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귀주(贵州) 방언의 친족어휘를 통해 바라본 한족 문화 고찰

        민경만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7 No.-

        본고는 문화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중국 구이저우 지역의 현대중국어방언에 있는 친족어휘를 분석하였다. 구이저우성의 방언지점은 모두 17곳으로 사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친족어휘 12개를 취합하고 분석하였다. 구이저우 방언에 있는 친족어휘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1. 귀주 지역에서 사용하는 친족호칭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 친족어휘가 대부분 정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3. 남존여비, 장유유서, 내외유별 문화가 있다. 4. 친족어휘를 구성하는 형태소가 일치한다. 5. 귀주 방언의 일부 친족어휘에서 ‘동형이지’ 현상이 다른 방언편과 같은 방언편에서 모두 나타난다. 6. 구이저우 방언의 친족어휘는 행정 지리 연혁과 관련성이 있다. 7. 일부 친족호칭은 구이저우 지역에만 있다. From a cultural-linguistic standpoint, this paper delves into the kinship appellations found in the contemporary Chinese dialect spoken in Guizhou, China. Within Guizhou province, which encompasses 17 distinct dialectical points, a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12 frequently used kinship appellations. The kinship appellations in the Guizhou dialect exhibi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usage of kinship appellations in Guizhou reflects a rich historical legacy. 2. Most kinship appellations demonstrate precise distinctions. 3. A hierarchical structure is evident, with men considered superior to women, and importance being attributed based on age. Distinct treatment is given to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versus the mother’s side. 4. The morphemes comprising kinship appellations maintain consistency. 5. Within certain kinship appellations in the Guizhou dialect, the phenomenon of ‘Tong xing yi zhi (同形异指)’ manifests, wherein similar forms indicate distinct referents within the same dialect. 6. The kinship appellations in the Guizhou dialect exhibit connections with the historical administrative geography. 7. Some kinship appellations are unique to the Guizhou region, not extending beyond its bord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河北承德地区方言(保唐片)的归属

        민경만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1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1

        汉语是世界上方言分歧比较大的语言之一。汉语经过长期演变,分化成了不同的方言。语音是划分汉语方言的主要标准。划分方言,需要客观而又统一的方言区分标准,同时也要有一定的灵活性。准确的方言分区有利于确定方言归属,也有利于方言之间共时关系以及历时变化线索的比较研究。 本文主要是在实地调查的基础上探讨承德地区方言中属于冀鲁官话保唐片方言的归属问题。兴隆县和宽城满族自治县都隶属于河北省承德市,位于承德南部和东南部。目前,两个地区方言都属于冀鲁官话保唐片。近年来,关于官话方言的分区问题,讨论比较热烈,尤其是冀鲁官话保唐片跟北京官话关系的讨论,各家观点不尽一致。 李荣(1985)给官话分区的标准是古入声字在共时音系中的读音,北京官话的特点是古清声母入声归四声,而冀鲁官话的特点是古清声母入声归阴平。在古入声字的归调上,保唐片方言与北京官话是一致的,都是古清入分归四声,古次浊入归去声,古全浊入归阳平。因此,根据“古清入字分归阴平、阳平、上声、去声”的分区标准,本文认为应当将承德地区中的冀鲁官话保唐片方言处理为北京官话区的一个方言片。

      • KCI등재

        河北承德方言与北京话的语音比较

        민경만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1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0

        承德市位于河北省东北部,是华北与东北地区的过渡地带,距北京225公里。承德 地区方言分属于北京官话和冀鲁官话,北京地区方言属于北京官话。刘勋宁(1995) 说:“目前关于官话方言的分区基本上是以印象为基础的。”并且,有些学者认为北京官 话的内部差别是汉语中最小的。不过,如果没有某方言的材料,在实地调查之前,我们 没法详细地了解当地方言的具体面貌,正如李荣(1981)所说:“研究方言首先就得调 查,不能用印象替代调查。” 因此,本文主要是在实地调查的基础上对承德方言、北京话的声母、韵母、声调情 况和一些音韵特点进行了比较。方言的主要特征就在于同中有异,异中有同。本文的比 较研究可以使我们进一步了解承德方言的语音特征,而且可以呈现出承德方言、北京话 的基本面貌以及它们之间的共性与个性。

      • KCI등재

        汉语方言中儿化的共时面貌

        민경만 중국인문학회 2020 中國人文科學 Vol.0 No.74

        Er-suffixation is widespread in many Han dialects. Citing existing research results, this article begins with a brief description of the property,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r-suffixation in Han dialects. Meanwhi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r-coda, it divides the Er-suffixation in Han Dialects into three categories and states various status quo of retroflexed rhyme in Han Dialects. This article also attempts to speculate the development trend of Er-suffixation in Han Dialects.

      • KCI등재

        河南夏邑(车站)方言语音调查与分析

        민경만 중국인문학회 2020 中國人文科學 Vol.0 No.75

        Chezhan is located at the border of the two provinces of Yu and Anhui,close to the two provinces of Lu and Su. According to the "Chinese Language Atlas" (second Edition), this region belongs to the Shangfu cluster of Zhongyuan Mandarin. This article takes Chezhan dialect(old) as the research object, based on field investigation, combined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comprehensively and meticulously describes the phonetic system of Chezhan dialect, analyzes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Chezhan dialect.

      • KCI등재

        신중국의 언어정책에 대한 고찰

        민경만,김주아 중국학연구회 2022 중국학연구 Vol.- No.100

        언어정책은 국민국가에 보편적으로 편재해 있는 정부의 기본 방침이다. 사회 전반에 걸쳐 막대한 권력을 행사하는 중국 정부는 복잡한 언어 상황 및 시대와 환경의 변화 속에서도 목표지향적인 언어정책을 시도해왔다. 하지만, 중국 언어체계의 범주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언어 간의 차등이 발생하였고, 불평등을 촉발하는 단초가 되었다. 신중국 수립 이후 지난 70년 동안 중국의 언어정책은 최고지도부의 지도하에 전담 기구를 설립하고, 각 관계 부처와 전문가의 적극적인 협조로 이루어졌다. 중국 언어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일 언어사용의 수요 확대를 통해 한족을 중심으로 통일된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것, 즉 ‘한족 중심의 사회 통합’을 꾀하는 것이다. 이 같은 목표는 언어통제를 위한 강력한 동기로 작용하였다. 중국은 시기별로 다양한 언어정책을 진행하였지만, 정치·사회 상황에 맞춰 중점을 두는 언어정책이 달랐다. 신중국 수립 초기 언어정책의 중점은 보통화 보급, 한자 간화 및 「한어병음방안」의 제정과 시행이었고, 개혁개방 이후에는 법제화 강화와 언어자원 데이터화에 중점을 두고 사회 발전 추세와 정치적·사회적 요구를 결합해 다각적 측면에서 언어정책을 전개하였다. 중국의 언어정책은 짧은 기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중앙 권력과 이데올로기의 힘이 결합해서 법이라는 수단으로 통제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신중국 수립 이후 지난 70년간의 언어정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언어정책의 선제적 활용을 통해 단일 언어 정체성 국가로 나아가는 기반을 확립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