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흉복부 방사선 치료 시 압력 기반 복부압박장치 적용에 따른 치료 간 재현성 평가

        박가연,김주호,신현경,김민수,Park, ga yeon,Kim, joo ho,Shin, hyun kyung,Kim, min so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21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3 No.-

        목 적: 폐암과 간암 환자에 대해 압력 기반 복부압박장치를 적용하여 입체적 세기변조 회전 방사선치료(VMAT)를 시행하였을 때의 치료 간(interfraction) 위치 재현성과 호흡 재현성을 평가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압력 기반 복부압박장치를 사용해 입체적 세기변조 회전 방사선치료를 받은 6명의 폐암 환자와 3명의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간 위치 재현성 평가를 위해 모의치료 CT 영상과 매일 획득한 CBCT 영상 174건을 비교하여 이미지 정합의 이동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치료 간 호흡 재현성 평가를 위해 모의치료 4DCT 영상과 매주 획득한 4D CBCT 영상 54건을 비교하여 호흡량 오차를 구하였다. 결 과: 수평수직 세 방향의 3D 벡터값인 전체 위치변화(Overall position variation, Overall VP)값은 폐와 간에서 각각 평균 1.1 ± 1.4 mm, 4.5 ± 2.8 mm로 나타났다. 호흡 변화(respiratory variation, Vr)값은 폐에서 평균 0.7 mm ± 3.4 mm (p=0.195), 간에서 평균 3.6 mm ± 2.6 mm (p<0.05)로 나타났다. 결 론: 흉복부 방사선 치료 시 압력 기반 복부압박장치의 적용은 복부 압박 재현을 통해 치료 간 종양의 호흡 변이뿐만 아니라 위치 변이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안정적인 재현성을 위해 치료 계획 시 적절한 PTV 여유가 고려되어야 하고, 매 치료 전 영상 유도에 따른 표적의 위치와 호흡 검증이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inter-fractional position and respiratory reproducibility of lung and liver tumors using pressure conserving type(P-type) abdominal compressor in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VMAT). Materials and methods: Six lung cancer patients and three liver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VMAT using a P-type abdominal compresso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 images were acquired before each treatment and compared with planning CT images to evaluate the inter-fractional position reproducibility. The position variation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of position shift values between target matching and bone matching. 4-dimension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4D CBCT) images were acquired weekly before treatment and compared with planning 4DCT images to evaluate the inter-fractional respiratory reproducibility. The respiratory variation was calculated by the magnitude of excursions by breathing. Results: The mean ± standard deviation(SD) of overall position variation values, 3D vector in the three translational directions were 1.1 ± 1.4 mm and 4.5 ± 2.8 mm for the lung and liver, respectively. The mean ± SD of respiratory variation values were 0.7 ± 3.4 mm (p = 0.195) in the lung and 3.6 ± 2.6 mm (p < 0.05) in the liver. Conclusion: The use of P-type compressor in lung and liver VMAT was effective for stable control of inter-fractional position and respiratory variation by reproduction of abdominal compression. Appropriate PTV margin must be considered in treatment planning, and image guidance before each treatment are required in order to obtain more stable reproducibility

      • SCOPUSKCI등재

        PDMS를 이용한 균일한 알루미늄 표면 패터닝 연구

        박가연 ( Ga Yun Park ),김경민 ( Kyung Min Kim ),이호연 ( Ho Yeon Lee ),박창현 ( Chang Hyun Park ),김영민 ( Young Min Kim ),탁용석 ( Yong Sug Tak ),최진섭 ( Jin Sub Choi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 Vol.23 No.5

        본 연구에서는 균일하고 높은 비율의 에치 피트를 갖는 알루미늄 전극을 제작하기 위해 소프트 리소그래피를 이용하 여 알루미늄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알루미늄 표면 위에 잘 정돈된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 도하였으며, 보호층을 이용한 알루미늄 에칭과 보호층이 존재하지 않는 알루미늄 에칭을 비교 관찰하였다. 보호층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에칭을 진행하였을 때, 알루미늄 표면에 균일한 에칭 표면이 확인되었으나, 보호층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는 불균일한 표면 에칭이 관찰되었다. In this study, etched Al electrodes with ordered arrays of pits and high aspect ratios were successively obtained using a patterned protect layer on the Al surface prepared with soft lithography method, Various methods were applied to fabricate a well ordered protect layer on the Al surface and the difference of etched Al surfaces with and without a protect layer was investigated by using SEM, It was found that the etched Al surfaces were affected by using either a protect layer or a non protect layer. As a result, the Al surface with the well ordered pits could be achieved by protect layer. However, the etched Al with nonuniform pits can be obtained without any protect layers.

