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방향과 과제 -초․중등교육법의 개정안을 중심으로-

        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s a task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policy to strengthen the autonomy of local and school curriculum. For this end, it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policy and the requirements of the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urriculum autonomy in curriculum document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period.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revised draft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revision), curriculum implementation(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result) was derived as to how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should be chang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education curriculum, beside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examine related laws such as the Basic Education Law and the curriculum council regulations. In addition to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infrastructure, and the administrative administration betwee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본 연구는 지역 및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과제로서 관련 법령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현황과 전제 요건을 탐색하는 데 교육과정 시기별로 교육과정 문서상의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문재인 정부의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에 대한 경향성을 짚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실효 성을 담보하기 위해 초 중등교육법의 관련 조항들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교육 과정 개발(개정), 교육과정 실행(수업), 교육과정 평가(성과) 측면에서 초 중등교육 법의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실행과 성과 도출을 위해 초 중등교육법 외에도 교육기본법, 교육과정심의회 규정 등 관련 법령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자치 강화에 따른 행 재정적 인프라,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간의 행정 운영 연계 등 분권화 추진 전략 로드맵을 구상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습자중심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탐색

        민용성(Min, YongSeong),최화숙(Choi, Hwa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전반적인 설계도인 교육과정이 시대적·사회적 상황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중심과 다문화 교육의 본질을 모두 반영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중심적인 요소가 복합된 학습자중심 다 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교육 중심내용 요소, 학습자중심 교육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및 국가수준 교육과정 총론 다문화내용 요소와의 공통된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토대로 학습 자중심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학습자중심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총론) 문서 체제의재정립,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학교 급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학교 교육과정 지원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다문화교육과 학습자중심의 본질에 터하여 시대적·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학습자중심의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총론 수준에서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eds perception for the reflection of the multicultural nature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order to coincide the times and social situations with the curriculum-the overall designs of school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of learner-centered complex component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extracted the relevance of core content elemen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its curriculum relevance, multicultural content elements of the state-level curriculum. Based on this, inquired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proposed the redefine of the state-level curriculum document system, the direction of curriculum constructi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each school curriculum and support school curriculum. In that nat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earner-centered, inquired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reflection of the contemporary and social change in the state-level curriculum. These findings could have a significance in terms of suggesting the implication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법률적으로 규정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문제

        박창언(Park, Changun),민용성(Min, Yongseong),이기용(Lee, Kiyoung),박상욱(Park, Sang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법률과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범 교과 학습 주제가 국가 교육과정상에서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검토하는 데 있다. 논의를 위해 우선 범 교과학습 주제의 배경과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범 교과 학습 주제가 어떠한 성격으 로 등장하였는지 명확치 않고 이에 따라 그 위상도 교과의 하위 영역으로 인식되는경향이 있었다. 다음으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결정 경로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범 교과 학습주제의 결정 경로는 법률, 법률과 국가 교육과정, 국가 교육과정의 세분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현황에서는 법률에만 제시된 경우, 법률과 국가 교육과정 공통으로 제시된 경우, 그리고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만 제시된 경우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가 교육과정상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문제로 법령 체계상 개념 정립의 어려움, 상이한 경로의 진입으로 인한 통일성 부족, 정치적 결정으로 인한 자율성 침해를 다루었다. 논의 결과, 범 교과 학습 주제와 관련하여 제도적 정 비가 이루어지고 난 후 현재 산재해 있는 이들 내용의 검토를 통해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cross-curriculum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rough the critical analysis of legal context of cross-curriculum and to discuss the proper plan for the enhancement of cross-curriculum. For this end, first, background and status of cross-curriculum in national curriculum. The nature of cross-curriculum is uncertain and Its status was subordinated to subject area. Second, the decision process and present condition of cross-curriculum are discussed. The decision process of cross-curriculum was three: only legal, legal and national curriculum, and only national curriculum. It was the same with current state of affairs. Third, the problems of cross-curriculum in national curriculum is discussed. disputed questions are difficulty of concept establishment in legal system, lack of unity, differenc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violation of school autonom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law system maintenance and cross-curriculum reorganization in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후기 구조주의와 도가(道家)사상의 교육적 함의

