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 학생의 내재적 동기 유발을 위한 사회과 놀이중심 문제해결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박남수,최성규,정수권 한국학습장애학회 2009 학습장애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ocial studies play centered problem solving program for immanence motive mortar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first, we investigated about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and instruction method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revealed that the immanence motive mortar is important for efficient learning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we suggested to introduce the play centered problem solving activity in the social studies learning process. In the second place, we set a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as like consideration of behavior and studying traits of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maximum of quantity and quality on social studies learning, the intention of the growth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And we developed concrete program and complemented trough the application in social studies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학생들의 내재적 동기 유발을 위해 놀이중심의 사회과 문제해결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습장애 학생의 특성 및 지도 방안, 사회과의 성격과 학습장애 학생의 지도 등에 대해 고찰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장애 학생의 효율적인 사회과 학습을 위해서는 내재적 동기 유발이 중요함을 밝히고 이를 위해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에 놀이중심의 문제해결 활동을 도입하는 것이 적절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했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는 학습장애 학생들의 행동 및 학습 특성의 고려, 수업 참여의 양과 질의 최대화, 학습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상호 발전의 지향 등과 같은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한 다음 사회과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 KCI등재
      • 신라 하대 흥륜사 벽화 보현보살상과 순지의 보현행

        박남수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5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

        흥륜사는 신라 최초로 국가적으로 건립한 사찰로서 신라 전 시기를 통하여 승정의 중심이 되는 도량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폐사지나 주존불에 대하여는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이러한 연구 현황과 관련하여 『삼국유사』 탑상편 흥륜사벽화보현조를 검토하였다. 이에 신라 멸망을 앞둔 시점에서 어떤 배경하에 흥륜사에 보현보살상을 그렸을까 하는 점을 주목하였다. 특히 신라 보현신앙의 전개과정을 살피는 과정에서 순지의 성불론을 살피고, 그것이 경명왕 5년 흥륜사에 보현보살상을 그리게 된 배경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순지의 성불론은, 신라 중·하대 신라사회에 널리 퍼진 불성론과 불국토사상, 보현행원 등과 관련된 것이었다. 다만 순지의 불성론은 교학과 염불에 의한 수행 방법을 부정하였다는 점에서 중·하대의 그것과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불국토사상은 이전에 신라를 부처의 상주처로 인식하던 불국정토가 아닌 정불국토사상이었으며, 그의 보현행 또한 중·하대 승려들이 고행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는 수행이 아니라, 이미 깨달아 衆行을 실천하는 보현보살에 대한 신앙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었다. 경명왕 5년 흥륜사 벽에 보현보살상을 그렸던 것은, 순지가 입적한 이후 국내외적인 혼란으로 인하여 이상적인 불국토를 실현하는 것보다는, 이를 실천할 보현보살의 중행을 바랬던 신앙이 만연한 결과였다. The Heungryeunsa Temple was Silla’s very first state Buddhist monastery and it was the center of Buddhist administration of the Kingdom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Existing studies have not dealt with the historical surroundings of the temple such as issues of its site and the main object of worship y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ircum stances of the production of Samnata-bhadra Bodhisattva painting by an alyzing the entry of Heungryeunsa Byeokhwa Bohyeon in the Tapsang chapter of Samgukyusa. It also concerns with the Samnata-bhadra Bodhisattva Belief of Silla and Sunji’s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It is believed that these are keys to gain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of Sam na ta-bhadra Bodhisattva painting in the 5th year of King Gyeongmyeong. Sunji’s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ha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Buddhist nature and thoughts of Budda-kșetra which were popularized in the mid-late period of Silla society. However, the fact that Sunji did not accept the scholastic Buddhism and chanting Buddhism is what differentiates his thoughts from other Buddhist theory and thoughts at the time. He regarded Silla as the purified Buddhist Land and he saw Sam nata-bhadra Bodhisattva practice as the way to enlighten people and ach ieve Samnata-bhadra Bodhisattva Belief.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abov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produc tion of Samnata-bhadra Bodhisattva painting in the 5th year of King Gyeon gmyeong is the result of the popularized Samnata-bhadra Bodhisattva practice at the time. Due to the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after Sunji’s death, it was considerably difficult to realize ideal Buddhist Land in Silla.