      • 폐폴리스티렌을 이용한 섬유상 흡착제의 제조 및 활용성

        박가연 ( Ga-yeon Park ),우지오 ( Ji-o Woo ),이상우 ( Xiang-yu Li ),나춘기 ( Choon-ki Na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플라스틱은 기능성, 편리성, 경제성을 지닌 우수한 재질로 우리 산업은 물론 생활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2017년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2016년 기준 7,104천톤으로 1인당 131.2 kg에 달하였다. 발생한 폐플라스틱 중 4,319천톤이 재활용되었고 2,421천톤이 소각처리, 365천톤은 매립처분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근 코로나 확산으로 일회용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플라스틱 생활 폐기물의 발생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0년 플라스틱 생활 폐기물은 지난해 대비 1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폐플라스틱 재활용율은 30% 전후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투명 페트병을 제외한 플라스틱류 대부분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소각되거나 매립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병뚜껑이나 도시락용 소형 반찬통처럼 너무 작거나 검은색인 경우 아예 재활용 플라스틱류에서 제외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정 처분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플라스틱을 환경소재로 재활용하는 방법으로 다량 발생하면서도 재활용되지 않고 대부분 버려지고 있는 테이크아웃 커피 컵(종이)의 뚜껑을 이용하여 섬유상 흡착제를 제조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여 보았다. 커피 컵 뚜껑의 재질은 열가소성인 폴리스티렌으로 열을 가해 필름상이나 섬유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융방사법을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컵 뚜껑을 섬유로 가공하고 이를 클로로황산(ClSO<sub>3</sub>H)과 반응시켜 그 표면에 술폰산기를 도입시키는 방법으로 양이온 흡착기능을 갖는 섬유상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폴리스티렌 컵 뚜껑을 잘게 파쇄한 후 245±5℃의 조건에서 폴리스티렌 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클로로황산에 침적하고 상온에서 술폰화 반응을 유도하였다. 술폰화 반응은 매우 격렬한 반응으로 10분 이내에 반응이 거의 종결되었으나 반응시간별 술폰화 폴리스티렌 섬유의 암모니아(NH<sup>4+</sup>) 흡착능을 평가한 결과 폴리스티렌 섬유 표면의 최대 술폰화는 반응시간 30분 정도에서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술폰화 폴리스티렌 섬유의 암모니아 및 구리(Cu<sup>2+</sup>) 흡착능은 각각 ≥55 mg/g 및 ≥67 mg/g으로 사용의 양이온 교환수지보다 높았다. 특히 술폰화 폴리스티렌 섬유는 입상인 이온교환수지에 비해 비표면적이 넓고 흡착속도가 빨라 고정층 컬럼을 이용하는 연속 흡착공정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공탑속도 조건에 운전할 수 있어 소규모 공정으로도 다량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술폰화 폴리스티렌 섬유는 섬유상 필터 형태로서 활용은 물론 직포나 부직포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어 매우 폭넓은 범위에서 활용될 수 있는 흡착기능성 섬유 소재이다. 더 나아가 폴리스티렌 섬유는 클로로화 반응과 아민화 반응을 통해 음이온 흡착기능성을 아민화 폴리스티렌 섬유를 제조 할 수 있는 등 폐 폴리스틸렌 용기의 고부가가치 재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말소리장애 아동의 단어와 자발화 문맥의 음운오류패턴 비교

        박가연(Park, kayeon),김수진(Kim, Soo-Jin) 한국음성학회 2015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7 No.3

        This study was aim to compare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nd PCC(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derived from the single word and spontaneous speech contexts of the speech sound disorders with unknown origin(SSD).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nd non-developmental error patterns of the target children, in according to speech context. The subjects were 15 children with SSD up to the age of 5 from 3 years of age. This research use 37 words of APAC(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in the single word context and 100 eojeol in the spontaneous speech context. There was no difference of PCC between the single word and the spontaneous speech contexts. Significantly different developmental phonological error patterns between the single word and the spontaneous speech contexts were syllable deletion, word-medial onset deletion, liquid deletion, gliding, affrication, fricative other error, tensing, regressive assimilation. Significantly different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error patterns were backing, addtion of phoneme, aspirating.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of PCC between elicited single word and spontaneous conversational context. And there were some different phonological error patterns derived from the two contexts of the speech sound disorders. The more important interventions target is the error patterns of the spontaneous speech contexts for the immediate generalization and rising overall intelligibility.

      • 대도시 승용차의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박가연(Park, Ga-Yeon),이수범(Soo Beom Lee) 대한교통학회 200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4 No.-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1970년대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최근 3년간 약간의 감소추세를 보이나 여전히 높은 사고율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전체차종의 70%를 차지하고있는 승용차의 교통사고 현황을 살펴보 면, 2002년 기준으로 전체사고의 61%를 차지하 고 있으나 다른 차종과 비교하여 안전대책은 미비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안 전성 제고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승용차 이용 율이 높은 대도시의 경우 승용차에 대한 사고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기존의 국내연구는 대부분이 전체차종을 대상으로 한 사고예측모형에 중점을 두어 승용차 사고를 고 려한 연구는 아직도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승용차만의 특성을 반영한 사고예측모형을 개 발함으로써 이에 대한 교통사고의 원인 및 추 이가 분석된다면 사고의 특정원인이나 전형적 인 형태를 제거시킴으로써 반복되는 사고의 예 방과 심각도를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