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융합교육 수업 사례 연구: 초등학교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박다혜,이애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통합교과에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수업 사례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인공지능 융합교육 수업은 ADDIE 모형에 근거하여 개발하였고, 대구 지역 초등학교 1학년 20명을 대상으로 총 1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학습결과물 평가, 수업만족도 조사, 학생 심층면담, 학생 일기 및 교사의 현장 일지를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교과 중심 융합교육의 기반 위에 인공지능의 내용을 통합하는 것을 수업의 개발 원칙으로 설정하고, 초등학교 통합교과 중심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수업을 개발하였다. 수업 내용은 2015 교육과정 통합교과 영역 가운데 초등학교 1학년 2학기에 다루어지는 마을, 가을, 우리나라 영역에서 각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는 ‘나눔장터 가게 만들기’, ‘가을 친구와 친해지기’, ‘우리나라 전통음식 홍보하기’의 프로젝트이었다. 수업을 적용한 결과, 3개의 프로젝트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수업만족도를 나타냈고, ‘인공지능의 이해, 윤리, 활용, 융합’ 영역의 인공지능 교육내용을 학습하는 데에도 의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하는 데 능숙해졌으며, 창의적 사고 및 문제해결능력을 발휘하는 데에도 도움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교육에서의 인공지능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자료의 개발, 인공지능 도구의 기술적 보완, 제도적 지원 방안 마련이요청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I convergence education lesson case that can be applied to integrated curriculum for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it to actual lessons. Methods For this purpose, AI-based educational lessons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ADDIE model and subsequently implemented over 16 sessions with 20 first-grade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Daegu. In order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 aforementioned lessons, a range of methodologies were employed, including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surveys on lesson satisfaction,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an analysis of students' diaries, and the examination of teacher's field not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integrating AI content within the framework of subject-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can significantly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AI, including it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The lessons, which were developed around themes such as the “Community, Autumn, and South Korea” taugh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led to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particular, the projects “Creating a Sharing Market Stall,” “Getting Acquainted with Autumn,” and “Promoting Traditional Korean Foods” not only facilitated a deeper understanding of AI but also enabled students to become proficient in using AI tools. Furthermore, these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thereby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AI convergence education for supporting comprehensive learning outcomes in young learne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AI convergence education within elementary education. In order to implement AI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mes effectively for lower-grade elementar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enhance the technical capabilities of AI tools, and establish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MBTI 선호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및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다혜,장은희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MBTI 선호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수면의 질,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간호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MBTI의 선호유형에 따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외향형일수록 수면의 질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β=.23, t= 2.01, p=.047), 사고형일수록 물질적지지(β=.06, t=.77, p=.025), 판단형일수록 평가적지지(β=.24, t=1.52, p=.014), 인식형일수록 자존감지지(β=-.21, t=-.35, p=.011)가 스트레스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 시 MBTI 선호유형에 따른 개별적 중재방안이 필요하며, 학과, 대학 및 전문가의 융합을 통해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tress, quality of sleep, Social support according to Myes-Briggs Type Indicator(MBTI) personality type in nursing student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urvey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90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8.0. Extroversion preference(β=.23, p=.047) in quality of sleep, thinking prefernce((β=.06, p=.025) in tangible support, judgement preference(β=.24, p=.014) in appraisal support and perception preference(β=-.21, p=.011) in Self-esteem maintena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factors with stress. Therefore, intervention programs for managements of stress should include systematic and indivisual intervention through the convergence of departments, university and specialists in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다혜,김현정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실시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J지역에 소재한 간호학과 4학년 성인간호학교과목을 수강한 35명의 학생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전·후에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을 상승시키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실습모듈 개발 및 교육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test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on knowledge, 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to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of nursing student. This study used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35 senior nursing students who underwent training in the medical-surgical nursing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by utilizing the questionnaire in two separate occasions: before and after the simulation-based training. As a result of this paper, the improvements of the knowledge, 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to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nursing students in the area of knowledge, 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to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 KCI등재

