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冶隱의 詩‧文을 통해 본 志節과 隱逸에 대한 論辨 -새로 발견된 冶隱의 「走和詩」 소개를 겸하여

        박광민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Whoever and whenever we are, we desire fame and wealth during our life time. Though, in the same time, we also yearn for simple living in nature. And these two conflicting ideas always stay together in our mind. When we look over the history, we can find that there were many who voluntarily retired to their home to pursuit their principles.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as well who inevitably chose a life in retreat, expecting to be appointed by their king again. Gil-jae (Ya-eun) was one of ‘Sam-eun [三隱]’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midst of the fall of Goryeo, he resigned from the government office and retreated to the country.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on his literature, principles and integrity, and most of studies read and analyzed his literary works with his principles and integrity. This study re-examines the ‘Sam-eun’ of the Goryeo dynasty, and explores the moral background of Ya-eun’s life and retreat.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his newly discovered verse, ‘Joo-hwa [走和].’ Even though there are some critical point of views over Ya-eun, he was a man who thoroughly practiced a life based on a Confucian doctrine. His compassion and selflessness, which appeared on ‘Bang-byel [放鼈詩]’, the verse which was written when he was a boy, tell us his principle in life, and it was his nature and his hope for the Confucian school, what his ‘Joo-hwa’ and ‘Post San-ga-seo [後山家序]’ manifest. While developing the ideas above-mentioned, the earlier studies on Ya-eun will be visited at times if necessary. Through examining the discourse upon ‘Sam-eun’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Ya-eun’s life, as well as his newly discovered verse ‘Joo-hwa’ and his literature, this study draws conclusions as below: 1. According to the record appeared in Sam-gang-hang-sil-do [三綱行實圖] and Goryeo-sa: The Family of King Gong-yang [高麗史-恭讓王世家], his resignation was not in 1390 but in the winter of 1389, around the fifth of December in the lunar calender, just after King Gong-yang ascended the throne. In addition, according to Dong-gam-jeol-yo [東鑑節要], vol. 4: King Gong-yang and Goryeo-sa: The Biography of Jeong, Mong-ju [高麗史-鄭夢周列傳], the time of his returning home was corrected as past the fourth of April in 1392, after the Po-eun’s death for integrity. 2. According to Yang-chon-jib [陽村集], vol. 20: The Postscript to the Poetry Collection of Gil-jae, it is probable that there is an unknown collection of Ya-eun’s works, which has not been discovered yet. 3. Ya-eun’s retreat was the consequence of his loyalty to the declining Goryeo and of his compassion and selflessness, which were inherent in his mind. 4. We can infer that the ‘Joo-hwa’ verse was created in late autumn of 1390, the second year of King Gong-yang. 5. Ya-eun lived up to the teaching of ‘Wei Ling-kung’ in the Confucian Analects, “When good government prevails in his State, he is to be found in office. When bad government prevails, he can roll his principles up, and keep them in his breast.” and set an example for a man of virtue, as a man of loyalty and uprightness. 인간은 누구나 자연으로의 回歸와 名利를 추구하는 현실 安住의 矛盾된 개념이 意識속에 內在해 있다. 인간이 世慾을 버리기는 쉽지 않지만 超然히 마음을 비우고 歸去來의 삶을 실천한 사람은 전설 속의 許由, 춘추시대 吳나라의 季札, 後漢 光武帝의 벗 嚴子陵, 東晉의 陶淵明, 우리나라의 元天錫(1330~?), 南道振(1674~1735), 李夏坤(1677~1724) 같은 분들이 있다. 麗末 三隱의 한 분인 吉冶隱도 高麗의 滅亡이라는 時代狀況에서 隱逸의 삶을 선택한 분이다. 冶隱의 文學이나 思想, 節義 등에 관해서는 이미 여러분의 論稿가 나와 있고, 야은의 思想的·節義的 측면을 살피면서 文學的 특성을 살핀 論議의 방향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本稿의 목적은 麗末三隱에 대한 再檢討와, 冶隱의 文學에 나타난 삶과 隱逸의 정신적 배경을 살피는 데 있다. 아울러 새로 발견된 冶隱 詩稿를 소개하는 것도 이 논문의 목적 중 하나다. 論旨를 전개하면서 그때그때 先行硏究의 성과를 살피되 이미 잘 알려진 내용은 再論하지 않고, 本稿에 꼭 필요한 부분들만 살피겠다.

