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市販茶類製品의 Hunter - Lab Tristimulus Colorimeter에 의한 色相 評價

        박길동(Kil Dong park),최진호(Jin Ho choi),성현순(Hyun soon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1 No.1

        市販茶類嗜好食品의 官能的 評價와 이들 製品의 品質管理的 側面에서 중요시되는 色度의 指標를 조사코저 Hunter-lab tristimulus colormeter를 利用하여 製品의 粒度, 密度 및 脫吸濕이 色度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br/> 1. 製品 사이에는 粒度의 크기와 色度에서 특별한 有意性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紅蔘精粉의 경우 粒度가 작아질수록 L,a,b 値가 증가하고, X,Y,Z 値에서는 X, Y 値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Z 値는 일정치 않았다.<br/> 2. 市販茶類嗜好食品 L値 범위는 32.8~48.0이었고 a 値는 3.9~10.4, b 値는 5.6~18.0이었으며 대부분의 製品이 朱黃色色素系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3. 製品의 密度는 0.232~0.898 g/ml의 범위 내에 있었으며 밀도가 클수록 L値가 가하는 경향이었다.<br/> 4. 製品別 a/b値는 생강차를 제외하고 0.61~0.98의 범위 내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總色度의 差(ΔE) 및 彩色度의 差(ΔC)가 작은 製品일수록 色相의 安定性이 인정되었다.<br/> 5. 各製品 사이에는 吸濕 및 脫濕에 의한 色相變化는 유의성이 없었다.<br/> 6. 光波長에 따른 製品別 色度는 생강차, 쌍화차 및 탱이 綠赤色系色素가 가장 높아 綠赤色色素系인 반면 다른 茶類製品은 X,Y,Z 値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To evaluate the quality of commercial dehydrated tea-products,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le sizes, densities, moisture absorption & desorption and color appearance were studied by using Hunter-lab tristimulus colorimeter and spectrophotometer.<br/> Among the tea-products was held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particle sizes and color appearance but red ginseng extract powder (RGEP) was included L,a and b values when was reduced particle size. appearance color of tea-products indicated red-orange color, L, a and b values were ranged 32.7 to 48.0, 4.0 to 10.0 and 5.6 to 18.0, respectively, densities of tea-products ranged 0.232 to 0.898 g/ml and increased L values, Hunter's a/b ratio values was included in 0.61 to 0.90.<br/> Color stability in this products was well agreed with decrease of total color difference value (ΔE) and chromaticity difference value (ΔC) of the Hunter-lab color data.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위장관 출혈을 동반한 원발성 양성 소장 간질종양 1 예

        길동(Kil Dong Seo),김명준(Myung Jun Kim),김수형(Su Hyung Kim),김일두(Il Doo Kim),허정호(Jeong Ho Heo),이채원(Chae Won Lee),상제(Sang Je Park),김상현(Sang Hyun Kim),조성락(Sung Rak Cho) 대한소화기학회 200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8 No.5

        The origin and clinical behavior of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 have been a source of recent speculation and controversy. GIST has been applied to mesenchymal tumors that represent neither their typical leiomyomas nor schwannomas. GISTs are spindle cell tumors occurring mainly in adults with 5-year survivals in 50-56% and 10-year survivals in 35-43%. Because of its indolent and slow-growing nature, it is difficult to define it as malignancy. We report a case of benign stromal tumor of the proximal jejunum presenting melena in a 32-year-old male. Small bowel series and computed tomography of the abdomen revealed submucosal tumor in the proximal jejunum. Histological studies on the surgical resection specimen revealed a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of a benign type with no evidence of metastasi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local excision of the tumor and is now in a favorable state. (Korean J Gastroenterol 2001;38:371-375)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파프리카 추출물의 색소안정성과 Ethoxyquin 및 잔류용매 검출

