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nufacturing Zero-Cement Bricks by Replacing Cement with Recycled Aggregates and Blast Furnace Slag Powder

        박경택,한천구,김대건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3 No.1

        In this study, a zero-cement brick is manufactured by replacing cement with recycled aggregates and blast furnace slag powder. Experimental tests were conducted with standard sized samples of 190 × 57 × 90 mm (KS F 4004), and this manufacturing technique was simulated in practice. Results showed that the zero-cement brick with 0.35 W/B had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but the lowest absorption ratio. This absorption ratio of zero-cement brick with 0.35W/B was lower than the required level determined by KS F 4004. Hence, to increase the absorption ratio, crushed fine aggregate (CA) and emulsified waste vegetable oil (EWO) were used in combination in the zero-cement brick. It was found that the zero-cement brick with CA of 20% and EWO of 1% had the optimum combination, in terms of having the optimum strength development (12 MPa) and the optimum absorption ratio (8.4%) that satisfies the level required by KS. In addition, it is demonstrated that for the manufacturing of zero-cement brick of 1000, this technique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by 5% compared with conventional cement brick.

      • KCI등재

        석탄가스화발전 용융슬래그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빈배합 모르타르의 특성 분석

        박경택,한민철,현승용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9 No.5

        This study reviewed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into exhausted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as a means of utilizingcoal gasification slag(CGS) from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IGCC) while being commissioned in order tointroduce the new system to Korea. In other word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aggregate resources,CGS generated by IGCC as a residual aggregate for concrete secondary products, which is an empty mortar, wasconsidered to replace CGS in the range of 0 to 100 % for mixed residual aggregate mixed with crushed sand A(CSa)of good quality and sea sand(SS) of deep particles, which are the most commonly used in the domestic constructionindustry. According to the study, replacing CGS with CSa or crushed sand B(CSb)+SS by 25 % to 50 % resulted ingood results in the aspect of the granularity of the aggregate and the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mortar, which were found to be usable. 본 연구는 국내에 새롭게 도입하고자 시운전중인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에서 발생하는 석탄가스화 용융슬래그(CGS)를 국내의 부족한 골재자원으로 재활용 가능성을검토하였다. 즉, 부족한 골재자원확보를 위해 IGCC에서발생하는 CGS를 빈배합 모르타르인 콘크리트 2차제품용잔골재로 활용하고자 국내 건설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석산의 부순 잔골재로 양호한 품질의 CSa 및 굵은입자로 표준입도를 벗어난 CSb와 해사인 SS를 혼합한 혼합잔골재에 CGS를 0∼100 % 범위에서 치환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CSa 혹은 CSb+SS에 CGS를 25∼50% 정도 치환할 경우 골재의 입도측면 및 시멘트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 측면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져 활용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순환잔골재와 플라이애시를 사용하는 무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에 미치는 순환골재 미분말의 영향

        박경택,손석헌,한천구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cycled aggregates powder (RP) contents on recycled aggregates (RA) using fly-ash (FA) mortar in a condition of zero cement targeting earth filling materials,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tendency that as RP contents increased, W/B and air contents increased also. In the case of compressive strength, the strength was hardly developed at the early age, which was prior to 14 days; however, with the starting point of 14 days of age, strength of around 1.5 ∼2.0 MPa was developed when it arrived at 28 days. At a curing temperature of 20℃, the more RP contents increased, the more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FA 100% at all levels except RP 100 %, showing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at RP 25 %. At a curing temperature of 35℃, the temperature-dependence appeared to be large, as the RP content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curing temperature of 20℃. In addition, based on SEM analysi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a pozzolanic reaction formed by an alkali stimulus of RA with the lapse of certain days even in 100 percent FA, causing the densification of tissues, and with RP 25%, hydrate was created the most densely by the hydration of unhydrated cement particles and pozzolanic reaction of FA. 본 연구는 지반매립재 용도를 대상으로 무 시멘트 상태에서, RA 사용 FA 모르타르의 특성에 미치는 RP 치환율의영향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W/B 및 공기량은 RP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축강도는 재령 14일 이전 초기 재령에서는 강도가 거의 발휘되지 못하였으나, 재령 14일을 기점으로 28일에 이르러서는 약 1.5 ∼2.0 MPa 정도의 강도값을 나타내었다. 양생온도 20℃의 경우 RP 치환율 100 %를 제외한 모든 수준에서 순수 FA에 비해 RP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증가하였는데, RP 25 %에서 최고 강도값을 나타내었다. 양생온도 35℃에서는 20℃보다 RP 치환율이 작을수록 온도의존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EM 분석결과, 순수 FA에서도 일정 재령이 경과하면 RA의 알칼리 자극으로 포졸란 반응이 생성되어 조직이 치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RP 치환율 25 %일 때 RP의 미수화 시멘트 입자의 수화 및 FA의 포졸란 반응으로 수화물이 가장 밀실하게 생성되었다.

      • KCI등재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석탄가스화 용융슬래그(CGS)의 활용성 분석

        박경택,한민철,현승용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7 No.2

        본 연구는 석탄가스화발전(IGCC)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CGS에 대한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의 활용성을 분석한 것이다. 즉, KS F 2527「콘크리트용 골재」에서 천연 및 용융슬래그 잔골재에 해당하는 품질항목을 중심으로 CGS 1~12회분에 대한물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인 특성으로 입자모양판정실적률, 안정성 및 팽창성은 KS의 품질기준을 전부 만족하였으나, 절건밀도와 흡수율은 7~12회분에서 품질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도의 경우 불균일한 굵은 입자분포로 인해품질이 다소 불안정하였고, 7~12회분은 입자가 너무 굵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 특성으로 0.08mm체 통과량 또한 7~12 회분의 일부 수준에서 KS기준을 벗어났으나, 염화물함유량, 점토덩어리, 석탄 및 갈탄은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화학성분은 1~6회분에서 SO3를 제외하고 전부 만족하였으며, 유해물질 함유량⋅용출량은 함유량에서 7~12회분의F를 제외하고 전부 규정치 이내로 나타났다. SEM분석 결과 1~6회분에 비해 7~12회분이 거친 표면성상 및 다공질을 보여품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향후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 조치를 통한 품질편차 감소가필요하고, 양질의 골재와 혼합하여 품질을 보완한다면 골재수급난 해소 및 순환자원 활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판단된다.

      • KCI등재

        석탄가스화 용융슬래그를 잔골재로 활용하는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

        박경택,한민철,현승용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7 No.2

        This study evaluated the properties of Coal gasification slag(CGS) according to the CGS contents of cement mortar condition as a basic step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CGS as concrete fine aggregate. Flow increased with increasing CGS contents for both Crushed sand a(CSa) and Crushed sand b+Sea sand(CSb+SS), but the amount of air contents decreased to the opposite tendency. Based on 28 days is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was obtained at CGS 50% when CSa was used and CGS 75% when CSb+SS. The flexural strength were the maximum at 25% and 50% of CGS, but the tendency was similar to the compressive strength. Compared with CSa,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5% higher than those of CSb+SS, in CGS using of were about 5% higher than those of unused CGS.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study on the quality of mortar according to the CGS contents, it can be concluded that when CGS is mixed with fine aggregate at about 50%, it can contribute to securing workability and strength development positively so that resource recycling and quality improvement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