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통합서비스형 대안학교 제안

        박길태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3 다문화와 평화 Vol.7 No.1

        This research proposes to encourage Korean educators engaged in integrating defectors through the Alternative School for North Korean Youth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their American counterparts. The United States has a long-lasting education system which deals with refuges from all over the world, thus, in my opinion, Korean teachers should examine them closely for their own benefit.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integrating) Alternative Schools can be accomplished in three phases. First of all, for the phase one, a Social Welfare Task Force which governs the integrated services has to be formed, and related database should be built. Second phase is to perform co-operation through case management after constructing the network. Finally. in third phase, the total quantity of resources for services need to be reviewed, and when a service is offered, it should be applied flexibly an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To sum up, if the integrated services of the Alternative Schools are supplied through these strategic implementation phases, the function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ill be reinforced, not to mention the improvement on education quality.

      • KCI등재후보

        교육복지 사업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군산시 학교사업을 중심으로

        박길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08 학교사회복지 Vol.- No.15

        이 연구는 전라북도 군산지역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시행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사업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사업효과는 학교생활 개선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나누어 찾고자 하였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육복지실 이용실태 및 사업 만족도가 사업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개선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만족도와 전문인력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 능력에 있어서는 전문인력 만족도와 프로그램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업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개선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만족도, 전문인력 만족도, 이용시간, 학년, 학교생활 만족도의 순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 능력에 있어서는 전문인력 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 학년, 경제수준, 이용시간, 화목정도, 학교성적의 순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 factors which has been influenced on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ated school students for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region focus on Kunsan area in Jeollabukdo province The effectiveness has been found out in two ways by the key factor in which affecting to the school life reform and the factor of ability for problem solving. First, as a result using rate of educational welfare classroom and the satisfaction rate for the programs and the expertise were fully meaningful on problem solving ability expertise and program has been satisfied as wel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roject-impact awareness, which was controll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mprovement in school life and the solution a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by having been adop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rovement in school life out of them, it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order of program satisfaction, professional-manpower satisfaction, use time, school year, and school-life satisfacti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olution ability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order of professional-manpower satisfaction, program satisfaction, school year, economic level, use time, harmony level, and academic records.

      • KCI등재

        한국 기업복지의 변천사에 관한 연구

        박길태(Kil-Tae, Park) 韓國經營史學會 2015 經營史學 Vol.74 No.-

        이 연구에서는 1961년 이전부터 현재까지 한국 기업복지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고, 외환위기 이후 도입된 선택적 복지제도의 운영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선택적 복지제도가 발전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1960년대 이전에는 한국의 상황으로 보았을 때 기업복지를 도입하기 어려웠던 시기 이다. 1961년~1972년에는 인사노무관련 부서가 출현하면서 기업복지에 대한 논의가 함께 이루어졌는데 여성노동력을 유인하기 위한 복지 관련 시설이 주를 이루었다. 1973년~1986년에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노무관리체계가 제도화되면서 기업복지도 함께 확대 되었다. 1987년~1997년에는 한국의 노동시장이 획기적인 변화가 초래되면서 기업복지 비용이 증가되고, 복지 프로그램 내용도 충실해지면서 기업복지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98년 이후에는 외환위기가 닥치면서 기업복지의 방향과 성격에도 상당한 변화를 초래했다. 그러면서 등장한 것이 선택적 복지제도의 도입이다. 선택적 복지제도는 1996년 한국 IBM이 최초로 도입하였고, 이후 현재까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선택적 복지제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 날 수 있는 불합리한 요인 제거, 계약직 및 비정규직 근로자까지 대상 확대, 새로운 복지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story of occupational welfare in Korea from before 1961 up to date and the state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which was introduc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an effort to make some suggest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in the future. It was not easy to introduce occupational welfare before the 1960s due to contemporary national circumstances. The departments of personnel management started to appear between 1961 and 1972, and occupational welfare started to be discussed at that time, especially welfare-related facilities geared toward attracting female manpower. As personnel management was systemized in large companies between 1973 and 1986, the scope of occupational welfare was expanded. The Korean labor market underwent drastic changes between 1987 and 1997. Occupational welfare expenses were on the increase, and better welfare programs were provided, which contribut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occupational welfare. In and after 1998, there were great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nature of occupational welfare because of the financial crisis, which was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The flexible benefit plan was introduced in 1996 by IBM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it has since been extended up to now.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 flexible benefit plan, irrational consequences of it that may possibly occur with the lapse of time should be eliminated, and it should be applied to contract workers and irregular workers as well. Besides, the development of new welfare programs is necessary.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몰입과 참가동기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길태 ( Kiltae Park ),신용준 ( Yongjoon Sh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이 연구에서는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몰입과 참가동기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광주지역 배드민턴 동호인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1에서는 일반적 특성 중 월수입만이 배드민턴 동호인의 생활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 2에서는 일반적 특성과 운동몰입을 독립변수로 하고 배드민턴 동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월수입과 운동몰입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형 3에서는 일반적 특성과 운동몰입, 참가동기를 독립변수로 하고 배드민턴 동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별, 월수입, 내적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배드민턴 동호인의 생활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지역사회에서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과 관리를 통해 동호인들의 몰입도를 강화할 수 있도록 전략적 지도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effects of badminton club members' exercise commitmen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ife satisfaction.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a survey targeting 268 badminton club members in Gwangju. For the analytical methods,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 regression analysis, etc. were conducted.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del 1 has found that only monthly income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ave an positive (+) effect on badminton club members' life satisfaction. Second, Model 2 analyzed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badminton club members' life satisfaction by mak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commitment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has found that monthly incomes and exercise commitment have the positively (+) significant effect on badminton club members' life satisfaction. Third, Model 3 examined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badminton club members' life satisfaction by mak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xercise commitmen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has found that gender, monthly incomes, and intrinsic motivation have an positive (+) effect on badminton club members'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to increase badminton club members' life satisfaction were suggested. The community will need to engage in strategic leadership activities to increase the immersion of club members through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and management.

