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를린과 도쿄의 근대 도시대중 ‘직장인’: 크라카우어의 <직장인>과 아오노 스에키치의 <샐러리맨의 공포시대>를 중심으로

        민현주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3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6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al implications and emergence of the salaryman as an urban mass in modern Berlin and Tokyo by comparing Siegfried Kracauer’s (1889-1966) “Die Angestellten” and Suekichi Aono’s (1890-1961) “Salariman no Kyohujidai.” With the development of global capitalism, the salaryman class emerged as a common transnational mode of metropolitan life, and it was imperative for thinkers of the time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and adopt a critical stance toward this newly emerging class. Kracauer and Aono focused on this class and maintained a critical stance toward it, particularly in the distinct spaces of Berlin and Tokyo during the same period. It is likely no coincidence that both "Die Angestellten" and "Salariman no Kyohujiai" were written and published roughly at the same time, around 1930. In addition, Kracauer and Aono traverse comparable fields of cultural criticism and sociology (Kracauer) and literary criticism and politics (Aono), revealing their bitterly sociological and political positions based on their literary attitudes. It is incredibly fascinating to observe how they approach the new middle class of salarymen born in the waves of modernity in the different metropolises of Berlin and Tokyo. In this context, the task of establishing a common ground between the two thinkers from Berlin and Tokyo is relevant to contemporary society, as is the work of tracing their analysis and problematic awareness of the salaryman class and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at emerge in this class. It is essential and timely to appropriately acknowledge the lives of the salaried class and to anticipate its future recovery. .

      • KCI등재

        한.양방 협진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변화 - 국내 문헌에 대한 체계적 고찰 -

        민현주,류지선,윤영주,Min, Hyun-Ju,Ryu, Ji-Seon,Yun, Young-J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2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6 No.1

        Background : With the increase of cooperative practices (CP) between conventional western 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re have been lots of researches on the status of CP and the attitude of doctors. Objective : Since most of the research is cross-sectional,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the attitude of doctors toward CP through systematic review. Method : Systematic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on several databases in Korea. The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and question items and analyzed by the context of questions, similarity of respondents and measurement scale. And we analyzed the changes of response regarding to doctors' awareness and attitude to CP. Results : Thirteen survey studies including attitude of doctors toward CP were selected.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between 1997 and 2009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of each study ranged from 20 to 702. There has been increasing awareness of CP among doctors ; however the positive responses on the necessity of CP has decreased. Regarding the type of illness effectively treated employing CP, there was a shift from neurovascular to musculoskeletal and immune diseases. Most of the studies listed different approaches to disease, prejudice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inadequate legal system as major obstacles against CP. Conclusion : In spite of the increase of CP in the last 20 years, there has not been marked positive change in the doctors' attitude toward CP. To promote CP, it is requir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CP through disease models and change the medical legislation policies on CP.

      • 여성일자리 이동실태와 노동시장 성과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민현주,임희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9 No.13

