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 전문과 민주주의― 5・18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의 헌법적 당위성 ―

        민병로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8 No.1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the “5.18 Uprising) has been the driving force for Korea’s movement toward democracy. By virtue of 5.18 Uprising and the 1987 June Democracy Movement eventually made it possible for Korea to have a transition to democracy without any bloody situation. Advisory Committee on the Special Committee on the Constitution’s final report during the last year had included 6.10 Movement in addition to the 4.19 revolution in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Even President Moon Jae-in had pledged an inclusion of 5.18 spirit into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but it unfortunately did not happen. The reasons or this failure included regional limitation and the lack of a local outlook of historical assessment. However, the 5.18 Uprising had historical assessment by the supreme court with 1997’s judgement that it was a justifiable civic movement for depending the constitutional orders and values. Furthermore, in 1997, the Korean government made the day of May 18th an official national holiday. In 2002, an enactment of a new Act honored people who related to 5.18 Uprising persons of national merit. Also, 5.18’s regional limitations pointed out that the unleash of a pro-democracy movement after 1979’s 10.26. As such, 5.18 can’t be evaluated with Gwangju region’s limited subject The reason why 5.18 Uprising couldn’t spread to the whole country was because of the military influence as a result of the 12.12 military coup. Their ‘K-Operation plan’ for the seizure of power that right before the emergency martial law, preventive custody was imposed upon active students of demonstration and major politicians. They placed army to universities, and blocked Gwangju not only areal but also journal, communication and phone line. This paper urges the Constitution to reflect the 5.18 spirit in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with meaning of ‘sovereignty revolution’ which our history never experienced with the name of modern civil revolution. 5.18 Uprising has the constitutional value of ‘democracy’ and ‘resistance’ in that it was right action to maintain and recover the constitutional order with protecting civil freedom and rights against violent dictatorship of government power. 5・18항쟁은 한국 민주화운동의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 5・18항쟁이 있었기에 1987년6월항쟁이 유혈사태를 수반하지 않은 민주화이행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지난 1년 동안 활동해온 국회개헌특위자문위원회 최종보고서에는 기존의 4・19와 함께 새롭게 6・ 10항쟁을 헌법 전문에 담고 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까지 공약하고 있는 5・18정신을 최종보고서의 헌법 전문 시안에 반영하지 않은 것은 5・18항쟁이 지역적 한계를 지니며, 역사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편협한 견해에 터를 잡고 있다. 그러나 5・18항쟁은 이미 대법원으로부터 1997년 판결을 통해 국헌문란세력에 항의하여 헌정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정당한 행위였다는 역사적인 평가를 받았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1997년에 항쟁이 시작된 5월 18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였으며, 2002년에는 법률을 제정하여 5・18항쟁과 관련하여 희생하거나 공헌한 자들을 5・18민주유공자로 예우하고 있다. 나아가 5・18의 지역적 한계성에 대한 지적은 5・18항쟁이 79년 10・26이후 봇물처럼 일어난 민주화운동의 연속선상에서 일어난 것이지 광주만의 어떤 특수문제를 내걸고 광주지역에 한정해서 일어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상적으로만 평가해서는 안된다. 5・18항쟁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지 못한 것은 신군부세력이 12・12로 군권을 장악한 후‘K-공작계획’ 등을 세워 정권장악을 위한 치밀한 준비를 하고 전국비상계엄확대를 선포하기 직전에 시위 주동자급 학생들과 거물급 정치인들을 대대적으로 예비검속하고 주요 대학 캠퍼스에 군부대를 배치하였으며, 광주의 외곽지역을 공수부대를 비롯한 계엄군들이 철저하게 차단하였을 뿐만 아니라, 언론과 통신, 전화선까지 차단하여 시위의전국 확산을 철저하게 저지하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권력의 폭력적 지배에 맞서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수호하고, 헌정질서를 회복・유지하기 위한 정당한 행위로서 ‘민주주의’와 ‘저항’의 헌법적 가치를 지니고, 근대시민혁명을 경험하지 못한 우리 헌정사에서 이른바 ‘주권혁명’이라는 헌정사적의미를 지닌 5・18항쟁의 정신이 반드시 헌법 전문에 반영되어야 하는 헌법적 당위성을제기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司法權의 槪念과 憲法訴訟 : 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閔炳老 한국공법학회 2003 公法硏究 Vol.32 No.1

