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吳淸翠堂의 생애와 문학

        문희순(Hee-soon Moon) 어문연구학회 2007 어문연구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cheongchuidang(pen name, Gyeongseol gook(1704-1732)"s life and literary works. She is female poet who has never been mentioned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even though she wrote a garland Cheongchuidangjip . This thesis is the first one that tried to study her literature.<BR>  When Cheongchuidang got married to her husband, the circumstances of the family of her husband was not so good, because three generations of her husband had not been able to get on the way into the government service including her husband, because they had given up taking the state exam or had failed in the exam, so that there was no relation with the official life for them. Actually, it is not a exaggeration consider them as a downfall gentry of a country. They were driven to live just like the farmers on the economic viewpoint. Cheojngchuidang was married to a man who lived in a country side of Hoseo province and had to run the household and the country life on her own. It is true that the life and literary environment for the females in the old days were not tough. But there was a fundamentally poor difference for her compared to other females of the famous gentry who made brilliant achievements on the history of female literature.<BR>  Cheongchuidang wrote the great 182 chinese poems. She dealt with her tough life with her whole body losing her children one by one, working so hard to support the poor family and dying young at the age of 29. Because her Chinese poems describes that kind of fragmentary impression ernestly, we can read a unlucky woman"s whole life in the 18th century from various view points. For Cheongchuidang, creating poems was the part of life, rest, and the utopia.<BR>  This manuscript is on the starting point of opening the study on Ocheongchuidang and her literary works. I tried to make a cornerstone in expanding the prospects of the female literary history by excavating and introducing a new and unknown female poet.

      • KCI등재
      • KCI등재

        기호학파 여성문학의 전개와 문학사적 의의

        문희순(Hee Soon Moon)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기호학파 여성문인사 가운데 한 가문 안에서 가장 많은 여성문인을 배출한 김성달 ㆍ 김창협 가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김성달 ㆍ 김창협 가는 조선조 여성문학사에서 '전가족문학사'라는 큰 맥을 형성하였다. 본고에서는 김성달과 김창협 가문에서 사적으로 배출된 여성문인과 한 집안에서 많은 여성문인이 배출되게 된 원동력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고전여성문학사상에서 차지하는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 미증유의 '전가족문학사'를 이룩하였다. 김성달 가의 김성달 부부, 부실, 자녀 13인은 모두 문학인이다. 김창협 가의 외손 서영수합 부부, 자녀 5인이 모두 문학가로 당대에 이름을 날렸다. 첩실과 서족계 가족 간에도 기탄없이 문학으로 소통하는 가족문화를 가졌다. 이러한 사례는 여타 가문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문화현상이다. 둘째. 성별을 뛰어 너머 여성을 가르치는데 적극적이었다. 그 결과 여성문인의 배출이라는 가문 전통이 이어 내려졌다. 정실부인과 그 자녀, 부실과 서자녀, 며느리에 이르기까지 시를 짓고 문집을 엮었다. 셋째. 다양한 장르의 문학작품이 창작ㆍ유통되었다. 한시ㆍ산문ㆍ번역 한시집ㆍ고소설필사 ㆍ일기ㆍ편지 등 매우 다양한 방식의 여성문학을 향유하고 전수시켰다. 넷째. 혼맥ㆍ학맥 넷트웍으로 형성된 타 가문 여성들의 철학적 사유와 문학창작에도 동기를 부여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가부장제가 고착되어 가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이 가문 여성지식인들의 활동은 더욱 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필자는 이것을 기호유학의 난숙과 여성지식인의 지적 욕구, 자아정체성 찾기가 병행하였던 결과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Kim Seong Dal and Kim Chang Hyeop family that had produced the most female writers of the Giho school. The Kim Seong Dal and Kim Chang Hyeop family had formed a big stream in the female literatur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is study summarized the meaning of this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Korea classical women literature as follows: First, these two families achieved an unprecedented 'literary history of the whole family.' In case of the Kim Seong Dal family, Kim Seong Dal, his wife, his second wife and his thirteen children were all writers. In the Kim Chang Hyeop family, Grandchild Seo Young Soo Hap, his wife, his five children were all famous writers in those days. They had a special family culture in which they freely communicated about literature between the first wife and the second wife and among brothers or sister of the half blood. It was a strange cultural phenomenon that could seldom be found in other families. Second, both families were active in teaching women beyond the gender boundary. As a result, the family tradition of producing female writers had been formed and descended. From the first wife and her children to the second wife and her children made poems and produced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Third, various genres of literary works were created and distributed. A variety way of female literature including Chinese poems, proses, and collections of translated Chinese poems, novel transcriptions, diaries and letters had been handed down. Fourth, this literary culture was formed by marriage and it motivated the philosophical thoughts and literary creativity of other families' women. The Giho school female writers were connected each other by marriage like a web.