        1. 연구 배경 및 목적 경제위기를 계기로 기업의 고용유연화전략 강화, 기업간 경쟁 격화와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른 기업의 불안정성 증대, 그리고 개인적 삶을 중시하는 경향 확산 등의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면서 근로자들의 노동력 상태간(취업, 비취업, 고용형태간 이동, 직장간 이동 등) 이행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남성과 여성이 경험하는 이동의 규모와 형태에서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일자리 이동의 성별 차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여성근로자들은 남성근로자들보다 더 다양한 이동사유와 유형 및 경로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남성과 여성이 인적자원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을 뿐 아니라 남성들과 차별화되는 여성들이 경험하는 생애주기 사건들의 영향이 중요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강화되고 있는 현실을 배경으로 여성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일자리 이동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 남성근로자들과 비교를 통하여 차별성과 유사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가 분석대상으로 하는 일자리 이동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분석은 노동시장 내에서의 일자리 이동을 분석대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여성들의 일자리 이동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과 노동시장으로부터의 이탈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연구는 고용형태 간 이동과 조직내 이동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비정규직에 진입한 여성과 남성근로자들이 일자리 이동을 통해서 정규직으로 진입하는 사건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다. 이 같은 일자리 이동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은 여성근로자들의 욕구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1) 일자리의 보다 나은 근로조건과 안정성 추구를 위한 이동, (2) 가사 및 양육과 노동시장근로 병행을 추구하기 위한 이동. 따라서 이러한 일자리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크게 세 가지 범주의 변수들을 포함한다. 첫째는 연령, 결혼상태, 가구소득 등을 포함하는 인구학적 변인들이다. 두 번째는 인적자원변수 및 일자리 특성을 포함한다. 이에는 교육수준, 노동시장경력, 직종, 업종, 근속기간, 주당 평균근로시간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여성들의 일자리 이동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논의되는 자녀관련 변인들을 포함한다. 임신 상태, 미취학아동, 전체 자녀수 등의 효과를 분석한다. 분석대상이 되는 일자리 이동은 여성이 처음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하여 경험하는 일자리부터 마지막 면접 당시 또는 현재 근로하고 있는 일자리에 이르기까지 경험한 모든 일자리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각의 일자리에서 다음 일자리로의 진입요인 분석 뿐 아니라 한 개인의 일자리 이동력을 추적하여 분석한다. 이러한 일자리력(job history) 분석은 분석시점을 임의로 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시간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다양한 경로를 통한 일자리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이들 이동이 노동시장에서 여성근로자들에게 미치는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자리 이동이 여성근로자들의 노동시장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양질의 일자리 이동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Gendered Job Mobility and th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Labor Market Outcomes for Women in Korea Hyun-joo Min Hee-jung Lim Traditionally, female workers are assumed to exhibit lower and more sporadic attachment to the labor forc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is is in part because of sex differences in responses to family transitions such as childbearing and childrearing, but it may also reflec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jobs that men and women hol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ypes of job transitions among men and women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998-2007. Firs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ree types of job turnover; voluntary exits from jobs and from the labor force and involuntary job separation among men and women in the U.S. and Korea. Secon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transition from nonstandard employment to standard employment and the changes in wages of whom experienced the job transition between nonstandard and standard employment. Using event history analysis, the results highlight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leave the labor market than men, but no more likely to voluntarily change jobs and involuntarily lose jobs. Further, women are no more likely to move to standard employment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Further, women in managerial and professional jobs are more likely to lose jobs, but less likely to leave the labor market voluntarily than other women. Regarding educational effects, while education does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ing of various job transitions, women with 4-year university or higher degree are more likely to leave the labor market voluntarily than women with highschool degree. Finally, the results emphasize that any preschool child(ren) at home lead women to make job transitions: women with young children are more likely to leave the labor market, make voluntary transition to another job. However, women with young children make slower transitions from nonstandard to standard employment than other women. Altogether, this research implies that highly educated women are less motivated in participating in the labor market and tend to face a barrier in making advance than other women. Further, young children play a role of shaping interrupted employment patterns as well as making frequent job changes among mothers.

      • SCOPUSKCI등재
      • 연제발표 : 위, 대장 기타분야 ; 구연 : 골반저 근실조에서 전기자극치료와 바이오피드백 병합 요법의 효과

        민현주,명승재,변정식,고정은,권오련,윤인자,조지윤,최기돈,이진혁,정훈용,양석균,홍원선,김진호,민영일,김정선 대한소화관운동학회 2005 대한소화관운동학회 춘계학술대회 Vol.16 No.-

        <목적> 바이오피드백은 골반저 근실조에서 높은 치료 효과를 보이지만 일부 환자는 증상 호전을 경험하지 못한다. 최근 변실금에서 전기자극치료의 효과가 알려진 후 만성 변비에서 전기자극치료를 시도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골반저 근실조에서 전기자극치료와 바이오피드백 병합 요법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장 운동 기능과 연관된 substance P가 이들 치료의 효과에 관여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골반저 근실조로

      • KCI등재

        근대 대도시 일상의 파노라마: 발터 벤야민의 파리와 곤 와지로의 도쿄

        민현주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2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59

        This study proposes to contrast Walter Benjamin’s theoretical views of the everyday life of modern metropoli with those of Kon Wajiro.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as part of the era’s accelerated modernity, a completely new type of metropolis emerged. The emergence transformed the lives of modern metropolitans, and this was understood at the time by some to be problematic. In the early 20th century, Benjamin focused critical attention toward Paris while, on the other side of the globe, Kon explored and examined Tokyo. Benjamin outlines his observations in the Arcade Project, while Kon presents “modernologie” as a method by which to capture the modern customs of Tokyo. Both approach their respective cities from a microscopic (rather than macroscopic) point of view. Even though situated in the same historical moment with similar research agendas, it seems that little cross-cultural comparative analysis connects Benjamin with Wajiro. This study raises the possibility of shifting beyond East-West discursive dichotomies, and attempts to broaden the horizons of an Eastern-Western comparative literature by synthesizing and synergi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Benjamin and Kon’s theor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