        The judicature is on a level with the legislation and the executive as one of national power in the modern state where the division of power is enforced. And usually the judicial power is belong to the court, the independent state organ, as one of state powers distinguished from the legislative power and the executive power. It is prescrib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Judicial power shall be vested in courts composed of judges." (one of clauses Article 101), and "The courts shall be composed of the Supreme Court, which is the highest court of the State, and other courts at specified levels." (two clauses of this Article), so the existence of judicial power and its reversion corresponding to the legislative power and the executive power are clarified. However, these Articles do not clarify anything about contents of judicial power or jurisdiction. Therefore, judicial power in a substantial meaning should be clarified. By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judicial power and executive power, expansion of object in 'Verfassungsbeschwerde', supplementation of 'abstrakte Normenkontrolle', taxpayer' suit in administration procedure act, extention of 'verfassungsrechtlichen Organstreitigkeiten' could be possible. Therefore, recent discussions concerning the concept of the jurisdiction developed in academic circles in Japan in relation to the activism of the judicial review to clarify such a problem is mainly examined in this paper. It is said that the administration procedure act of Republic of Korea was mainly influenced by that of Japan. And the provision of judicial power in the Japanese constitutional law is similar to the Koreans. So we can make the first step forward the solution of present question by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judicial power and judicial review in Japan.

      • KCI등재

        헌법상의 재산권의 보장과 한계-헌법재판소 결정을 중심으로-

        민병로 한국토지법학회 2006 土地法學 Vol.22 No.-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laws based upon the public concept of the land as unconstitutionality or disagreement of constitution in the early 1990s. It then aims to scrutinize the constitutional suitability of current government's real estate policy. In the Korean constitution, property right is not absolutly unlimited, but for public interests, it is restricted. In particular, as land's limitedness and social aspects, the rights of land ownership is much more restricted compared to general property rights. Alth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events relating to the public concept of the land as unconstitutional, the public concept of the land itself is not denied. However the laws relating to the rights of land ownership must be consistent for the eradication of real estate speculation. Furthermore, for achieving the main purpose of the public concept of land, it should consider certain aspects, such as the current state of land, the condition or degree of speculative land transaction, and soon. These aspects should be left to legislator's discretion. However, for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the scope of restriction must not be over the legislative discretion which could violate the principles of property rights. In other words, alth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approves that it is at the legislative body's discretion to put restriction on the rights of land ownership, if the restriction is over their legislative discretion or is remarkably irrational the court will decide unconstitutionality. The study finds that the government's real estate policy seems to take account of the previous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the public concept of the land. However, to prevent any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the details of the current restriction on real estate are more carefully prepared. 본고에서는 1990년대 초반의 택지소유상한제, 개발이익금환수제, 토지초과이득세제로 대표되는 토지공개념 제도에 대해서 헌법재판소가 위헌 또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사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참여정부가 서민들의 주거안정과 부동산 투기 근절을 위해 발표한 강도 높은 부동산 정책들 중에서 그 근간을 이루고 있는 토지거래허가제, 종합부동산세제, 개발이익환수금제 등의 헌법적합성 여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우리 헌법은 선진제국의 근대입헌주의 헌법과 마찬가지로 사회국가원리를 채택하여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고 있으며, 재산권에 대해서도 절대적 무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공공의 이익에 적합하도록 행사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특히 토지소유권에 대해서는 토지의 유한성 및 사회성 등에 비추어 그 제한은 일반 재산권에 비해 보다 더 강하게 제약될 수 있다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이다. 헌법재판소도 토지공개념 관련 사건에서 위헌 또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고 있으나, 토지공개념 그 자체를 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일관되게 부동산 투기의 근절을 위해 토지소유권 행사의 제약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더욱이 그 목적달성을 위한 제반 조치나 수단 등의 선택은 현실의 토지의 상태, 투기적 거래의 상황이나 정도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는데 이는 입법권자의 입법재량의 범위에 속한다고 하고 있다. 다만 목적달성을 위한 규제조치가 입법재량의 한계를 일탈하여 재산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해서는 안된다고 밝히고 있다. 즉 헌법재판소는 토지소유권에 관한 규제조치에 대해서는 입법부의 광범위한 재량을 인정하지만, 입법부가 그 재량권을 일탈하여 해당 규제조치가 현저하게 불합리한 것이 명백한 경우에 대해서만 이를 위헌으로 삼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정부의 부동산정책은 헌법재판소가 지적한 바와 같이 과거 토지공개념에 바탕을 둔 해당 규제조치들이 너무 지나치게 과도했던 점들에 대한 충분한 인식을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점을 검토하였다. 그렇지만 최근 발표되고 있는 제반 부동산 규제조치가 혹시라도 제기될지도 모를 헌법위반의 시비를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그 세부내용에 있어서 보다 철저하고 치밀한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직업선택의 자유와 타투이스트

