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울토마토 열매로부터 분리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

        박나영,이삼빈,노광수,Park, Na-Young,Lee, Sam-Pin,Roh, Kwang-Soo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2

        Neutral saline 추출, ammonium sulfate 침전 및 Sephadex G-200을 사용한 affinity chromatography 과정을 통해 방울토마토 열매에서 분리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트립신을 처리한 사람의 ABO형 적혈구 모두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났으며, 이 중 B형 적혈구에서 가장 높은 응집반응이 관찰되었다. 전기영동 분석에 의해 분자량 10.7 kDa의 강도가 높은 밴드가 확인되었다. 분리된 lectin의 최적반응온도는 $40^{\circ}C$이며, 40-60$^{\circ}C$ 범위에서 열에 대해 안정하였다. 또한 최적 pH는 7.2로 조사되었다.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isolated from fruit of cherry tomato through neutral saline extraction,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affinity chromatography on Sephadex G-200 was studied. The lectin was agglutinated by trypsin-treated human ABO erythrocytes, and the most pronounced activity of agglutination was observed at B type erythrocyte. The analysis of the lectin by SDS-PAGE showed the high intensity band with molecular weights of 10.7 kDa. The optimal temperature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lectin was $40^{\circ}C$ and $40-60^{\circ}C$, respectively. The maximal pH of this lectin was pH 7.2.

      • KCI등재

        Naive Bayes 분석기법을 이용한 유방암 진단

        박나영,김장일,정용규,Park, Na-Young,Kim, Jang-Il,Jung, Yong-Gyu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3 서비스연구 Vol.3 No.1

        선진국형 질병으로만 알려져 있던 유방암이 우리나라 현대 여성들에게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은 보통 50대 이상의 여성에서 발병하는 병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40대의 서양보다 젊은 여성들에게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성인여성을 기준으로 유방암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는 매뉴얼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마이닝기법을 이용하여 유방암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데이터마이닝이란 데이터베이스 내에 숨어 있는 일정한 패턴이나 변수들 간의 관계를 정교한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쉽게 드러나지 않은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과정을 말한다. 실험을 통하여 Deicion Tree와 Naive Bayes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유방암을 진단하는 분석기법을 비교분석을 하였다. Deicison Tree는 C4.5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두 알고리즘이 상당히 좋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Naive Bayes 분류방법이 Decision Tree방법보다 더 상회하는 정확도를 보였고 이는 의료데이터의 특성에 많이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Breast cancer is known as a disease that occurs in a lot of developed countries. However, in recent years, the incidence of Korea's modern woman is increased steadily. As well known, breast cancer usually occurs in women over 50. In the case of Korea, however, the incidence of 40s with young women is increased steadily than the West. Therefore, it is a very urgent task to build a manual to the accurate diagnosis of breast cancer in adult women in Korea. In this paper, we show how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to predict breast cancer. Data mining refers to the process of finding regular patterns or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ithin the database. To this, sophisticated analysis using the model, you will find useful information that is easily revealed. In this paper, through experiments Deicion Tree Naive Bayes analysis techniques were compared using analysis techniques to diagnose breast cancer. Two algorithms was analyzed by applying C4.5 algorithm. Deicison Tre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fairly good. Naive Bayes classification method showed better accuracy compared to the Decision Tree method.

      • KCI등재

        RCP 시나리오 기반 농업용 저수지의 내한능력 평가

        박나영,최진용,유승환,이상현,Park, Na-Young,Choi, Jin-Yong,Yoo, Seung-Hwan,Lee, Sang-Hyun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3

        Agriculture is affected directly by climate conditions and change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al reservoirs which are the main water resources for paddy field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anti-drought capacity including water supply capability (WSC) and drought response ability (DRA)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4.5 and 8.5 scenarios of CanESM2 (The Second Generation Earth System Model) provided by CCCma (Canadian Center for Climate Modeling and Analysis). The WSC and DRA were estimat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runs theory. The six reservoirs (Yooshin, Nogok, Kumsung, Songgok, Gapyung, Seoma) were selected consider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criteria of reservoir capacity. In case of Seoma reservoir, more than 10 year drought return period (DRP), the variation of the WSC was estimated larger than the others. In case of Yooshin reservior (2~5 DRP) DRC was decreased in 2025s under RCP8.5.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for agricultural reservoirs management and future design criteria considering climate change impacts on paddy irrigation.