      • KCI등재

        17~19세기 동춘당 송준길 후손가 소장 한글편지에 나타난 가족의 모습

        문희순(Moon, Hee-so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장서각 Vol.0 No.37

        이 글은 동춘당 송준길 후손가에 소장되어 내려온 한글편지 427건 가운데 17~19세기 한글편지를 중심으로 가족 간의 삶의 모습을 살펴본 것이다. 이 글에서 살펴본 인물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안정나씨와 송익흠의 관계는 할머니와 손자, 김호연재와 김겸행은 고모와 조카, 함양여씨와 송요화는 손부와 시할아버지, 청풍김씨와 송계래는 며느리와 시아버지, 연안이씨와 여흥민씨는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관계이다. 편지 발신자 여섯 명은 송준길을 기준으로 볼 때, 안정나씨는 송준길의 손부, 김호 연재는 증손부, 함양여씨는 5대 손부, 청풍김씨는 7대 손부, 연안이씨는 8대 손부이다. 수신자 여섯 명은 송익흠은 현손자, 김겸행은 증손부의 친정 조카, 송요화는 증손자, 송계래는 6대 손자, 여흥민씨는 9대 손부이다. 성씨는 각각 은진송씨와 안정나씨안동김씨·함양여씨·청풍김씨·연안이씨·여흥민씨이다. 혼인을 통하여 가족으로 편입된 다양한 성씨의 복합 가족문화를 확인할 수 있다. 한글편지의 특징과 의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송준길 집안의 품격과 일신을 위해 후손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졌다는 점. 둘째, 여성이 家政의 주체적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점. 셋째, 시어머니의 며느리에 대한 문중교육이 이루어졌다는 점. 넷째, 가족 간의 사랑과 소통의 결이 묻어나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of family members, focusing on the letters that were sent and received in the 17th to 19th century, based on the relatively large number of remaining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Anjeong Na clan Song Ik-heum is grandmother and grandson, Kim Ho Yeon Jae and Kim Kyeom-haeng is aunt and nephew, Hamyang Yeo clan and Song Yo-hwa is granddaughter-inlaw and grandfather-in-law, Cheongpung Kim clan and Song Gye-rye is daughter-in-law and father-in-law, and Yeonan Lee clan and Yeoheung Min clan is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Setting Song Jun-gil as the basis, the six senders are Anjeong Na clan the granddaughter-in-law of Song Jun-gil, Kim Ho Yeon Jae the greatgranddaughter, Hamyang Yeo clan the granddaughter-in-law of 5th generation, Cheongpung Kim clan the granddaughter-in-law of 7th generation, and Yeonan Lee clan the granddaughter-in-law of 8th generation. Six recipients are Song Ik-heum the current grandchild, Kim Kyeom-haeng the nephew of greatgranddaughter-in-law, Song Yo-hwa the great grandson, Song Gye-rye the grandson of 6th generation, Yeoheung Min clan the granddaughter-in-law of 9th generation. The family names are Eunjin Song clan, Anjeong Na clan, Andong Kim clan, Hamyang Yeo clan, Cheongpung Kim clan, Yeonan Lee clan, and Yeoheung Min clan respectively. Complex family culture of various surnames incorporated into the family through marriage can be see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Hangul letter are as follows. First,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by the descendants for the dignity and renewal of Song Jun-gil Family. Second, women played dominant role in the family. Third, mother-in-law educated daughter-in-law about the clan. Lastly, there is love and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 KCI등재