        민병로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42 No.1

        Tattoo procedures, which had not been that problematic in our society in the past, began to gain popularity from the late 1980s to the early 1990s, and became an object of regulation. In 1992, in a case involving Tattoo art application the Supreme Court held that “medical practice as defined in the medical laws means not only the prevention of diseases and the medical treatment but also the act which has concerns of being harmed in health hygiene unless performed by a licensed physician.” Since then, non-medical personnel’s Tattoo procedural acts have been deemed a violation of the medical laws and thus becom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Like the Supreme Court, the Constitutional Court defined the medical practice as ‘all acts which bring harm in health hygiene unless medical personnel with medical abilities and knowledge practice’, and forbade medical practice without the license, as medical practice must be done by medical personnel who are systematically educated and pass the national verification, and ruled that in case of violation, it is constitutional to regulate or punish them, regardless of results of the treatment. As requiring tattooists to get medical licenses is strong limitation by the license system on Freedom of Occupation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the article considers whether the limitation is suitable for proportionality between the work activity contents and the required qualifications. Furthermore, the article analyzes the bill on tattooists proposed for legalization of tattoo procedures following changes of social recognition on tattoos and their popularization, and reviews tasks in the future. 우리 사회에서 그리 문제가 되지 않았던 타투 시술이 80년대 말 90년대 초반부터 점차 성행하기 시작하면서 단속의 대상이 되었다. 대법원은 1992년 타투 시술 행위가 문제가 된 사건에서 의료법상의 “의료행위라 함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행위뿐만 아니라 의료인이 행하지 아니하면 보건위생상 위해가 생길 우려가 있는 행위”라 판시하였다. 그 이후 비의료인의 타투 시술 행위는 의료법 위반으로 법적 처벌의 대상이 되었다. 헌법재판소도 대법원과 마찬가지로 의료행위를 “의학상의 기능과 지식을 가진 의료인이 하지 아니하면 보건위생상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는 일체의 행위”라 정의하고, 의료행위는 일정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국가의 검증을 거친 의료인에 의하여 행하여져야 하므로 무면허 의료행위를 일률적・전면적으로 금지하고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그 치료 결과에 관계없이 형사처벌의 대상으로 한 의료법 조항을 합헌이라 판시하였다. 본고에서는 타투이스트에게 의사면허를 요구하는 것은 자격제에 의한 헌법상 직업선택의 자유에 대한 강력한 제한이므로 그 제한이 직업 활동의 내용과 요구되는 자격과의 비례성에 적합한지 여부를 고찰한다. 나아가 타투의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대중화에 따라 타투 시술의 합법화를 위해 발의된 문신사법안의 분석과 향후 과제를 검토한다.