      • KCI등재

        전통 발효 식품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이용한 yogurt 발효특성

        박나영,이신호,Park, Na-Young,Lee, Shin-Ho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5

        전통식품에서 요구르트 제조 가능한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김치, 식혜 막걸리에서 분리한 유산균 50균주 중 커드 형성 능력이 있는 16균주를 선발, L. monocytogenes, S. aureus, B. cereus, E. coli, S. entritidis, V. vulnificus에 대한 항균활성과 인공 위액과 담즙액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4 균주를 선발하였다. 4균주의 환원탈지유에서 배양특성비교. 항균활성과 인공 위액과 담즙에서의 내성 등을 고려하여 KM24(구균)와 KM32(간균)을 최종 선발하여 동정한 결과 각각 Pediococcus pentosaceus, Lactobacillus plantarum로 동정되었다. 요구르트 제조 중 유산균수는 KM24와 KM32균주 혼합 접종구가 가장 높았으며, 배양 48시간째 9.66 log CFU/mL을 나타내었다. pH는 배양 48시간째 각각 4.25(혼합 접종구), 3.77(대조구)을 나타내었다. 산도의 변화는 pH 변화와 유사하여, 배양 72 시간 후 KM32 단독 접종구를 제외하고 0.88-1.24%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혼합 접종구와 대조구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각각 38.45와 $38.86{\mu}g/mL$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KM24 접종구가 가장 높은 52.54%로, 혼합 접종구(48.57%)와 대조구(48.22%)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혼합 접종구의 경우 $4^{\circ}C$에서 10일간 저장 중 가장 높은 유산균수를 유지하였으며, 저장 10일째 9.28 log CFU/mL이었다. pH는 KM32 접종구를 제외하고 저장기간 동안 저장 초기와 유사하였으며, 산도는 저장 5일까지는 다소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혼합 접종구는 대조구에 비해 유산균수는 높았으나 pH는 높고, 산도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분리균주인 KM24와 KM32은 요구르트 제조 시 복합 starter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yogurt starter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The 2 strains (KM24, KM32) among 50 strains of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selected as starter based on milk clotting ability,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pathogens, tolerance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growth in 10 % skimmed milk. The strains were identified as Lacobacillus plantarum (KM32) and Pediococcus pentosacesus (KM24) by 16S rRNA gene sequencing. Viable cell number of yogurt fermented with mixed strains (KM24 and KM32) was 9.66 log CFU/mL after fermentation for 48 h and maintained $10^9CFU/mL$ during fermentation for 72 h at $37^{\circ}C$.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mixed cultured yogurt were 4.25% and 0.83% after fermentation for 48 h at $37^{\circ}C$, respectivel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xed cultured yogurt after fermentation for 48 h were $38.45{\mu}g/mL$ (polyphenol content), 48.57%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465.40 cp (viscosity), respectively. The mixed cultured yogurt maintained $10^9CFU/mL$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storage 10 days at $4^{\circ}C$. The viable cell number of yogurt prepared with mixed culture(KM32+KM24) maintained higher and than that of control (L. casei)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indicated the potential use of selected strains (KM32+KM24) isolated from kimchi as a yogurt starter with strong acid tolerance and probiotics properties.

