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 고위직 관리자의 은퇴 후 삶과 일의 의미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

        박경애,백지은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2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initiated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after-retirement lives of those retiree from the senior management roles with their inner meaning of career, career attitude and experience of lifelong learning with consideration that they are required to newly develop their career once they leave the organization unlike other professionals.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getting a popular qualitative approach especially in UK, has been adopted to analyze the essence of the living experience itself, by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individual’s subjective experiences already having integrated into one’s routine. In-depth interview on 6 male retirees from the senior management revealed the career attitude to hand down their own professional capabilities across the generation to earn self-expansion, which was developed through self questioning about the essence of work and life. Also, while current research on baby boomers' retirement have been focusing on standardized educational program on outplacement or preparation for retired life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 stability,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preferred non- or in-formal self-driven lifelong learning to draw their own career plan in support of proactiveness and self-confidence during their adaptation to after-retirement. This findings can be implemented into building political support or and educational action plans to make use of the retiree population on continuous expansion as a social assets as well as recognizing them with a distinctive stage of life cycle. 본 연구는 조직 내 고위관리직을 경험한 은퇴자가 다른 전문직과 달리 은퇴 후에는 조직 밖에서 새로운 진로개발이 필요하다는 데 착안하여 이들의 은퇴 후 삶의 적응 과정에서 삶과 일에 대한 의미, 진로에 대한 태도,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이들의 학습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질적 연구의 한 방법으로 영국에서 넓게 퍼져 가는 해석현상학적 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을 활용하여, 그 경험이 그들의 일상 속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의미를 갖고 있는 지를 분석하여 살아있는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6명의 고위관리직 은퇴자를 심층 면접한 결과, 은퇴 후 자기탐색을 통해 일과 삶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며 궁극적으로는 세대를 가로질러 전문적 역량을 전수하는 역할을 통해 자기 확장을 꿈꾸는 진로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베이비부머 은퇴 연구가 재취업, 은퇴준비 교육 등 경제적 관점에 집중된 정형화된 교육프로그램에 집중되었던 데 반해, 본 연구 참여자들이 은퇴적응 과정에서 보인 적극성과 주도성, 이를 근간으로 진로를 구성해나가는 데 있어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주도적 학습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가는 은퇴자 집단에 대한 변별적인 생애주기 역할에 대한 인식과 함께 이들을 사회적 자본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 교육적 실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비구조화된 REBT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

        박경애,조현주,심호규,한종숙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비구조화된 REBT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소재의 한 대학에서 교직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 할당하여 실험집단에 비구조화된 REBT 집단상담을 2시간씩 9주 동안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비모수검증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여 두 집단이 동질임을 확인하였으며 비구조화된REBT 집단상담 실시 후에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P<.05) 증가하였음을 비모수검증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집단은 변화가 없었다. 또한 의사결정유형에서도 비구조화된 REBT 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합리적 유형과 직관적 유형에서도 비모수검증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통하여 유의미한 변화(P<.05)가 있었지만 의존적 유형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대학생들의 올바른 진로결정을 위해 진로태도 성숙과 합리적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진로태도 성숙과 합리적 의사결정에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기능적 사고가 내재되어 있으며 이를 다루고 있는 REBT 집단상담이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on-structured REBT group counseling on career maturity attitude and decision making style. For this study,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composed of 18 college students in total, were organized and treatment was conducted on thes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7 college students, attended non-structured REBT group counseling. Control group composed of 11 college students received no treatment at all. Treatment lasted an nine-week period. In each week, a two-hour-long session was conducted. These two groups turned out to be homogeneous by Mann-Whitney U nonparametric test. The Career Maturity Scale and Career Decision Making Scale were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reatment.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employ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fter treatmen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career maturity attitude score and decision making style. These results imply that non-structured REBT group counseling enhances career maturity attitude and rational/intuitive decision making style which are major factors in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통합 해류도 분석

        박경애,이재연,박재진,이은일,변도성,강분순,정광영 한국지구과학회 202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1 No.3