      •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분석

        민병로,서광욱,최희철,이대원,Min, B.R.,Seo, K.W.,Choi, H.C.,Lee, D.W.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시의 젖소 50두 이상사육농가 4,198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두 이상 전업농가에서 344,514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50~99마리 사육규모가 78.9%로 대부분이었고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82.1두 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5년 9월로타 축종에 비하여 노후한 편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740.0\;m^2$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후리스톨 5.1%, 계류식+톱밥 운동장 17.3%, 기타 4.4%이었다.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소규모 농가에서 톱밥우사가 많은 반면, 대규모 농가에서는 후리스톨이 10.9%로서 소규모 농가의 후리스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착유시설은 파이프라인 41.5%, 헤링본 22.8%, 탠덤 35.8% 이었으나 50~99두의 소규모 농가는 파이프라인이 48.0%로 많은 반면, 200두 이상에서는 헤링본 38.3%, 탠던 48.9%로 착유실 착유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사 바닥은 깔짚이 94.9%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나 대규모 농가에서는 스크레파가 13.1%로 소규모 농가의 6.4%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유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5%, 비닐 16.3%, 썬라이트 11.1%, 판넬 10.9, 함석 8.8, 강판 8.3%로 조사되었다. 1995년 이전에는 슬레이트가 많았으나 1995년 이후 비닐지붕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농가에서도 비닐지붕이 23.8%로 소규모 농가에 비하여 많았다. 우사 외벽 재질은 개방식이 83.3%이며 윈치커튼이 26.8%로 대부분 개병형 우사 이었다. 젖소 사육시설의 사용년수는 착유기 9.2년, 사료자동급이기 7.9년, 급수기 9.2년, 전기시설 10.4년으로 최근 사료자동급이기의 시설개선이 많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research dairy cattle barn facilities what are 4,198 houses hold over 50 heads were surveyed by scale and province. Full-time farms hold over 50 heads breed total 344,514 heads. Each of Farms holds 50 to 99 heads were 79.8 percent and breed average 82.1 heads. Dairy cattle barns were constructed september 1995 averagely. Each of barns have $1,740.0\;m^2$ scale. The construction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barn type 84.0%, freestyle type 5.1%, mooring+litter ground type 17.3% and other types 4.4%. The litter barn type was popular in small farms. But in large farms, freestyle type was popular than small farms. The construction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barn type 84.0%, freestyle type 5.1%, moohng+ltter ground type 17.3% and other types 4.4%. Type of dairy cattle robotic milking system was pipeline 41.5%, herringbone 22.8% and tandem 35.8%. The pipeline type was popular in small farms which have 50~99 heads. But in large farms which have over 200 heads, tandem type was popular than small farms. Proportion of floor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type 94.9%. Scraper type was popular in large farms than in small farms. Proportion of roof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slate 32.5%, vinyl 16.3%, sunlight 11.1%, panel 10.9, zinc plate 8.8 and steel plate 8.3%. Roof type was lots of slate type before 1995. But vinyl type is increasing after 1995. Proportion of wall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open type 83.3% and winch-curtain 26.8%. Utilization period of dairy cattle barn was 9.2 years about milker, 7.9 years about automatic feeder, 9.2 years about waterer and 10.4 years about electric facilities. In this results, there were lots of improvements about automatic feeder.