        안전보건법령의 보호대상과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의 문제

        박다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2 민주법학 Vol.- No.79

        중대재해처벌법이 기존의 노동관계법령과 근본적으로 무엇이 다른지를 살펴본다. 형벌을 통해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보건법령으로 산업안전보건법이 존재했지만, 중대재해처벌법은 보호대상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입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산안법이 기본적으로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이라면, 중대재해처벌법은 이를 넘어서 ‘종사자’, 즉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뿐만 아니라 노무제공자, 수급인 및 수급인의 근로자 또는 수급인의 노무제공자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처럼 중대재해처벌법이 보호대상을 넓게 정하고 있다는 것은 이 법상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등에게 부과된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해석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안전·보건 확보의무는 종사자의 안전·보건상 유해 또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법상 개념 및 보호대상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산안법상 제도를 이행한 것만으로는 중대재해처벌법상 관련 의무의 내용을 곧바로 대체할 수가 없다. 또한 중대산업재해 발생시 계약의 형식 등에서 비롯되는 피해자의 지위에 따라 안전·보건 조치의무 위반 사실이 구체적으로 특정되지 않는 등 산안법위반이 매개되지 않는 경우에도 중대재해처벌법상 형사제재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안전·보건 확보의무는 산안법상 안전·보건 조치에 대한 관리에 국한되는 의무가 아니다. 무엇보다도 중대재해처벌법의 보호대상, 의무주체 등을 기존 법령보다 확대한 입법 취지와 규정의 의미를 고려한 해석과 적용이 타당할 것이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현장적용 전이동기, 직업가치관, 사회적 책임이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박다혜,박완주 한국정신간호학회 2022 정신간호학회지 Vol.31 No.3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motivation to transfer, job value, and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nursing intention for emerging communicable diseases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7, 2022 through structured online surveys. The subjects were 140 students in the 3rd or 4th year of nursing college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hierarchical selection methods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Results: In the last two-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intention for emerging communicable diseases were the attitude of social responsibility (β=.33, p=.001) and intrinsic work value (β=.25, p=.013), with 34%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Conclusion: Results show that the attitude of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intrinsic work value are key factors that can increase nursing intention for emerging communicable diseases. Thus,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on nursing education contents, and to develop programs that strengthen the attitude of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intrinsic work value.

      • KCI등재후보

        A Lumbosacral Plexopathy after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Therapy – A Case Report

        박다혜,공민식,조홍식,이창한,윤철호,이은신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17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9 No.1

        Recently, the use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therapy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The common complications of ECMO are renal failure, significant infections, and bleeding events. However, neurological complications in the lower extremity caused by ECMO therapy are rare.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a 33-year-old man who developed monoplegia with right lumbosacral plexopathy after venoarterial-ECMO (VA-ECMO) therapy. He had undergone VA-ECMO therapy for 11 days because of alveolar hemorrhage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aused by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He presented with motor weakness, paresthesia, and swelling of the right lower extremity about 3 days after VA-ECMO disconnection. Electrodiagnostic study showed right lumbosacral plexopathy and peripheral polyneuropathy.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peripheral neurological complications, such as lumbosacral plexopathy, after VA-ECMO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박다혜,김현정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개 지역 6개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64명으로, 일반적 특성과 따돌림, 동료의 지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질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3월 3일부터 2015년 12월 12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생활적응은 동료의 지지(r=.38, p<.001) 및 자아탄력성(r=.69, p<.001)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따돌림(r=-.24, p<.001)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F=334.33, p<.001), 동료의 지지(F=60.86, p<.001) 및 따돌림(F=22.03,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의 설명력은 47%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고, 개발된 교육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364 students from six different nursing colleges were recruited into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bout bullying, peer support,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19.0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3rd, 2014 to December 12th, 2015. The results indicated that bullying(r=-.24, p<.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nursing college adapta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er support(r=.38, p<.001) and ego-resilience(r=.69, p<.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were ego-resilience (F=334.33, p<.001), peer support(F=60.86, p<.001) and bullying(F=22.03, p<.001), explaining 47% of the varia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he educational strategy to improve the peer support and ego-resilience for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IPTV 에서 효율적인 웹 서비스 제공을 위한 Widget UI

        박다혜,배희정,서준규,김윤지,박종찬,박현철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오늘날 기술 경쟁이 심화되면서 업체간 기술 격차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래서 각 기업들은 자사 제품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게 되었고, 그 결과 소비자들에게 높은 기술력을 제공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어 가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PC 에서 웹 서비스(Web-Service)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을 IPTV 에서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고, 그 중 사용자들이 좀더 편리하고 쉽게 웹을 경험할 수 있는 Widget UI 를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IPTV 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Widget UI 는 서로 독립적인 Widget 서비스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Widget 서비스의 개수와 배치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제공된다. 즉, 우리는 IPTV 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웹 서비스 제공 Widget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또한 각 Widget 서비스의 정보 검색은 리모컨의 4 방향 키를 사용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학습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학습 편의성과 사용 편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IPTV 에서 사용하기 힘들었던 웹 서비스의 사용성을 크게 향상 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Widget UI 의 사용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UI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결과 비교를 위해 다른 웹 서비스 제공 UI 들도 추가적으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Widget UI 가 타 UI 들에 비해 높은 사용성 평가를 기록하였으며, 이 결과는 결국 우리가 제안한 Widget UI 가 IPTV 에서 웹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효율적이고 적합한 방식임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