      • 기후변화에 따른 유출량 및 기준작물증발산량 민감도 분석

        박나영 ( Na-young Park ),최진용 ( Jin-yong Choi ),유승환 ( Seung-hwan Yoo ),오윤경 ( Yun-gyeong Oh ),이상현 ( Sang-hyun Lee ),이태석 ( Tae-seok Lee ),윤동균 ( Dong-koun Yu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기후변화에 따라 연간강수량의 변동 폭이 커지고 강우강도가 증대되어 홍수와 가뭄의 발생빈도와 규모가 점차 커짐에 따라 전체 수자원의 약 50%를 차지하는 농업용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미래 기상자료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수자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미래 기상자료 모의를 위한 전지구 모형들은 공간 해상도 및 적용국가에 따라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미래 기상자료를 이용할 때는 기후자료의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어야 하며, 또한 기후변화자료를 농업용수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따른 유출량과 기준증발산량의 민감도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99년까지의 다양한 미래 기상자료를 각 도별 대표 저수지 8개소에 적용하여 유출량 및 기준작물 증발산량을 산정하고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미래 기상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역기후모형(RCM)인 MM5와 일본에서 개발한 전지구기후모형(GCM)인 MIROC3.2를 LARS-WG와 CF 상세화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축된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유출량과 기준작물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유출량은 유역면적과 유역 내 토지이용현황을 고려하여, 계산이 명확하고 수문현상을 잘 재현한다는 점에서 모형의 객관성을 인정받고 있는 3단 TANK 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일 단위 수요량이 계산 가능한 FAO Penman-Monteith 공식을 이용하여 기준작물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출량 및 기준작물증발산량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다양한 미래 기상자료에 따른 유출량 및 기준작물증발산량의 민감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기 정서 및 행동 문제에 대한 부모와 일반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욕구 조사

        박나영 ( Na-young Park ),박성옥 ( Sung-ok Park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3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시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해 부모와 일반 교사의 인식과 지원 욕구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 대상은 영·유아기의 자녀를 둔 부모와 보육 시설에 근무 중인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되어진 설문지는 부모 대상의 설문지 161부·일반 교사대상의 설문지 215부 이다. 또한 일반교사의 경우 면담을 통해 지원욕구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부모의 경우 신체 증상, 불안·우울, 공격 행동, 주의 집중, 위축, 정서적 반응성 순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반 교사는 주의 집중, 공격 행동, 불안·우울, 정서적 반응성, 위축, 신체 증상 순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부모와 일반 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기 정서 및 행동 문제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공격 행동 에서만 나타났으며 정서적 반응성, 불안·우울, 신체 증상, 위축, 주의 집중, 공격 행동 모두에서 부모보다 일반 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경험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 있어서는 부모의 경우 신체 증상과 공격 행동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일반 교사의 경우는 교육 경험 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결과를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awareness of parents and teachers ab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need for support. First, the highest awareness of parents ab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was body symptoms followed by anxiety, aggressive action, attention, withdrawal, and affective reaction. On the other hand, teachers perceived attention most strongly followed by aggressive action, anxiety, affective reaction, withdrawal, and body symptom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aggressive ac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e level of awareness was higher in teachers than parents for all of those items. Second, parents and teachers chos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s the reas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their awarenes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at their kindergartens or with their peers (p<.001). Third, parents respond that they would ‘get advice from close people’ (39.8%) and ‘visit professionals for advice’ (30.4%) to resol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heir children. Meanwhil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get advice from close people’ (50.7%). Fourth, the biggest need of parents was a ‘chance to have education on infancy’ followed by ‘workshop ab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rapeutic education (art, music, and games)’. The biggest need of teachers was ‘advice for parents’ followed by ‘workshop ab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rapeutic education (art, music, and games)’. This shows that they have higher needs for education applicable to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 KCI등재

        펀드투자자의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박나영(Na Young Park),정순희(Soon Hee Joung)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1

        최근 은행과 증권회사에서 활발하게 개발 중인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하여 기술수용모델을 응용하여 펀드투자자들의 로보어드바이저 이용의도를 조사하였다. 펀드투자자의 특성변수로 위험수용성향, 펀드정보이해도, 신뢰를 사용하였고 Davis 의 기술수용모델을 응용하여 매개변수로 유용성 및 사용용이성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로 이용의도를 사용하였다. 제시한 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변수들의 인과관계와 측정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통계프로그램인 AMO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위험수용성향이 낮을수록 로보어드바이저 이용에 긍정적이며, 펀드정보이해도가 높을수록 로보어드바이저 이용에 긍정적이며,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이용에 긍정적이다. 따라서 로보어드바이저 이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위험수용성향이 낮으며, 펀드정보이해도가 높고 금융기관의 신뢰도가 높은 펀드투자자에게 로보어드바이저를 권유한다면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가장 큰 제한점은 로보어드바이저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라는 점이다. 이용의도가 이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만 실제 이용자들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는 점에서 앞으로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며, 향후 로보어드바이저가 확대되면 로보어드바이저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obo-Advisors are automatic asset investment services which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recently and interest in their use for internet-based services and big data is increasing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Robo-Advisors and applied the transformed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search for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fund-investors’ intention to use them. Given the lack of research in this domain, we analyze the features of the Robo-Advisor and extract the factors leading to fund-investors’ intention to use them. It was found that ‘risk preference’, which is a characteristic variable of the Robo-Advisor influences ‘convenience’ negatively. Secondly ‘understanding of fund information’ influences ‘convenience’ and ‘usefulness’ positively. Thirdly ‘trust’ influences ‘convenience’ and ‘usefulness’ positively. Fourthly, ‘convenience’ and ‘usefulness’ influence ‘intention to use’ positively. Then fund–investors who have a low ‘risk preference’, a high ‘understanding of fund information’ and high ‘trust’ are fascinated Robo-Advisor for various usability. Moreover, we want to enable all financial corporations and companies using Robo-Advisors to benefit from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 CNF 분무 코팅에 의한 셀룰로오스 기반 습식부직포의 기계적 특성

