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중대의 정불국토(淨佛國土) 인식과 의미

        박광연(Gwang Yeon Par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8

        이 글은 신라 중대 승려들의 논서에서 ‘정불국토(淨佛國土)’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신라 불국토사상의 맥락 속에서 그 의미를 해석해본 것이다. 유식학적 정토관을 지닌 법위(法位), 의적(義寂), 현일(玄一), 경흥(憬興)의 『무량수경』 및 『미륵경』주석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법위는 여래는 무분별지(無分別智)·후득지(後得智)의 무루종자(無漏種子)를 정토의 인(因)으로 삼고, 보살은 문혜(聞惠)·사혜(思惠)·수혜(修惠)를 일으켜야 정토에들어갈 수 있다고 하였다. 현일은 법장이 5겁 동안 수행하여 초지(初地)에 올라 마음이 깨끗해지면 불토(佛土)도 저절로 깨끗해진다고 하였다. 마음이 깨끗해지고 평등해진다는 것은 바로 분별심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고 한다. 경흥은 선정(定)을 근본으로 삼고 지혜(慧)가 선정을 이끄는 심관(心觀)이 정토의 업이라고 하여, 이를 통한 청정국토의 성취를 강조하였다. 수행을 통해 국토를 청정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국 통일을 이룩하고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나가던 시기에 법위, 현일, 경흥 등의 신라 승려들은 모두 수행을 통해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 불국토, 정토를 이루는 길임을 말하였다. 신라의 불국토 인식은 중고기로 끝난 것이 아니고 통일 이후 불교 교학에 대한 이해가 진전하면서 더 강화되어 나갔다고 볼 수 있다. 과거 부처와 인연이 있는 나라라는 의미에서의 불국토가 아니라 수행에 의해 청정해진 불국토를 꿈꾸었을 것이다. 현재의 신라 땅에 아미타불 및 여러 불보살(佛菩薩)이 상주한다는 이야기나 현신성불(現身成佛)의 사례들, 불국토의 구현이라 평가받는 경주 남산의 모습은 중대초 정불국토(淨佛國土)를 강조하던 여러 승려들의 가르침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reviewed the middle Silla period monks`` understanding of ‘Purifythe Buddha-land (淨佛國土)’ based on Buddhist texts of the period and interpretedits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Silla Pureland Buddhism. The targets of the review are the commentaries of the Sukhavati-vyuha (無量壽經) written by Beobwi (法位), Hyeon-il (玄一). and Gyeongheung (憬興) whoemphasized the Pureland Buddhism based on Yogacara Buddhism. Beobwi (法位) insisted that the untainted seeds of the non-discriminatingwisdom and subsequently attained wisdom are the cause of pure-land to tathagata(如來). On the other hand, Bodhisattva can enter the pure-land after cultivatingthe three kind of wisdom i.e. the wisdom gained by listening to expositions of the Dharma (聞慧), the wisdom gained by contemplating the truth (思慧). and thewisdom gained by the cultivation of meditation (修慧). Hyeon-il explained that, ifDharmakara Bodhisattva arrives the first of the ten bodhisattva bhumis (stage orground) after practicing meditation for five eons, the Buddha-land will becomeautomatically pure. This state of equal and pure mind points to the mind ofnon-discrimination. Gyeongheung emphasiz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禪定dhyana) as fundamental basis that achieve the pure land and he defined thecontemplation of the mind which leads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is the karmaof pure-land. He explained that only though this practice, we can purify our land. All three Silla monks, Beobwi, Hyeon-il. and Gyeongheung insist that purifyingthe mind through practice is the only way to achieve Buddha-land when the newsociety was being made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Silla``s understanding of the Pure Buddha-land did not finished after the middle-ancientperiod (中古期) but continued, rather strengthened it depth after the unification ofthe Three Kingdoms as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studies progressed. ToSilla people, Buddha-land was not understood in terms of the past Buddha or thecausal relationship but Silla people dreamed the Buddha-land that is cleaned andpurified through practices. The idea and stories of presence of Amitabha Buddhaand many buddhas and bodhisattvas along with Mt. Nam-san being considered asthe realization of Buddha-land were deeply inspired by the teaching of manyscholar monks who emphasized ‘Purify the Buddha-land’ from around the later7th century to the first 8th century in Silla land.