        Oceanic current maps introduced in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can offer a valuabl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learn about rapid climate change and the role of currents associated with the global energy balance problem. Previously developed oceanic current maps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under the 2007 and 2009-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ntained various errors in terms of scientific accuracy. To resolve these problems, marine experts have constructed a unified oceanographic map of the ocea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Since 2010, this process has involved a continuous, long-term consultation procedure. By extensively gathering opinions and through verification process, a representative and scientific oceanic current map was eventually constructed.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oceanic current maps, targeting the comprehens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developed. These maps were incorporated into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2015 curriculum.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ceanic current maps of fiv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six earth science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in high school in 2019. Although all the oceanic current maps in the textbooks were unified based on the proposed scientific oceanic current maps,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omission of certain oceanic currents or the use of a combination of dotted and solid lines. Moreover, several textbooks were found to be using incorrect names for oceanic curr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oceanic current maps, produced by integrating scientific knowledge, should be visually accurate and utilized appropriately to avoid students’ misconception.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해류도는 급변하는 기후변화와 지구상의 에너지 균형에 대한 해류의 역할에 대해 학생들이 중요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게재된 해류도는 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양 전문가들은 2010년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토론과정을 통하여 2015년에 한반도 주변해의 통일된 해류모식도를 완성하였다. 광범위한 의견수렴과 검증과정을 통하여 과학적인 해류모식도로서의 대표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교육용 해류모식도도 제작하였다. 이 교육용 해류모식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8년부터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를 다루고 있는 2019년 출판된 중학교 과학 교과서 5종,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 6종에 사용된 해류모식도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모든 해류도가 제안된 해류도를 기반으로 모두 통일되어 있으나, 해류도에서 일부 해류들을 생략하거나, 점선과 실선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통일된 해류명칭과 다른 잘못된 해류명칭을 사용한 교과서도 다수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오개념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학적 지식을 통합하여 제작된 해류도가 다양한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정확히 작성되고 활용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사용된 염분 단위 분석 및 단위 개정을 위한 제안

        박경애,최지영 한국지구과학회 200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0 No.4

        It has long been that the unit of oceanic salinity changed from permil (‰) to other unit. However,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of science and earth science have still used ‰ as salinity unit that was defined a long time ag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briefly discuss abou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ange in salinity unit and measurement techniques, to present differences between the salinity units of psu (practical salinity unit) and ‰, and to address the need and validity for the correction of salinity unit in the textbooks. Twenty-seven kinds of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salinity unit and the definition of salinit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usage of salinity units in the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from 1967 to 2008. The percentages by the use of ‰ were 96.3% in the text and 83.8% in the graphs or tables of the textbooks. By contrast, the scientific papers began to use psu from 1994 and then ‰ has seldom been used since 2004. 해양 염분의 단위가 퍼밀(‰)에서 다른 단위로 바뀐 지 27년이 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는 여전히 오래 전에 정의한 염분 단위인 퍼일(‰)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염분 단위의 변화와 측정 기술에 대한 역사적 발달 과정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염분 단위들 사이의 차이를 제시하며, 그리고 교과서에서의 염분 단위 수정에 대한 필요성과 타당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27종의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염분 단위의 표현, 염분의 정의들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1967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해양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염분 단위 사용의 빈도수와 비교하였다. ‰ 사용의 백분율은 교과서 본문에서 96.3%, 그림과 표에서 83.8%에 달하였다. 이에 반해 과학적 논문들은 1994년부터 psu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2004년 이후로는 ‰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차문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접근 - 제페토 플랫폼을 중심으로 -

        박경애,홍석환,홍성철,이병인 한국차학회 2023 한국차학회지 Vol.29 No.1

        기존의 온라인 환경에서 나아가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차문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접근으로 차문화 교육 분야에서 우리 차문화의 전통성을 살리면서 기존 교육체계를 탈피하여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메타버스 기반 콘텐츠를 활용한 창의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메타버스 특성을 분석하여 선정한 메타버스 플랫폼은 한국적 특색과 문화를 담은 맵이 많이 제공되고, 3D와 다국어 지원이 되며, 개인맵 제작이 가능한 제페토를선정했으나 콘텐츠의 공유와 오브젝의 한계점이 있어 이미지로만 가능한 맵을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차문화 교육 교수-학습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차문화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시도와 함께 학생들의 흥미와 재미를 더해주며 기존의 차문화 교육뿐만 아니라 메타버스 내에서의 예절교육 등 차문화 교육과인성교육을 접목한 온라인 교육으로서 메타버스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차의 기초이론과 인성교육을 습득할수 있는 현 시대에 맞는 새로운 차문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의 신화적 상상계와 전통공간디자인의 상징적 구조