        박나영 ( Na Young Park ),김형진 ( Hyoung Jin Kim ),함미림 ( Mi Rim Ham ),이현정 ( Hyun Jung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최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친환경적인 소비생활이 강조되고 있으나 한편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일회용품 사용이 불가피하여 석유 자원 기반의 일회용품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마스크, 의료용 가운 등 부직포 소재로 제조된 일회용품 사용량이 급증하였으나 부직포 소재는 대부분 석유 자원 기반 폴리머로 제조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생분해 가능한 천연 자원 기반 신소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 자원 기반 폴리머인 셀룰로오스의 활용이 주목 받고 있으며, 최근 셀룰로오스를 기반으로 습식 부직포를 제조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셀룰로오스 기반 습식 부직포는 석유 자원 기반 부직포에 비해 기계적 특성이 낮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오스 기반 습식 부직포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분무 코팅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와 라이오셀 섬유를 3:7의 비율로 혼합하여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CNF 현탁액을 1 bar의 압력으로 분무 시간을 달리하여 코팅하였다. CNF 분무 코팅 시 기계적 특성은 분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분무 압력에 의해 제조된 습식 부직포 표면의 섬유가 부분적으로 손실되어 평량이 감소하였으며, 다공성이며 벌키(bulky)한 습식 부직포의 구조 특성으로 CNF가 표면에 남지 않고 공극 내로 침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SCOPUSKCI등재
      •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사업의 효과 및 발전 방향

        박나영 ( Park Na 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보건복지포럼 Vol.322 No.-

        최근 디지털 헬스에 대한 관심과 함께 비대면 서비스가 활성화되었다. 정부는 지역사회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건강 격차가 심화하지 않도록 노인 대상의 디지털 돌봄 인프라를 확충하고자 추진하였다. 최근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 사업이 3차 연도에 접어들었다. 이 연구에서는 AI·IoT 기반 사업의 효과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AI·IoT 기반 사업은 중장기적으로 사전 대비 사후에 모든 지표에서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 방문사업(대면)과 비교했을 때 허약도에서 개선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3개 중재(혼합·비대면·대면) 효과를 살펴본 결과 AI·IoT 기반 사업 및 방문사업(혼합)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이 사업은 국가 건강정책 목표와 연계성이 높다. 그리하여 대면과 비대면이 통합된 노인 대상 건강관리서비스 확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한 고려 사항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와 함께 사회적 지지 체계 마련, 디지털 수용성 제고와 형평성 관점에서의 디지털 건강정책 접근을 제시하였다. The recent interest in “digital health” has spurred a rise in non-face-to-face services. The government has endeavored to expand the digital care infrastructure for the elderly, aiming to prevent the exacerbation of community health disparities caused by COVID-19. This study evaluates the impact of the government’s AI-IoT-based eldercare project, now in its third year.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I-IoT-based project has led to medium- and long-term improvements across all outcome measures since its implementation. When compared to face-to-face services, AI-IoT-based services are more effective in reducing frailty. This study reveals that a combination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ldercare services is more effective than either form alone. The AI-IoT-based project is highly relevant to the goals of national health policies. This study thus suggests an expansion in the combination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services in health management for the elderly. For this, we also suggest improving digital literacy, establishing a social support system, enhancing digital inclusion, and making digital health policies from an equity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