        박성일(Piao Cheng Ri),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s a comparison between post-structuralism and Daoism from pedagogical perspective, and finds the same and similar ideas of these two, and to demonstrating the reasonability of the same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post-structuralism which started in the west of 20th century is actually the continuation of the researches regarding to Idea which is started from Platon, so it naturall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eastern Daoism. The comparison between those two are divided into five parts: the criticism of metaphysics and existing order, the criticism to conspiration of power and knowledge, the text disintegration game, the concern of differance and edge , the disintegration of subjectivity and the situation after the disintegration. In conclusion, post-structuralism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eastern Daoism and these two thoughts point out some insightful comprehension of essence of human and society. Those are helpful to deep consideration of conceptions such as centre , power , diffierance , edge , subjectivity , those are popular in present. And it s meaningful to clearly understanding the idea and methodology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본고는 후기 구조주의와 도가사상을 교육적 시각에서 비교하여 양자의 공통 인식 및 유사점 도출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육이라는 주제 의식에서 그 공통성의 합리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세기 서양에서 나타난 후기 구조주의 사조는 사 실 플라톤의 ‘이데아’에 관한 탐구의 지속이고, 이는 동양의 도가사상과 많은 공통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후기 구조주의와 도가사상을 형이상학과 현존질서 비판, 권력과 지식 공모 비판, 텍스트 해체 게임, ‘차이’와 ‘변두리’에 대한 관심, 주체성의 해체와 그 이후 등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양자는 많은 공통 인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양자 모두 인간과 사회 제반 현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과 이해는 오늘의 학습자 중심 교육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특히 본고에서 거론되는 ‘중심’, ‘권력’, ‘차이’, ‘변두리’, ‘주체성’ 등의 개념과 의미에 보다 명확한 이해를 주고 있고,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보다 분명한 이념과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방법론의 함의에 관한 소고(小考)

        박성일(Piao ChengRi),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 그 연구방법론의 함의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기구조주의는 오늘날 교육 연구에서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고, 이미 수많은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과 특징을 다음과 같은 연구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Ball의 교육정책개혁 연구, Giroux의 비판교육학 연구, 佐藤学의 교육언어와 담론 해체적 분석 연구, Lather, Grumet, Noddings의 페미니즘 교육 연 구, Taubman, Daignault, Wen-Song Hwu의 교육과정 해체적 분석 연구 등이 그것이다.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론을 근본과 기저로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탈중심화’와 ‘차이’ 주목, ‘메타 서사’와 ‘절대 진리’ 해 체, ‘권력’ 거부와 ‘권력관계’ 해체, ‘주체성’ 해체, ‘텍스트’와 ‘담론’ 해체 등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 및 특징과 연구방법론의 근본과 기저를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교육연 구자들이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방법론을 현실의 교육 연구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and explore the Connotation of it’s Methodology. Post-structuralism has had a tremendous impact in education research and so many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recent decades. This study selected some examples to exam that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those are include: (1)Ball s study of educational policy reform; (2)Giroux s post-structuralism critical pedagogy research; (3)Satomanabu s research of deconstruction of educational language and discourse; (4)Lather, Grumet, Noddings s feminism education research; (5)Taubman, Daignault, Wen-Song Hwu s curriculum deconstruction analysis. Further, this study explored the fundamental foundations of methodology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The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based on Post-structuralism idea and methodology, and take it as the research methodology foundation. Concretely, this study take it into as follows to exam: (1)“Decentralization” and gaze “differance”; (2)“Grand narrative” and “absolute truth” Deconstruction; (3)“Power” deny and “Power relations” Deconstruction; (4)“Subjectivity” Deconstruction; (5) “Text” and “Discourse” Deconstruction. In conclusion, through to comparative analysis that it with 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to clarified the change and evolve, and deepen our understandings for the methodology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researchers may have a clear understandings for the modality and feature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and for the fundamental foundations of it’s methodology. Further, we hope that it can be helpful for education research today.

      • KCI등재

        푸코의 ‘규율권력’과 교육의 장에서의 ‘감시와 처벌’