        이선옥,경석헌,박길동,강희곤,주성,이시경,Lee, Seon-Ok,Kyung, Suk-Hun,Park, Kil-Dong,Kang, Hee-Gon,Park, Joo-Sung,Lee, See-Kyu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2 한국농화학회지 Vol.45 No.2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의 색소 안정성과 ethoxyquin의 잔류량 분석을 위하여 용매별 최대 흡수파장과 흡광도, 용매와 ethoxyquin파의 잔류량 분석 조건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매별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의 최대 흡수파장은 444-458 nm에서 나타났으며 흡광도 값은 에탄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세톤, 클로르포름, 메탄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용매별 올레오레진 파프리카 추출물에서의 색가는 에탄올, 아세톤, 클로르포름 그리고 메탄올 순으로 높았으며 국가별로는 미국 제품이 용매에 따라서 다른 나라의 제품보다 2-6배 정도가 높았다.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에서 잔류되는 용매는 주로 아세톤, 메탄올 그리고 헥산이 일부제품에서 미량 검출되었으며 기타의 잔류용매는 검출되지 않았다 Ethoxyquin의 분석에서 GC에 의한 분석방법으로는 다양한 분석조건에서 실시하였으나 적합하지 않았다. HPLC에 의한 ethoxyquin의 분석을 위한 올레오레진 파프리카 추출물의 용해용매로 헥산을 이용한 것이 가장 분리능이 좋았으며 검출한계는 $0.01\;mgl^{-1}$이었다. 생산국별 올레오레진 파프리카에서의 ethoxyquin 검출은 미국과 스페인 제품에서 미량 검출되었으며 ethoxyquin이 검출된 제품이 검출되지 않은 제품보다 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Effects of ethoxyquin on the color stability of oleoresin paprika extracts and amount of residual ethoxyquin, a color stabilizer, in commercial extracts were determined. The oleoresin paprika extracts dissolved in ethanol gave the highest maximum photo-absorbency at 444-458 nm, with the color index of United States product 2-6 times higher than that produced in India. The residual solvents in oleoresin paprika extracts were mainly acetone and methanol, although some other extracts also contained small amounts of hexane. HPLC analysis was determined as a proper analytical method for residual ethoxyquin assay in the oleoresin paprika extracts, particularly when hexane was used as a solvent. The residual ethoxyquins were detected in the extracts produced in US and Spain which had relatively high color indices.

      • SCOPUS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High -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Analysis of Ginseng Saponin

        최진호(Jin Ho Choi),박길동(Kil Dong Park),한강완(Kang Wan Han),오성기(Sung Ki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1 No.3

        人蔘사포닌중의 各 ginsenosides를 效果的으로 分離 定量하기 위하여 carbohydrate analysis column을 使用한 HPLC로 典型的인 溶媒 system인 acetonitrile/water의 混合比率을 80/20에서 94/6까지 調整하여 retention time과 分離能과의 關係를 比較試驗하였고 또 n-butanol의 添加效果도 調査하였다. 基本構造가 다른 diol saponin과 triol saponin을 같은 mobile phase로 만족하게 分離定量하기는 어렵다.<br/> 따라서 diol saponin은 acetonitrile/water system(80/20), trol saponin은 acetonitrile/water/n-butanol system(86/14/10)을 mobile phase로 하여 分析함이 效果的이었다. 이 方法에 따라 白蔘과 紅蔘을 定量한 結果, diol saponin 含量은 큰 差異가 없으나 triol saponin 含量은 紅蔘이 白蔘보다 增加하였다. 特히 PT/PD ratin가 白蔘은 0.401인데 比해 紅蔘은 0.561로서 紅蔘이 白蔘보다 약 1.4倍나 높았다. 이것이 紅蔘의 生化學的藥理效能과 깊은 關係가 있다고 判斷되며 熱處理에 의한 製造工程과 關係가 있다. Ginseng saponins separated from Panax ginseng C.A. Meyer were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 carbohydrate analysis column. The effect on the resolution and retention time of each ginsenosides, as well as the addition effect of n-butanol on a acetonitrile/water system, was examined using various proportions of acetonitrile/water system (80/20-94/6) which have been used with typical solvent of carbohydrate analysis column.<br/> The retention time of each ginsenosides was greatly affected by the compositions and mixture proportions of the mobile phase and also markedly increased as the proprotion of acetonitrile in mobile phase increased. It was proved that acetonitrile/water system (80/20) and acetonitrile/water/n-butanol system (86/14/10) were very effective mobile phases for diol and triol sapoin analyses, respectively.<br/> According to the result obtained by this method, the PT/PD ratios of white and red ginseng saponins were 0.401 % and 0.561 %, respectively. Red ginseng increased PT/PD ratio, compared with white ginseng. This is attributed to the change of saponin pattern by processing method and the change of PT/PD ratio would greatly influence on the bi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g and its products.

