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o achieve this, We researched the real cas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orking in two districts. This case research was consisted of pilot interview, survey, high-impact interview. In a research on site c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It is clear that Four problems should be urgently improved. Firstly, the financial treat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be improved. Secondly,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improved. Thirdly, The criteria and procedure for selecting learners should be improved. Fourthly, The communication systems betwee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administrative agencies concerned. This research found out the concrete suggestions from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For successfu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dministrative agencies concerned must have a will and must make effort to accept suggestions and to solve the problems from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