      • 『三國遺事』 紀異篇 「長春郞罷郎」·「孝昭王代竹旨朗」·「48景文大王」조의 검토

        박남수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8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

        본고는 『삼국유사』 기이편을 과연 국가와 국왕 중심의 신이로 편찬된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한 의문에서, 「장춘랑 파랑」, 「효소왕대 죽지랑」, 「48대 경문대왕」조를 검토하였다. 또한 그 서술 의도를 분명히 하고자 기이편의 찬술 의도를 살폈다. 이에 「장춘랑 파랑」조를 「태종춘추공」조의 부록으로 실은 것은, 무열왕대에 일통삼한의 상서가 있었다고 하나 실제적인 삼국 통일의 시기를 문무왕대로부터 시작한 것으로 인식한 때문으로 보았다. 또한 「장춘랑 파랑」조를 서술한 것은, 죽어서도 나라를 위호하고자 하는 군사들의 희생과 정신으로 일통삼한의 기틀을 닦았음을 강조한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주요 사건인 죽지랑의 화랑시절의 일화는 진평왕 말년 내지 선덕왕 초년의 기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효소왕대의 사실로 기술한 것은, 득오의 「모죽지랑가」를 바탕으로 그의 선행과 풍모를 드러내고자 함이었다. 이러한 바탕위에서 죽지랑이 출사하여 삼한을 통일하였으며, 眞德·太宗·文武·神文왕 4대에 걸쳐 재상이 될 수 있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48대 경문대왕」조는 『삼국사기』의 내용과도 중복되지만, 『삼국유사』에서 다시 몇 가지 설화와 함께 서술하였다. 이는 경문왕이 화랑시절부터 이미 군왕으로서 갖추어야 자질을 갖추었음을 드러내며 이를 칭송하고자 한 것이었다. 한편으로 『삼국유사』 기이편은 건국신화와 같은 신이에 곁들여 역사적 기록까지 서술하였다. 이는 『삼국유사』 기이편이, 『삼국사기』에서 글이 거칠고 졸렬하다고 하여 버렸던 古記의 설화와 기이한 史話등으로부터, 임금의 善惡과 신하의 忠邪, 국가의 安危와 人民의 治亂을 모두 들추어 내어 勸戒로 삼을 수 있다고 보았던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삼국사기』와 동일한 기사에서조차도 오히려 인과관계를 보여줌으로써 모든 역사적 사건은 인과가 있으며, 그 인과는 반드시 징험이 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보았다. 일연이 일컬은 神異의 뜻이 바로 여기에 있으며, 몽고 침입기의 군신들에게 이를 勸戒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던 것이라 하겠다. This research paper aims to study the intention of compilation of the volume of ‘Guiy(紀異)’ in Samgukyusa(三國遺事). Based on the question whether it was, indeed, written focusing on the kingdom itself and kings. I examined the articles of ‘Jangchunrang Parang’, ‘Jukjirang in King Hyoso reign’ and ‘The 48th King Kyongmun the Great’ for making clear its intention. As a result of research, it can be inferred that the reason to insert the article of ‘Jangchunrang Parang’ as an appendix to the article of ‘Taejong Chunchu Gong’ is that the author of Samgukyusa thought that the effective unification of three kindgoms stared from the King Munmu. In addition, writing the article of ‘Jangchunrang Parang’ was for emphasizing the loyalty and sacrifice of soldiers for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Next, the story about Jukjirang in the article of ‘Jukjirang in the king Hyoso’ was, actually, the fact in the end of the reign of the king Jinpyong or the beginning of the king Seondeok. Nevertheless, this story is recorded as if it had happened in the king Hyoso, which semms to be for showing his good deeds and appearance based on the song for Mojukjirang by Deuko. That is, it was intended to justify that Jukjirang could be a prime minister in a row through four kings, showing his courage to engage in the war and the contribution to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odms There is some part overlapped between the article of the 48th King Kyeonmun the Great in Samkugyusa and the content in Samkuksagi, but several legends were added to this article. Those stories were for extolling the king’s virtue and revealing his qualification as a king since his youth as being a member of Hwarang. On the other hand, in the volume of Guiy in Samgukyusa, historical facts were also written with mysterious and bizarre stories such as a founding myth. It seems to be because the lessons could be given by showing rightness and wrongness of kings, loyalty and betrayals of vassals and peace and wars from those myths, legends and odd stories, which was originally recorded in Gogi(古記) but neglected and omitted in Samguksaki. Even in the same article of Samguksaki, the similar intention can be found to give lessons that every historical event has its cause and effect and reveals auspicious signs or evil signs, by showing the context of an historical event. The intention that Ilyeon(一然) wrote those stories is placed on these reasons and he tried to teach these lessons to kings and vassals in the period of Mongol inva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