      • KCI등재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여가태도와 재미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길태 ( Park Kil-tae ),이연실 ( Lee Yon-sil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2

        이 연구는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여가태도와 재미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자료수집방법은 생활체육 동호회에서 여가활동을 즐기는 동호인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델 1에서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월수입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태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정의적태도와 인지적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태도, 재미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능성 지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여가태도와 재미요인이 생활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생활체육에 대한 재미요인과 여가 참여요인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effects of sport for all group members' leisure attitude and enjoyment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a survey targeting 268 sport for all Group club members. For the analytical methods,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etc. were conducted. The main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del 1 has found that only monthly income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on sport for all group members' life satisfaction. Second, regarding the model 2,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eisure attitude having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affective attitude and cognitive attitud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ird, regarding the model 3,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isure attitude and enjoyment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perceived compet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isure attitudes and fun factors of the members of life sports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it can be used as the theoretical basic data of the program to improve the fun and leisure participation factors for life sports.

      • KCI등재

        조직문화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박길태 ( Kil Tae Park ),김세영 ( Se Young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論叢 Vol.35 No.-

        이 연구는 조직문화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전라북도 내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의 위계지향문화는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매개로 이직의도에도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조직의 혁신지향문화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매개로 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조직의 관계지향문화는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을 완전매개로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소진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job stress and burnout of social worker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6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s in North Jeolla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hierarchy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direct positive impact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exerte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and burnout as well. Second,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exercise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and had an indirect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and burnout. Third,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ed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a direct negative way and exerted an indirect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and burnout. Fourth, job stress positively impacted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perfect medium of burnout. Finally, burnout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박길태 ( Park Kil Tae ),서인균 ( Seo In Kyun ),이연실 ( Lee Yon Sil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지역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몰입은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적 몰입은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적 몰입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지속적 몰입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 중 지속적 몰입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affected their burnout and whet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n impact on burnout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6 selected social workers who worked in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senior welfare agencies and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was found to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burnout. Affectiv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ffected burnout in a negative way, and continuanc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impacted on it in a positive manner. Seco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n influence on job stress.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were found to have had a negative impact on job stress, and continuanc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ffected it in a positive way. Third,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impacted on burn out in a positive manner. Four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was found to have affected burnout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Continuance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burnout through the medium of job stress. Therefore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ance commitment, which was par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how to provide practical intervention for social workers to promote their mental health was discussed.

      • KCI등재후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길태(Park Kil ta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자료수집방법은 전라북도 내 지역사회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자활후견센터 등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모델 Ⅰ에서는 연간급여, 경력, 기타 직책, 연령, 기타자격증, 성별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델 Ⅱ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조직문화를 독립변수로 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문화, 위계문화, 개발문화, 연간급여, 기타 직책, 경력, 연령,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 Ⅲ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조직문화, 조직몰입을 독립변수로 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위계문화, 기타 직책, 연간급여,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연령,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elfare employee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gathered by conducting a survey on 396 social welfare employees in social welfare-related institutions in Jeollabukdo including community welfare centers, senior welfare centers, rehabilitation centers and self-sufficiency promotion cent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early pay, career, one's duty, age, additional certificate holding and gender were identified as influential factors for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social workers in Model I. Seco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Model II to determine what factors would affect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yearly pay, one's duty, career, age, second-class social worker certificate holding and gender were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Thir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Model Ⅲ to determine what factors would affect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hierarchical culture, one's duty, yearly pay, second-class social worker certificate holding, age and gender were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운동몰입과 여가태도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길태(Park Kiltae),전진욱(Jeon Jinwo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운동몰입과 여가태도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자료수집방법은 생활체육 배드민턴 클럽에서 여가활동을 즐기는 동호인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모델 Ⅰ에서는 운동기간, 운동지속의사, 연령, 성별, 월수입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델 Ⅱ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운동몰입을 독립변수로 하고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운동몰입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 Ⅲ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운동 몰입, 여가태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의적 태도, 인지적 태도, 연령, 성별, 운동기간이 여가만족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exercise flow and leisure attitude of badminton club members on their leisure satisfaction. Data were gathered by conducting a survey on 268 selected people who enjoyed their leisure time in the clubs of badminton that was one of sports for al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eriod of exercise, intention of keeping on exercising, age, gender and monthly income were identified in Model I as the factors to affect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badminton club members. Seco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flow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Model II, and how they affected leisure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nly exercise flow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Thir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ercise flow and leisure attitud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Model Ⅲ, and how they affected leisure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affective component, cognitive component, age, gender and the period of exercise were found to be the influential factors for leisur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