      • KCI등재

        고조선 및 고구려의 疆域에 대한 고찰과 辨正

        박광민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3

        A number of facts on the ancient Korean history are found in various texts of official Chinese history and in the articles of Samguk Sagi ( 三國史記 ) and Samguk Yusa ( 三國遺事 ). However, over more than a hundred year, the theory of Hansagun (漢四郡, Four Commanderies of Han) withi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widely accepted, even though it has major flaws. In his book Yeolha Ilgi ( 熱河日記 ), on June 28th in 1780, Park Jiwon (朴趾源, 1737-1805) lamented, saying “Oh! The descendants limit the land boundary of Hansagun as under Amnok River (Yalu River), divide each part without checking its territory thoroughly, and designate Paesu River inside of it again. Some says Amnok River is Paesu, and others say it is Cheongcheon River or Daedong River. All diminish the domain of ancient Joseon(Gojoseon), without a battle.” Kim Busik has been regarded as a figure who was obsequious to China and who diminished Korean history in his book Samguk-sagi (「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in the section/entry of the 7th year of King Bojang (寶藏王) in Goguryo Bongi (「高句麗本紀」), he quoted the novel of Liu Gongquan (柳公權, 788-865) and said, “At the Battle of Mount Jupil (駐蹕), Emperor Taizong looked nervous facing the Goguryeo force within 10 miles away. In addition, while six of his troops were attacked and pushed back, scouting soldiers reported that the troops under Duke of Ying (李世勣, Li Shiji) were surrounded by the Goguryeo. Then, the emperor was frightened and finally decided to retreat. It filled him with dread like that. This fact was neither mentioned in Xintangshu ( 新唐書 ) nor Sima Guang’s Zizhitongjian (司馬溫公, 通鑑 ) and it was surely intended to avoid disgrace of their motherland.” If Kim Busik was truly an obsequious person, why did he use the expression “the emperor was frightened”? According to the end of the article on early King Onjo in「Baekje Bongi (百濟本紀)」, he quoted, “At first, a kingdom was established at Daebang Areas (帶方故地). Gongsun Du (公孫度), the administrator of Liaodong, gave his daughter as King Onjo’s wife. (Later) it became a powerful kingdom of Eastern Yi (東夷强國). It is not certain which one is right.” He made it clear when he didn’t know. Kim tried to clarify the facts even by quoting Liu Gongquan’s novel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records. This article tries to reveal the facts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such as the domains of ancient Joseon and Goguryeo, and the locations of Paesu (浿水) and Arisu (鴨水), by examining the various records in official Chinese history books and reading between the lines of each text. 우리 고대사 연구는 중국 正史의 많은 기록과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三國史記 와 三國遺事 에서도 적지 않은 史實을 확인하고 行間을 읽을 수 있는데도 한반도 內 한사군 존재설이라는 고착된 인식은 백년이 넘도록 우리 고대사 연구의 족쇄가 되어 왔다. 朴趾源은 1780년 熱河日記 6월 28일 條에서, “오호라! 후세 사람들은 地境을 상세히 살피지도 않으면서 망녕되게도 漢四郡地를 모두 압록강 안쪽으로 국한하여 事實을 억지로 끌어다 맞추며, 구구하게 나누어 배치하고는 마침내 그 안에서 다시 패수를 찾는다. 어떤 이는 압록강이 패수라 하고 혹은 청천강을 패수라 하며 혹은 대동강을 패수라 하니 이는 조선의 옛 疆域을 싸워보지도 않고 쪼그라들게 한 것이다.”라고 한탄하였다. 金富軾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寶藏王 7년 條에 柳公權(중국 788∼865)의 소설을 인용하여, “駐蹕의 戰役에 고구려가 말갈군과 바야흐로 40리에 잇닿으니 唐 太宗은 이를 바라보고 두려워하는 기색이 있었다. 척후가 보고하기를, 六軍이 고구려 공격을 받아 거의 모두 떨치지 못할 때 英國公 휘하의 黑旗軍마저 포위당했다는 소식에 황제가 크게 두려워하여 마침내 스스로 벗어나고자 했다고 하니 두려워함이 저와 같았다.”라고 하였는데, 김부식이 사대주의자라면 어찌 감히 “황제가 크게 두려워했다”는 표현을 썼겠는가. 백제본기 온조왕 建國記 끝에는, “처음에 帶方故地에서 나라를 세웠다. 요동태수 公孫度가 그 딸을 주어 처로 삼게 했다. (후에)東夷强國이 되었다는데, 어느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고 하여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했다. 김부식도 자료가 부족해 유공권의 소설까지 인용하며 史實을 밝히고자 노력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중국 正史를 비롯한 여러 기록을 교차 검증하면서 문장 속에 담긴 行間을 읽어, 고조선과 고구려의 강역 및 패수와 鴨水의 위치 등 우리 고대사의 진실을 究明해 보고자 한다. 광개토태왕훈적비 기록에 근거해 본문 중의 고구려 ‘평양’은 ‘平穰’으로 표기한다.