      • SCOPUSKCI등재

        人蔘의 加工方法에 따른 Vitamin B 群의 安定性에 관한 硏究

        최진호(Jin Ho Choi),박길동(Kil Dong park),성현순(Hyun Soon Sung),이광승(Kwang Sung Lee),오성기(Sung Ki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1 No.2

        人蔘의 非사포닌成分인 vitamin 중 生體內에서 補酵素로서 各種代謝 및 生理作用과 關係가 깊은 vitamin B群의 含量變化를 HPLC法으로 定量하여 人蔘加工方法에 따른 vitamin B群의 安定性을 檢討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br/> 1. 人蔘類중의 vitamin B群의 定量은 逆相 column인 μ Bondapak C_(18)을 사용한 HPLC 方法이 效果的이었다.<br/> 2. UV 檢出器의 適正波長은 移動相의 液性을 pH3.5로 調整하였을 때 niacin, niacin amide, riboflavin 및 thiamine은 254㎚, pyridoxine은 280㎚, cobalamine은 365㎚에서 分析함이 效果的이었다.<br/> 3. 移動相은 PIC B-6을 사용한 water/methanol system을 利用하여 混合比와 流速은 78/22, 1.2mι/min으로 하여 niacin, niacin amide, 및 cobalamine을, 또 74/26, 0.9mι/min으로 하여 riboflavin 및 thiamine을 分析함이 效果的이었다.<br/> 4. 人蔘加工方法에 따른 vitamin B群의 含量變化를 보면 niacin 및 niacin amide는 55.9~61.5r/g 및 13.2~14.5r/g이고 cobalamine은 4.9~5.4mr/g이며 riboflavin 및 thiamine 은 3.9~4.8r/g 및 6.9~8.2 r/g으로서, 含量變化의 폭이 크지 않았다. 따라서 vitamin B群의 安定性은 대체로 높은 傾向을 나타내고 있었다. B-vitamin contents in ginsengs ranged from 55.9 to 65.5 r/g and from 13.2 to 14.5 r/g for niacin and niacin amide, from 4.9 to 5.4 mr/g for cobalamine, and from 3.9 to 8.2 r/g and from 6.9 to 8.2 r/g for riboflavin and thiamine regardless processing. Especially, cobalamine was detected in ginseng.<br/>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of B-vitamins somewhat decreased according to processing-methods, washing-dried and steaming-dried of fresh ginseng. Niacin, niacin amide and cobalamine decreased by 6~9%. Therefore, it is approved that B-vitamins were stable in processing methods.

      • SCOPUSKCI등재

        아동복지시설 미취학 아동들의 신체 발육과 영양 실태 조사

        계승희(Seung-Hee Kye),박길동(Kil-Do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5

        아동복지시설 7곳의 미취학아동 70명을 대상으로 신체발육과 영양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대상 아동들의 신장, 체중 및 머리둘레는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보다 다소 적었으며 가슴둘레는 거의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체격발달이 일반 한국 소아의 발육에 비해 다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식이섭취조사결과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비해 모든 아동에게서 칼슘의 섭취량이, 또 일부 아동에게서 열량, 철분, 비타민 B₂의 섭취량이 다소 낮아서 이들 영양소의 섭취를 보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대상 아동들의 생화학적 검사결과 철분 결핍 발현율은 hemoglobin으로 판정시에는 12.9%, hematocrit으로 판정시에는 18.6%이었으며 혈청 철분 정상 판정기준 미만인 아동들은 총 인원의 4.3%에 해당하였다. 혈청 총 단백은 정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영양상태가 취약한 아동복지시설에서의 영양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양관리 담당 전문 인력의 확보 및 여러 사회기관에서의 급식비에 대한 보조지원으로 아동들이 충분히 영양섭취를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nutritional status and anthropometry of preschool children in orphanage. The height,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of preschool in orphanage were lower than that of Korean growth standards, but not chest circumference.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Ca by all subjects,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Fe, riboflavin and ascorbic acid in some subject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Korean RDA. The prevalence rates of iron deficiency assessed by hemoglobin, hematocrit were found to be 12.9% and 18.6%, respectively. When assessed with serum iron, the prevalence rate of iron deficiency was 4.3%. Serum total protein and serum albumin level were turned out to be normal. Considering this results of the survey, financial help from social work organization for meal service and more aggress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the subjects in orphan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