        박경애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Myths and architectural spaces are cultural products symbolizing ideologies and objects respectively. Myth has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of a unique view of the world that reflects thoughts and representations of the nationalities. This study is about 'the spaces of the memory' adapted by the mythic tradition among many aspects of the Japanese traditio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it mentions the concept of Gilbert Durand's mythic imaginaries and prototype with the method on how the myth is applied to the architectural spaces in the cultural context. Secondly, It clarifies basic meaning arrangement of the Japanese traditional spaces related to the myth. It shows sourceful 'prototipical system' that lies in the relation between thoughts and representations, regarding the shinto's spaces in terms of mythical imaginaries and Japanness. Thirdly, it ascertains mythical structure represented in the traditional space designs on terms with 'prototype' from symbolic system of the myth. It selects the cases among Japanese contemporary architects's works designed after 1960's, and analyses the meanings. In conclusion, it clarifies that this way can be a suggestion as the space design method combining the human's imaginary property with the time-stratigraphic region, and offering creative ideas for the strategy of the space design brand image that embraces a wide range of culture, ecology, and sensibility. 신화와 건축은 상상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으로서 각 민족의 독특한 세계관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신화적 상상계를 중심으로 일본의 전통공간디자인을 고찰함으로써, 신화에 의해 재현된 공간의 상징적 의미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신화적 상상계로서의 신토(神道)와 전통건축공간, 그리고 이와 관련된 전통공간디자인의 상징적 재현체계를 논하는데 있어, 첫째, 신화적 상상계와 원형, 이미지, 그리고 구조의 개념을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로부터 알아본다. 둘째, 신화와 관련된 일본 전통공간의 근원적 의미배치에 대해 살펴본다. 신토의 공간-신사, 노, 정원, 다실, 목욕탕-으로부터 상상계의 측면에서 원형과의 관련성을 고찰한다. 셋째, 원형과의 관계에서 전통공간디자인에 나타나는 신화적 구조를 살펴본다. 사례는 1960년이후의 일본 현대건축가의 작품 중에서 신화적 관련성을 중심으로 선정, 그 의미를 고찰한다. 이러한 방식은 인류의 상상적 유산을 지역의 지층에 쌓인 시간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창조로 이끌어내는, 문화‧생태‧감성을 아우르는 공간 브랜드이미지 구축전략에 창의적 아이디어를 확대하는 공간디자인방법론의 하나로 제안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영상 오류 분석과 예비교사들의 반응

        박경애,최원문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2 No.7

        해수면온도는 급변하는 기후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해양 변수 중의 하나이므로 과학 교과서에는 정확하고 오류없는 해수면온도 영상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해수면온도 영상들은 다양한 원인에서비롯된 많은 오류들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24종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I,지구과학 II 교과서의 36개의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영상을 17개 항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해수면온도 영상 처리 과정에서 생긴 구름 제거, 육지 마스킹, 색상표, 위치 정보, 시간 표시와 관련된 오류와 인공위성에 대한 기본적인 표현 오류를 조사하였다. 예비교사 25명에게 문제가 있는 대표적인 인공위성 영상들을 제시하고 설문을 실시하고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해수면온도 영상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하여 인지하지 못하였으며, 해빙, 강수 유입, 한류와 같은 실제 해양현상과 연관지어 해수면온도를 이해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교과서 해수면온도 영상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부 항목들을 고려하여 정확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ceanic variables to understand rapidly-changing climate, so that accurate and error-free SST images should be presented in school science textbooks. However, satelliteobserved SST images in the high-school textbooks presented some errors caused by various reasons. This study analyzed 36 satellite images for SST presented in 24 kinds of high-school textbooks (earth science I and II textbooks on the basi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17 items. This study investigated errors in image processing such as cloud removal,land masking, color bar, geological and time information, and some erroneous expressions related to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satellites. Twenty five pre-service teachers filled out a survey about several problematic satellite images,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did not recognize the errors associated with image processing and tended to comprehend the SST errors as real oceanographic phenomena such as sea ice, river outflow, or cold current. Therefore, satellite SST images in the textbooks should be accurately presented by including detailed items suggest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