      • KCI등재후보

        A CMOS Bridge Rectifierfor HF and Microwave RFID Systems

        박광민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Vol.5 No.6

        In this paper, a CMOS bridge rectifier for HF and microwave RFID systems is presented. The proposed RFID CMOS bridge rectifier is designed with two NMOSs and two PMOSs whose gates are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it is operated as a full wave bridge rectifier. The simulation results obtained with SPICE show the well rectified and high enough DC output voltages for the operating frequencies of 13.56 MHz, 915 MHz, and 2.45 GHz which are used in various RFID systems. The obtained DC output voltages are sufficiently high for driving the low power microchip in RFID transponder for the frequency range of HF and microwave.

      • 2002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朴光民,金志桓 明知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2003 學生指導 Vol.15 No.-

        1. 신입생 연력의 분포를 보면 19세 이하가 11.3%, 20세는 59.5%, 21세 18.5%, 22세 6.9%, 23세 이상 3.8%로 조사되었다. 2. 신입생의 종교현황을 살펴보면 기독교 33.5%, 천주교 13.0%, 불교 15.9%, 유교 1.0%, 천도교 0.3%, 기타 1.1%, 종교 없음은 35.1%로 나타났다. 3. 주 성장지에 대한 응답을 보면 서울이 46.4%로 과반수에 가까운 학생들이 서울에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밖에 부산 2.6%, 경기(인천포함) 32.4%, 강원 2.7%, 충북 1.3%, 충남(대전포함) 3.3%, 경북(대구포함) 3.8%, 경남(울산포함) 3.3%, 전북 1.1%, 전남(광주포함) 2.7%, 제주 0.5%로 조사되었다. 4. 출신고교 소재지를 보면 45.4%가 서울이었으며 그밖에 경기(인천포함) 33.9%, 경북(대구포함) 3.5%, 경남(울산포함) 3.3%, 전남(광주포함)이 2.7%, 충남(대전포함) 3.2%, 전북이 1.0%, 강원 2.6%, 부산 2.4%, 충북 1.5%, 제주 0.5%로 조사되었다. 5. 재학중의 주거형태에 대한 응답을 보면 63.0%가 자택에서 주거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기숙사 20.6%, 자취 8.7%, 친척집 2.7%, 친지 2.4%, 하숙 1.8% 순이었으며 기타 응답자는 0.8%이였다. 6. 