        호서지역 사대부가의 여성교육과 여성문인의 배출

        문희순 ( Hee Soon Mo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1 No.3

        이 연구는 호서지역에 기반을 둔 조선시대 여성교육의 내용과, 교육을 통하여 배출된 여성문인의 존재를 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주제로 호서지역이라는 한 공간 영역의 연구가 가능한 것은, 조선시대에 호서지역에서 배출된 여성 문인의 수와 작품의 양이 타 지역에 비하여 월등하다는 점이다. 호서지역 여성들의 문학 활동은 여타의 지역에 비해 꾸준한 지속과 변모를 확인할 수 있다. 작품의 전모를 확인할 수 있는 여성시인들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문집을 보유하였던 여성문인들만을 시기별로 살펴보아도 그 규모가 당당하다. 16세기 금임벽당(金林碧堂) 창령성씨(昌寧成氏), 16-17세기 이설봉(李雪峯), 17세기 이옥재(李玉齋), 18세기 금호연재(金浩然齋) 오청취당(吳淸翠堂) 신부용당(申芙蓉堂) 임윤지당(任允摯堂) 곽청창(郭晴窓), 19세기 강정일당(姜靜一堂) 기각(綺閣), 19-20세기 남정일헌(南貞一軒) 등이다. 이렇듯 호서지역 여성들의 면면한 문학 활동과 문집 발간 전통의 정신사는 어디에서 근원한 것인가? 필자는 그 현상의 기저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호서여성들 자신의 삶에 대한 정체성 정립을 위한 철학적 성찰의 결과이다. 호서지역 여성들은 타고난 자질은 높되 조선이라는 시대 속에서 자신들이 일구어 낼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음을 한탄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현실에 좌절하면서도, 자신의 정체성과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끊임없이 모색하고 시도하였다. 둘째, 기호성리학의 난숙 전개가 여성들의 학문적 사유에 동기부여 하였다. 위에 거론된 여성들은 모두 기호학파 자장 안에 있는 여성들이다. 친정이나 시가가 학맥으로 기호성리학의 노선을 추구하였다. 이는 자연스레 혼맥으로 이어지면서 사상적으로 더욱 확고하게 뿌리 내렸다. 그리고 남성들의 학문적 발전과 성취는 여성들의 학문적 사유에도 커다란 동기가 부여되었다. 셋째, 고양된 선비문화와 가문별 여성에 대한 존모의식의 전통이 있다. 호서지역 양반이 관직생활 도중 출처진퇴(出處進退)의 경계에 부딪쳤을 때, 지조 있는 선비의 길을 선택하도록 격려한 사람이 바로 어머니, 아내라는 이름의 여성들이었다. 참 군자의 도(道)를 추구하도록 가르쳤던 어머니(여성)에 대한 기억과 숭모의식은 여성에 대한 존중으로 확대되었다. 넷째, 자연 인문지리적 영향이다. 호서지역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섬, 강과 산이 유려하게 펼쳐진 곳이다. 높지도 낮지도 않은 비산비야(非山非野)의 넉넉한 들녘. 사람들은 그곳에 깃들어 살면서 온유돈후한 충청도 사람의 성정(性情)과 인심을 만들어 내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호서지역 여성문인 배출의 전통을 만들어 낸 것으로 파악된다. It is widely believed that women had little chance to get proper education in the age of old tradition, but women got education and had a strong desire to learn like men did that time, It could be confirmed that women who lived in Hoseo region relatively more maintained their literature`s continuity and accepted changes of it, when compared with women`s activities in other regions, And almost all literature works written by some of the women have been well preserved. Most of those women are as follows: Kim Lim Byeok Dang(金林碧堂) Changryeong Seong Si(昌寧成氏) in the 16th century, Lee Seol Bong(李雪峯) in the 16th-17th century, Lee Ok Jae(李玉齋) in the 17th century, and Kim Ho Yeon Jae(金浩然齋), Oh Cheong Chui Dang(吳淸翠堂), Sin Bu Yong Dang(申芙蓉堂), Lim Yun Ji Dang(任允摯堂), Gwak Cheong Chang(郭晴窓) in the 18th century, and Gang Jeong Il Dang(姜靜一堂), Gi Gak(綺閣) in the 19th century, and Nam Jeong Il Heon(南貞一軒) in the 19th-20th century. Where do such an active literature activity and the history of publications of their works come from? To answer it, I suggest some characteristics of it that is based on that history. Firstly, that is the result of philosophical activity to establish their identity for life. Recognized their talent, but they regretted that they could not develop such ability as they wanted in the traditional Joseon Dynasty. Nevertheless, however, they tried to continuously seek after philosophy for their identity and answer raison d`etre of human being. Secondly, the matured Giho Seonglihak contributed to promoting some motivation for such philosophical activity out of women. Women mentioned above were all under the atmosphere of Giho Seonglihak. It means that their native home and their husband`s family pursued together the Giho Seonglihak line, which naturally led to the solid connection between the two families through marriage, resulting in more establishment in their philosophy, In addition, academic development and achievements by men helped for women`s literature and philosophical development. Thirdly, they have the tradition of enhanced scholar culture and the trend of respect for women for each family. When the elite in Hoseo region had to decide to withdraw or keep their government post, their mother or wife encouraged them to right choice, meaning seeking after the teachings of Confucius. And that was generally a main element contributing to extending respect for women. Fourthly, the region`s nature and geography influenced women. Hoseo region is a beautiful place of sea, islands, rivers and mountains. In the fields and mountains of gentle slope, people developed their generosity and had an open hand for each other. In conclusion, I think all the elements through their interaction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he women literati and their philosophical tradition in the region.