      • KCI등재

        동아시아 미륵경 연구사에서 경흥(憬興)의 위상

        박광연 ( Gwang Yeon Park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이 글은 경흥(憬興)의 『삼미륵경소(三彌勒經疏)』를 역사학적 관점에서 다각도로 고찰한 것이다. 1장에서는 경흥의 미륵 관련 저술 및 현전하는 사본(寫本)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경흥의 미륵 관련 저술은 ‘소(疏)’와 ‘술찬(述贊)’ 두 계통이다. 『미륵경술찬』을 먼저 쓰고, 이후에 이를 정리하여 『미륵경소』를 편찬하였다. 『미륵경술찬』은 미륵경에 대한 경흥의 이해를 일차적으로 서술한 글이고, 『미륵경소』는 다른 사람에게 미륵경을 강의하기 위한 목적에서 정리한 글인 듯하다. 2장에서는 동아시아 미륵경 연구사에서 『삼미륵경소』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6세기 이후 미륵경에 대한 교리적 연구가 시작되어, 영유(靈裕), 지의(智의), 길장(吉藏), 혜균(慧均), 혜정(慧淨), 원효(元曉), 규기(窺基), 경흥 등이 미륵경 관련 저술을 남겼다. 이 가운데 혜균의 『미륵경유의(彌勒經遊意)』, 원효의 『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 규기의 『관미륵상생도솔천경찬(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경흥의 『미륵경술찬(일부)』과 『삼미륵경소』가 남아 있다. 상생경, 하생경, 성불경 세 경 모두를 각각 주석한 것은 경흥이 처음이고, 현존하는 미륵 관련 주석서 가운데 경흥의 것이 저술 시기가 가장 늦다. 『삼미륵경소』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논제(論題)들은 이미 혜균, 원효, 규기의 저술에서 제기된 것들로, 경흥은 동아시아 미륵경 연구의 흐름을 통찰하고서 본인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삼미륵경소』의 독자성을 논해보았다. 『삼미륵경소』는 상생경, 하생경, 성불경 세 경을 총괄하는 서설이 먼저 나오고, 각 경별로 제목과 본문을 한 구절씩 풀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규기의 저술과 유사하다. 또한 규기가 사용한 표현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하지만 원효의 견해와 통하는 맥락도 많고, 때로는 원효와 규기의 견해를 종합하여 새롭게 정리하기도 하고, 때로는 어느 한 편의 입장을 지지하지 않고 경전 및 논서들을 연구하여 스스로 판단을 내리기도 하였다. 경흥이 ‘중생(衆生)’ ‘중생의 마음’을 강조한 것도 주목되는데, 경흥은 미륵경 및 관련 주석서에서 제시한 여러 왕생 방법의 실천을 통해 현재의 중생, 즉 신라인이 도솔천에 상생하여 지금의 과보를 새롭게 할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하였던 것이 아닐까 한다. 이 글은 『삼미륵경소』에 대한 기초 연구이다. 앞으로 규기의 『관미륵상생도솔천경찬』과의 세밀한 비교를 통해 『삼미륵경소』의 유식학적(唯識學的), 정토교학적(淨土敎學的) 맥락을 밝히도록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Commentary on the Three Maitreya Sutra) from various historical perspectives. In Chapter 1 of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e of Gyeongheung``s Maitreya writings and copies of other writings. Gyeongheung wrote the Mireuk gyeong Sulchan (彌勒經述贊) first and later compiled the Mireuk gyeong So (彌勒經疏). The Mireuk gyeong Sulchan explained in outline form Gyeongheung``s understanding of the Maitreya Sutra. On the other hand, the Mireuk gyeong So (彌勒經疏) was compiled as a source for Gyeongheung``s lectures. In Chapter 2 of this paper, I reviewed the status of Ven. Gyeongheung (憬興) in the East Asian history of Maitreya Sutra studies. Doctrinal studies of the Maitreya Sutra began in the 6th century. Maitreya-related writings have been written by Lingyu (靈裕), Zhiyi (智의), Jizang (吉藏), Hyegyun (慧均), Huijing (慧淨), Kuiji (窺基), Wonhyo (元曉), and Gyeongheung (憬興). Among these, Hyegyun‘s Mireukgyung yui (彌勒經遊意), Wonhyo``s Mireuk sangsaeng gyeong jong-yo (彌勒上生經宗要), Kuiji``s Guan mile shangsheng Tutsutien jingtsan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Gyeongheung``s Mireuk gyeong sulchan (彌勒經述贊 part) and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are still extant. Gyeongheung was the first to write commentaries on the Mile shangsheng jing (彌勒上生經), Mile xiasheng jing (彌勒下生經), and the Mile da chengfo jing (彌勒大成佛經). Gyeongheung‘s writings are the most recent among all the Maitreya-related commentaries still existing. Most of my thesis deals with subjects presented in the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subjects already discussed in the writings of Hyegyun, Wonhyo, and Kuiji. Gyeongheung presented his own views after reviewing the trend of East-Asian studies of the Maitreya Sutra.In Chapter 3 of my paper, I examined the unique character of the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The Sam Mireuk gyeong So starts with an introduction of three sutras: the Mile shangsheng jing (彌勒上生經), the Mile xiasheng jing (彌勒下生經), and the Mile da chengfo jing (彌勒大成佛經). This is followed by explanations of the title and each phrase of the main content of each sutra. This format is quite similar to the structure of Kuiji``s writings. Gyeongheung also quoted many expressions from Kuiji. However, much of Gyeongheung``s viewpoint is similar to Wonhyo``s, and he sometimes combines both Wonhyo``s and Kuiji``s views together. At other times he does not agree with either Wonhyo or Kuiji but expresses his own ideas based on his studies of other textbooks. It is noteworthy that Gyeongheung emphasized the concept of ``sentient beings (衆生) and ``the mind of sentient-beings``. This reveals that he sought a simple and practical purpose for the edification of the Silla people through the Maitreya Sutra. So it is thought that Gyeongheung believed one could change or mitigate one``s retribution through a rebirth in Tushita Heaven by following the teachings presented in the Maitreya Sutra and it``s commentaries. This paper is significant for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Sam Mireuk gyeong So (三彌勒經疏). In the near future,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scious-only and pure land context of the Sam Mireuk gyeong So by performing a detailed comparison of the Sam Mireuk gyeong So and Kuiji``s Guan mile shangsheng Tutsutien jingtsan (觀彌勒上生兜率天經贊).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