고교 졸업시기에 대한 응답은 2002년도 졸업이 54.7%, '01년 졸업이 28.6%이며,'00년 졸업이 12.0%, '99년 졸업이 1.9% '98 이전 졸업이 그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다. 7. 부모의 생존여부의 응답은 '부모생존'이 96.0%, '편모'하의 신입생은 2.3%, '편부'하의 신입생은 1.2%, '양친 모두 사망'이 0.5%로 나타나 부모의 생존여부로 살펴본 가족관계는 전년도에 비하여 매우 양호하다고 보여진다. 8. 보호자 연련은 '40대'의 부모가 59.7%로 가장 많고, 다음이 '50대' 부모로 37.8%, '60대' 이상의 부모는 1.6%, '30대 이하'의 보호자는 0.9%로 나타났다. 9. 가정의 총 월수입을 보면 '201-300만원'이 31.1%, '301만원 이상' 26.4%, 151-200만원'이 22.2%, '101-150만원'이 14.0%로 조사되었으며, '51-100만원' 3.1%였으며 '50만원 미만'도 3.3%로 조사되었다. 10. 보호자 직업의 분포를 보면 '사무직'이 24.7%로 가장 많았으며, '관리직' 19.7%, '서비스직' '생산직'이 각각 12.4%, '판매직' 12.2%, '전문직' 12.1%, '농어민' 4.0%, 그 외에 미취업도 2.6%나 되었다. 11. 가족중 주 상담자의 응답을 보면 42.3%가 '어머니'를 그 다음이 23.4%인 '형제'이고, '아버지'는 13.6%만이 주 상담자로 삼았고 전년도에 비해, 아버지(15%), 어머니(45%)는 줄어들었고 형제나 기타가 늘어났다. '기타' 응답자는 20.7%(전년도18.9%)나 되었다. 12. 가정에 대한 응답은 '좋은 안식처' 38.6%, '화목한 가정'에 41.2%가 응답하여 학생들의 가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고, '갈등이 잦다' 2.0%, '몹시 괴로워 떠나고 싶다' 1.7%, '그저 그렇다' 16.5%만이 응답하였다. 13. 부모와의 가치관을 느끼는 부분은 '생활습관' 32.8%, '용돈사용' 16.0%, '학업문제' 13.4%, '이성교제' 12.9%, '진로문제' 11.4%, '친구교제' 5.7%, '정치사회문제' 4.6%, '종교문제' 3.2%,의 순이었다. 14. 가정의 주거형태에 대한 응답은 '아파트'가 51.1%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은 '단독주택' 25.6%, '연립주택' 15.9%, '전세' 4.8%, '월세' 1.0%, '기타' 1.6%로 조사되었다. 15. 개인 컴퓨터 소유 여부는 컴퓨터가 있다 93.5%, 없다 6.5%로 거의 대부분의 신입생들은 개인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었다. 16. 컴퓨터에 관련된 자격증 소유에 대한 응답에는 '하나도 없음'이 74.4%였고, 1개 16.0%, 2개 5.9%, 3개 2.5%, 4개 0.6%, 5개 이상은 0.6%로 조사되었다. 17. 컴퓨터 사용기간은 5년 이상이 51.9%로 가장 많았고 3년-5년 이하가 24.2%, 1-3년 이하 19.3%, 1년 이하 4.6%로 대부분의 신입생들은 오랜기간 컴퓨터를 사용해 왔었다. 18. 컴퓨터를 사용하는 용도로는 인터넷이 61.1%로 과반수가 넘었고, 게임 12.9%, 자료검색 8.7%, 채팅 4.6%, 멀티미디어(TV/오디오/비디오) 4.5%, 워드프로세서 4.2%, 프로그램 작성 및 활용 3.2%, 통계처리 0.8%순으로 나타났다. 19. 인터넷을 사용해 본 경험은 있다가 98.8%로 거의 모든 신입생은 인터넷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었다. 20. 