      • KCI등재

        일본의 위헌심사제의 현황과 과제

        민병로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2 No.2

        After World War II, concurrently with the enactment of Japanese constitution,judicial review of constitutionality was settled under the realm of GHQ. During the course of legislation of constitution and court organization acts, the GHQ and the relevant Japanese governments held different views on the lower courts’ authority to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Regarding the type or format of judicial review,however, they agreed that judicial review authority should be ancillary based upon specific facts(Judicial Review of the U.S. type), and that lower courts should have authority to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without causing any risk to the Japanese supreme court’s authority. Regardless of the agreement, which has not been manifested under the constitution, there have been debates on both types of judicial review and od the lower courts’ authority to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since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Since the Japanese supreme court’s holding in 1952 that the authority of judicial review is ancillary, the court has exercised its authority as ancillary, but only eight cases have followed the supreme court’s perspective up to the present. In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therefore, the difficulties finding various methods for the facilitation of judicial review have been identified. Reviewing the type of judicial review system under Japanese constitution and analyzing different views of the implementation of judicial review will be performed in this paper in order to seek the method of conducting judicial review without amendment of current Japanese constitution. 일본에서 법령의 위헌성 여부를 판단하는 위헌심사제는 전후 연합국 총사령부의 점령 하에서 일본국헌법의 제정과 함께 도입되었다. 그런데 헌법과 재판소법의 제정과정에서 위헌심사제의 성격이 무엇인지와, 하급재판소에도 위헌심사권이 있는지에 대해 총사령부측과 일본측의 견해 대립이 있었다. 그러나 위헌심사제의 성격에 대해서는 구체적 사건을 전제로 한 부수적 위헌심사제라는 점에 견해가 일치하였으며, 하급재판소에 위헌심사권을 인정하더라도 지장이 없으므로 최고재판소에 집중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합의하였다. 그러나 헌법상 상세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본국헌법 제정 직후부터 위헌심사제의 성격이 무엇인지에 대한 견해가 대립되어 왔으며, 나아가 하급재판소에 위헌심사권이 있는지의 여부도 문제되었다. 그러다 최고재판소가 1952년 판결에서 부수적 위헌심사제라 해석한 후, 현재까지 부수적 위헌심사제 하에서 위헌심사가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부수적 위헌심사제 하에서 최고재판소가 위헌 판결을 내린 것은 불과 7종 8건 밖에 되지 않는다. 이것은 위헌심사제가 일본 내에서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이며, 그 원인 중 하나가 위헌심사권을 최종적으로 관할하고 있는 최고재판소에 ‘헌법재판기관으로서의 기능’과 ‘통상재판소의 최상급심으로서의 기능’이 병존하고 있으며, 그 운영에서 후자가 전자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의 경우도 대법원이 일반법원의 최상급심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헌법 제107조 제2항에 의해 명령·규칙·처분의 위헌여부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권을 가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매년 약 2만건이 넘는 사건 때문에 대법원이 제대로 된 정책법원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고, 3심 재판을 받아보지도 못하고 기각(심리불속행)되는 사건이 전체 상고 사건의 절반을 넘고 있다. 사법개혁위원회의 개혁안에 따르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등법원 상고부를 설치하여 경미한 사건을 처리하도록 하여 대법원의 사건부담을 대폭 경감시키고, 대법원은 예외적인 특별상고사건이나 비중 있는 사건에 대한 상고사건만을 처리하는 정책법원으로서의 기능이나 헌법판단 기능 등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개혁안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본의 위헌심사제의 성격과 구조에 대해 살펴본 후, 학계에서 일본국헌법 제81조를 부수적 위헌심사제라 해석하고 다양하게 제기하고 있는 위헌심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실적인 방안이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를 통해 우리 헌법 제107조 제2항에 의해 명령·규칙 등의 최종적인 위헌·위법심사권이 부여된 우리의 대법원이 위헌·위법심사권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시민사회단체의 현황과 제도적 개선방향 ―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 설문조사와 관련하여 ―

        민병로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논총 Vol.27 No.2

        Until recently, South Korea had the similar legal regulation over NGOs to Japanese. Namely, under the previous legal system, NGOs in South Korea had to establish an Incorporated Association or an Incorporated Foundation under the Civil Law, or to establish a special legal entity under Special Acts, to get an artificial person. But, due to the strict position for permission of an artificial person, most of small NGOs fell into “organizations without legal entity” against their will. To solve this problem, Japan made an NPO Act in 1998, which contains a special clause to grant many NGOs an artificial person. Furthermore, one of the three administration reformations in Japan enacted a “law on the new system of public legal entity” to re-establish the system of the pubic legal entity in 2006. South Korea also enacted a “law for supporting NGOs” in 2000. But, this law does not include an article to grant NGOs an artificial person.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issues of NGOs in South Korea from the institutional standpoint, based on the survey of NGOs in Gwangju city.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fundamental reformation of regulation system over NGOs and tax reductions to NGOs is necessary to support NGO’s activities.

      • U-Home 시스템 구축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연구 : 브랜드 아파트를 중심으로

        민병로,김영대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8 호남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Vol.6 No.-