        박성일(Piao Cheng Ri),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고에서는 푸코의 ‘규율권력’ 해석에 근거하여 교육의 장에서의 그 양상과 성격을 살펴본다. 푸코는 현대 사회에서는 군주권력이 물러나고 규율권력이 지배적 양식으로 등장하였다고 한다. 규율권력은 비개인적 비가시적 무형의 존재이지만, 모세관처럼 사회의 구석구석까지 침투되어 있고, 사회구성원의 통제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푸코는 규율권력의 성격과 특징, 테크닉과 도구를 매우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규율권력은 공간배분의 예술, 시간의 배정을 통해 활동의 통제, 발생적 조직화, 각종 역량의 조합 등 다양한 테크닉을 활용한다. 또한 규율권력은 계층적 감시, 규범화 제재, 시험 등의 도구를 활용하며, 은밀하고 억압적이고 공포적이다. 본고에서는 중국 영화 「아름다워 보이는데」를 사례로, 교육의 장에서의 규율권력의 형태와 성격, 그리고 그 메커니즘과 특징을 확인한다. 특히 푸코가 발굴한 또 하나의 권력 형 태인 생명권력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규율권력의 은밀하고 억압적이고 공포적인 면을 극복하는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 ‘규율권력’과 ‘생명권력’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통해 교육자들이 현실의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천하는 데 유용한 지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plored the patterns and properties of ‘disciplinary power’ in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explanation. According to Foucault, the monarch power backs off and the ‘disciplinary power’ is becoming dominant in the modern society. Although the ‘disciplinary power’ is impersonal and invisible, it has permeated through the society such as a capillary tube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govern the member of society. Foucault precisely explained the property and features of ‘disciplinary power’ and revealed its technique and tools. The ‘disciplinary power’ uses lots of techniques like ‘the art of distributions’, ‘the control of activity’, ‘the organization of geneses’, ‘the composition of forces’ and so on. In addition, it uses the tools like ‘hierarchical observation’, ‘normalizing sanction’, ‘examination’ and so on. The ‘disciplinary power’ is secret, oppressive and grisly. Taking a Chinese movie “Looking Beautiful” as an example, this paper confirmed the manifestation, property, mechanism and tools of ‘disciplinary power’ in education field. With understanding of ‘power over life’ and it s operating mechanism, it can be overcome the shortage of ‘disciplinary power’. This paper can be helpful to educators to practice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real world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disciplinary power’ and ‘power over life’

      • KCI등재

        도가(道家)사상의 교육과정적 함의에 관한 소고(小考)

        박성일 ( Piao Chengri ),민용성 ( Min Yongse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2

        도가사상은 암묵적으로 동양 철학사상의 근저이면서 전통으로 되어 왔고, 동양 문화권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왔다. 도가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생존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자연주의 생존원리를 교육의 내용과 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도가사상의 교육과정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자연 조화의 양생(養生)체육, 자연 순화의 도덕교육, 자연 체험의 심미교육, `정관`과 `현람`의 인지교육으로 나누어 도가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살펴본다. 도가의 교육 원리와 방법은 `역`과 `반`의 변증법, 순차성, `허정`, `무위`와 `자화`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도가사상은 교육과정적으로 의미가 풍부하고 심오하다. 이는 교육과정학적 관점에서 도가사상에 대한 심도 있는 재성찰을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Daoism, the implicit foundation of Eastern philosophical thought,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Eastern culture. Daoism focuses on survival education, which emphasizes the concept of the “Unity of Man and Nature,” basing pedagogical contents and methods on the naturalist principle of surv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Daoism on the curricular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Daoist education in terms of the following four aspects: 1) health- preserving sports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natural harmony; 2) moral education through refining nature; 3) aesthetic education through experiencing nature; and 4) cognitive education through “quietly observing” and “seeing judiciously.” This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principles and methods of Daoism in terms of the following four elements: 1) the dialectic of “backwards” and “reverse”; 2) the principle of “order”; 3) the principle of “serenity”; and 4) the principles of “inaction” and “self actualization.” In conclusion, curricular thought within Daoism is meaningful and profound. Therefore, it must be encouraged in order to maintain deep introspection on Daoism in the East.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비교 고찰

        정영근(Jeong, YoungKeun),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양국의 핵심역량 정책 도입 과정과 국가 교육과정 구성 측면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일본이 한국보다 교과 교육과정 구성에 더 많은 변화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핵심역량으로서 ‘자질·능력’을 지식·기능, 사고력·판단력·표현력, 태도의 세 가지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이 틀에 따라 교과 내용을 재구조화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이러한 구분과 재구조화는 역량 교육과정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나게 한다는 점에서 향후 한국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일본의 일반·범용적 역량이 모든 교과에 걸쳐 강조 또는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경우도 범교과 역량을 기반으로 총론의 핵심역량의 기능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by comparing core competency curricula in Korea and Japan. In Korea and Japan, policy studies on key competencies were conducted research institutes and reflected in their policies and national curriculum. The two countries maintained the entire curriculum framework. However, while Korea is presenting subject competency and skills, Japan has different goals and contents depending on i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In this regard, Japan has made more changes than Korea within the curriculum framework. Restructuring the subject contents according to their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such as Japan, needs to be reviewed. However, like Japan s general competency, Korea also needs to explore its cross-curricular competency.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이해에 관한 고찰