인터넷의 사용 용도는 정보검색이 45.4%로 가장 높았고, '게임' 17.5%, '이메일' 13.1%, '동호회 활동' 8.3%, '채팅' 5.3%, '파일받기' 4.8%, '전자상거래' 0.5%, '기타' 5.0%로 조사되었다. 21.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간은 하루 1-2시간(33.2%)가 가장 많았으며, 2-3시간 21.0%, 불규칙적 16.5%, 3시간 이상 13.9%, 1시간 이하 13.1%, 거의 안한다가 2.3%순으로 나타났다. 22. 신입생들의 대학 진학동기에 대한 응답은 '전문적인 직업훈련'이 53.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진리탐구' 30.0%, '인격조야' 16.1%의 순이었다. 23. 입학전 본교에 대한 인식수준의 반응을 보면 '조금 알고 있었다' 61.0%, '진학지도로 알았다' 16.3%, '전혀 몰랐다' 14.4% '잘 알고 있었다' 8.3%를 보여 본교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24. 명지대학교의 인지경로는 '입시상담 선생님' 21.9%, '학원 안내자료' 21.5%, '안내홍보 책자' 17.1%, '친구 및 선배' 15.4%, '가족이나 친척' 11.5%였으며 '기타' 응답자도 12.6%나 되었다. 25. 명지대학교의 학생으로서의 긍지 조사응답을 보면, '자랑스러운 편이다' 28.4%였으며 '그저 그렇다'는 54.5%, '불만족한다' 7.1%, '대단히 불만족하다' 5.2%로 조사되어 학부제 실시로 인한 소속감의 결여 선후배간의 유대관계 부족 등이 신입생들이 학교에 대한 긍지를 느끼지 못하게 하였다고 보여진다. 26. 명지대학교의 이미지는 '기독교 대학' 58.6%, '우수한 교수진' 12.9%, '스포츠 명문' 11.8%, '자유롭고 개방적이 분위기' 7.2%, '특성화에 성공한 대학' 7.1%의 순이었다. 27. 전공학과 선택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만족한다' 41.1% '그저 그렇다' 47.6%, '불만이다'라고 응답한 학생은 9.5%를 보였고 '기타'도 1.8%였다 28. 지망학과에 대한 교육기대의 반응은 ‘직업훈련’ 47.0%' , ‘학문연마’ 34.5% , ‘교양교육’ 9.4% ,‘기타’ 8.6% 로 조사되었다. 29. 바람직한 대학의 기능에 대한 응답은 ‘교육(학문적 진리)기능’이 47.1%, ‘전문적 직업훈련’ 33.1% , ‘연구기능’ 15.0% , ‘사회봉사의 기능’ 4.7% 나타났다. 30. 대학생활을 보람 있게 보내기 위해 보충되어야 할 분야를 본다면,‘전공관련 분야’에 31.7% , ‘교양 및 상식’ 에 21.3%가 응답하였으며, ‘대인관계’ 15.7% , ‘오락·취미’ 15.3% , ‘기본교과 실력’ 9.7%,‘사상 및 철학’ 3.6% 순으로 나타났고, 기타에 응답한 신입생은 2.7%로 조사되었다. 31. 대학생활 중 가장 해보고 싶은 활동은 ‘폭넓은 인간관계’ 277.% , ‘이성교제’ 24.1% , ‘다양한 교양습득’ 19.8% , ‘학문적 탐구’ 11.8% , ‘동아리 활동’ 8.2% , ‘축제’ 3.8% , ‘기타’ 4.6% 의 순이었다. 32. 입학 후 예상되는 걱정거리는 ‘진로문제’ 52.0%로 가장 많았고,‘학업 문제(학습 및 성적)' 18.6% , ‘경제적 문제’ 11·4%, ‘인생관 및 가치관 정립’ 9.4% , ‘대인(동성 및 선· 후배 관계)문제’4.7% , ‘이성문제’3.8%의 순이었다. 33. 