        Recently ubiquitous computing (Ubiquitous computing) on engineering and social scientific research results in the accumulation phase of the city informatization, and the definition of Internet-based information retrieval and electronic transactions in cyberspace is a dimension beyond individuals and take advantage of things, homes and cities, The transfer of space-based information and provide continuous control of space that will enable a comprehensive intelligence service highly qualified in the direction of failures. Environment is ubiquitous, like water or air space to a computer or network to the user place without consciousness,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can freely access the network says. These ubiquitous in the environment, industrial development direction for all human values and his followers part of a big focus for development and meaningful change that can it. Housing is a human form and enjoy a living thing, or any form of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are intelligently symbolic value that will change. Here the role of design will be taken increasingly large portion of the current design is bigger than the perspective of consultation with the management will expand the concept. We will be living at the upcoming residential space in the near future, ubiquitous experience will be a significant change in paradigm. That is gradually changing in several parts already started and will be coming closer to us. The house through a network of wired and wireless consumer or the environment can have a home network to manage the environment and the already established part of our daily life, but from the experience. A space of the past is as simple and residential space in the hierarchy of human society and human life pattern is more complicated and complex features of living space with residential space, space is the changing needs of human beings and the more harm repeatedly As human as you imagine living space is going to be changed. In addition, residential space is just a convenience for individuals seeking Furthermore, the space could meet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going to be changed. In this environment is ubiquitous, we will usher in a new utopia as our awareness. However, the ubiquitous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an ideal environment for residential space, but we have issues of personal privacy. Environmental issues and these might be alienated from the people who care about the problem will be. The problem of e-established ethical consciousness and respect for the privacy of others is called social values that will be formed. To that end, the policy will need to build and social atmosphere. In addition, the latter problem that may occur alienated people living in the part of the ubiquitous paradigm in order to minimize this service is not just for a handful of truly ubiquitous the meaning must be prepared to hold on.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hat policy can be corroborated. Ubiquitous national policy has led and made enough progress in establishing policies and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very careful.

      • 영상처리를 이용한 광역방제기 팬의 성능실험

        민병로,김동우,서광욱,홍준택,김웅,최준홍,이대원,Min, B.R.,Kim, D.W.,Seo, K.W.,Hong, J.T.,Kim, W.,Choi, J.H.,Lee, D.W. 한국축산환경학회 2008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일본 마루야마에서 재발된 방제기의 최대 살포 거리가 120 m 이기 때문에 140 m 이상 살포할 수 있는 방제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넓은 지역에 살포가 가능한 광역방제기 팬의 성능에 대하여 현장실험을 하여 얻은 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분석한 후 현장에 보급하는 것이다. 살포된 색소의 분포도는 육안에 의한 분석을 할 수도 있지만 정확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이치화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방제기 팬은 최고 살포거리가 140 m이고 유효 살포거리가 100 m가 되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다. 실험은 10 m 간격으로 지상에서 1 m 위치에 A4 용지를 부착한 후 용지에 흡착한 용액을 2치화 영상처리를 하여 살포량 및 살포거리를 측정하였다. 용지를 수거하여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이치화 하였다. 그레이레벨은 0에서 255로 나타냈다. 흑색은 0, 백색은 255로 이치화 하였다. 10 m의 경우는 용지에 방제액의 살포량이 많아서 떨어졌고, 30 m 부분은 색소가 흘러내려 흑색이 적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20{\sim}100m$까지 그레이레벨이 200 이하로 방제가 균등하게 이루어졌으며, 180 m까지 살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하여 축산농가의 구제역 등 방제작업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test and analyze capacity of the long distance sprayer fan in large livestock farmhouses. Long distance sprayer was manufactured to be able to spray a lot of water, which was a solvent for agricultural chemicals and black dye with the maximum spraying distance of 140 m and the effective spraying distance of 100 m. The spraying quantity and the distance were measured the intensity values of images within A4 papers, which absorbed the agricultural chemicals by spraying by binary image processing. These A4 papers were fixed upon the height of 1 m from soil ground at regular 10 m interval. After the A4 pap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tensity values of gray level. Gray level was ranged from 0 to 255, where 0 was black and 255 was white. A4 paper was fallen down from the stick at 10 m distance, because there were too large amount of sprayed water with black dye. Also, the paper showed low gray level at distance 30 m because of dropping lots of black water. The intensity value of gray level was showed almost less than 200 on the A4 papers between the distance 20 m and 100 m, which meant equality of spraying quantity. Additionally, it was possible to spay agricultural chemicals of until 180 m. Throughout this research, long distance sprayer could apply for preventing hoof-and-mouth disease in large livestock farmho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