        정영근(Jeong, YoungKeun),민용성(Min, YongSeong),이주연(Lee, Joo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고는 핵심역량을 둘러싼 정책적 논의와 틀을 살펴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틀을 구안하여 핵심역량 교 육과정의 기본 구상과 골격, 반성적․비판적 견해를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의 골격은 「교과 역량-기능-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행능력으로 표현되는 ‘기능’은 내용 요소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성취기준에 반영되었으 며, 기능과 활동을 바탕으로 역량 수업과 역량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구도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지식의 배제가 아니라 지식을 습득하는 데 머물지않고 학생의 생활 및 삶과 연결하여 지식을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오히려 교과의 본질을 더 잘 드러나게 함과 동시에 교과를 더 잘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접근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한다.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이 보다 발전적으로 제고되기 위해 교과의 틀이나 경계를 흔드는 것보다는 교과 교육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총론의 핵심역량을 범교과 학습과 결합시켜 일반적․범용적 역량으로서의 총론 핵심역량의 기능이 보다 적극적으로 발휘되도록 모색할 필요가 있 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ing discussions on key competencies and to explore how key competency curriculum of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understood and what possibilities can be found. To this end, the study devised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2015 revised curriculum, while reviewing the reflective and critical views on the design of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designed to reflect key competencies on the existing subject curriculum framework. The key competency curriculum consists of ‘subject competencies –skill –activities in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identified wh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and skill and activiti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In addition, the key competencies of General Guideline and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interrelated, but these two are not hierarchical relationships, or one is not included in the other.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Guideline, but it is meaningful in itself.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possibilities of competency curriculum in Korea can be found in the subject curriculum and in cross-curricular themes.

      • KCI등재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기본연구 주제 분석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중심으로

        신서영(Shin, Soeyoung),박창언(Park, Changun),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이 연구는 정부 출연 교육과정 전문연구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기본연구 주제를 교육과정기별로 분석하여 그간의 연구성과를 고찰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지난 22년간 수행했던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기본연구과제물 586편이며, 분석 방법은 수집된 연구물의 과제명을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로 분류한 후 언어정제를 거쳐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틀로는 교육과정의 전 과정을 순환구조로 정립한 교육과정 개발-운영-평가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물 수량은 제1기 186편, 제2기 38편, 제3기 199편, 제4기 163편이었고, 가장 빈도가 높은 단어 3개는 제1기: ‘개발, 교육과정, 개선’, 제2기: ‘학업성취도, 평가, 국제’, 제3기: ‘개발, 평가, 교육과정’, 제4기: ‘평가, 교육과정, 중학교’였다. 중심성 3순위까지의 단어는 제1기: ‘교육과정, 수학과, 과학과’, 제2기: ‘학업성취도, 수학과, 과학과, TIMSS, 국제’, 제3기: ‘개발, 분석, 교육과정, 개선’, 제4기 ‘교육과정, 평가, 분석’이었다. 연구 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연구는 국가교육정책을 반영하여 이루어졌으며, 교육과정 전 분야에 거쳐 고르고 다양하게 이루어졌고 교육과정 차수가 거듭될수록 연구주제 간 연결성이 조밀해지며 연구 역량이 성숙해져 왔음을 보여주었으나, 교원연수 및 법제 정비 분야가 타 연구 분야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을 바탕으로 부족한 분야에 관한 연구 보강, 일원화된 NCLMS 구축, 인재 등용을 통한 미래사회 교육 연구주제 발굴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for analyzing the basic research subject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by curriculum period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The analysis targets 586 basic research subjects conducted by the KICE over the past 22 years, and the collected research subjects by curriculum period is analyzed language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by Park who established the entire curriculum in a circular structure, is used to analyz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KICE are reflected in the education policy and selected and varied throughout the entire curriculum. It also showed that research capabilities have matured due to the tightness of connectivity among research subjects as the number of courses continued, but the areas of teacher training and legislative readjustment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research areas. Based 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the research and reinforcement of insufficient fields, the establishment of unified NCLMS, and the discovery of future social education research subjects through the recruitment of human resourc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