동아리 활동 참여여부는 66.8%가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4. 참여하고 싶은 동아리활동은 ‘취미·교양’ 35.5% , ‘체육·오락’ 21.7%, ‘예술’13.7%, ‘과학(컴퓨터 통신 등)' 10.0% , ‘종교’ 8.4%, ‘어학’4.6%,'사회 과학’ 2.2%의 순이었고,‘기타’는 4.0%로 조사되었다. 35. 동아리 활동을 원하는 주된 이유는 ‘폭넓은 인간관계’ 36.4% , ‘다양한 경험’ 31.1% , ‘적성과 취미개발’ 17.7% , ‘교양지식의 확대’ 6,0% , ‘자아발견’ 5.0% , ‘사회 봉사” 2.09%,‘책임감·리더십의 함양’ 1.8%의 순이었다. 36. 동아리 활동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는 ‘필요성을 못 느껴’ 45.4% ,‘더 중요한 다른 활동이 있어서’ 27.8%, ‘학업에 방해가 될까봐’ 22.7%, ‘주위의 반대가 있을 것 같아’ 4.2%로 나타났다. 37. 대학에 원하는 교양강좌는 ‘정서·오락’ 27.2%, ‘대인·이성 교제’ 17.2%, ‘진로관계’ 15. 5%, ‘스포츠’ 15.0%, ‘경제(재테크)’ 11.2%, ‘사회·정치 문제’ 8.3%, ‘종교·철학’ 5.4% 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38. 학생들의 교수에 대한 기대는 ‘지식과 상식이 풍부한 교수’ 28.8%, ‘학생에 대한 큰 이해’ 21.6%, ‘원만하고 부드러운 성격’ 17.0%, ‘유머감각’ 10.5%, ‘대화상대’ 10.3%의 순이었고, 그밖에 ‘강의에 충실’ 6.0%, ‘인격자의 풍모’ 4.4%, ‘권위와 위엄’ 0.6%, ‘사회활동과 봉사’ 0·8% 순이었다. 39. 원하는 친구유형의 반응은 ‘정서적 친구’가 59.6%로 과반수를 넘었으며,‘가치관 동일’ 28.9%,‘진로동일’ 6.5%, ‘학문적 대화’ 5.0% 순으로 나타났다. 40. 대인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것에 대한 반응은 ‘신뢰성’ 63.9%, ‘이해심’ 27.7%, ‘설득력’ 4.8%, ‘경청자세’ 3.7% 순으로 조사되었다. 41. 한달 평균 교양서적의 독서량은 '1권 정도’ 39.1%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1권 미만’ 31.4%, '3권 정도’ 17.8%, '5권 정도’ 6.0%, 'l0권 이상’ 4.4%, '7권 정도’ 1.4%로 조사되었다. 42. 가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운 문제로는 ‘지나친 기대’가 32.0%로 가장 높았으며,‘간섭과 통제’ 28.2%, ‘용돈부족’ 23.6%, ‘어린애 취급’ 8.7%,‘거처불편' 7.5%의 순으로 나타났다. 43. 고민거리가 생겼을 때 의논상대는 '친구' 57.4%, '부모' 12.6%, '형제' 8.4%, '애인' 6.4%, '친척' 2.7%, '은사' 2.7% 이였으며 '의논상대가 없다'도 9.8%로 조사되었다. 44. 학생운동의 방향에 대한 의견은 '학내문제' 55.8%로 가장 높았고, '현실참여' 29.1%, '환경문제' 5.8%, '통일문제' 3.5%, '빈곤문제' 3.3%, '여성문제' 2.5%로 조사되었다. 45. 대학생들의 학생생활연구소 인지 여부는 89.2%가 모른다고 응답해 홍보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