      • KCI등재

        동춘당 송준길가 300년, 소장 한글편지의 현황과 삶의 모습

        문희순(Moon Hee-soo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1 No.-

        이 연구는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1606~1672)가에서, 송준길 장인과 장모로 부터 13세대 300여 년 동안의 한글편지 소장 현황과 삶의 모습을 살펴본 것이다. 발수신 자별 소장편지의 현황은 필자가 현재까지 파악한 바로는 발신자는 61인이고, 편지건수는 428건이다. 현전 한글편지는 이 집안사람들의 삶의 소통방식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송준길가는 우리나라 역대 가문의 역사에서 가장 많은 한글편지를 소장한 것으로 파악된다.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선대의 한글편지를 고증・정리・보존・유통시키는데 심혈을 기울인 결과이다. 이렇듯 선대의 기록물에 대한 고증은 남성과 여성, 한문과 한글이라는 구분 없이 이루어졌다. 이 점이 여타 가문에 비해 특이점으로 지적할 수 있으며, 송준 길가 만의 소통의 인문정신이라 하겠다.각 장에서는 살펴본 가족관계별 사례는, 남편과 아내는 송준길과 정매랑, 친정아버지와 딸은 정경세와 정매랑, 어머니와 아들은 배천조씨와 송병하, 장모와 사위는 안동권씨와 송병하이다. 이 편지들이 보여주는 인문학적 의의는, 첫째, 사랑과 소통의 가족문화가 표상화되어 있다는 점. 둘째, 여성문화 존중의 인문정신이 들어있다는 점. 셋째, 조선시대 생활사의 보고라는 점. 넷째, 가족사의 기록화와 고증정신이 들어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te of affairs and life of 13 th generation for over 300 years of Korean letters from the possession of Song Joon Gil s parents in law from Song Joon Gil (宋浚吉, 1606~1672) family of Dong Choon Dang (同春堂). There were 61 senders of the Korean letters in possession of Song Joon Gil family, and there are total of 429 letters. The 429 letters frankly illustrate the family s way of life and communication. The summary studied from each page is as follows. The Song Joon Gil Family is understood to possess the most letters in Korean in the history of family from all times in Korea. The decedents continuously devoted to historical research, organization, preservation, and circulation of the Korean letters left by their ancestors.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ancestors records has been constituted without the classification of sex, or language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alphabets). This humanistic spirit of

      • KCI등재

        경회(景晦) 김영근(金永根)의 한시연구 - 강진에서 간도까지 <원유일록(遠遊日錄)>을 중심으로 -

        문희순 ( Moon Hee-soo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9

        경회 김영근(1865~1934)은 근대 격동기를 살다간 호남의 한 우국지사(憂國之士)이며, 문학유자(文學儒者)이다. 경회는 조선시대 사람으로 태어나 대한제국과 일제침략하의 한국인으로 살아가며, 조선성리학과 학문 정신을 올곧게 실천하였다. 김영근은 소년시절부터 `동파(蘇東坡)가 다시 태어났다`는 격찬을 한 몸에 받았던 인물이다. 근대기 신학문(新學問)에 자리를 내주며 명멸(明滅)되어가던 한문학을 올곧게 지켜낸 마지막 세대로 평가된다. 김영근은 “살아서는 요동의 객(遼東客)이 되고, 죽어서는 요동의 귀신(遼東鬼)이 되는 것이라 말할 정도로 우리의 역사가 서려있는 간도(間島) 요동벌판을 가슴에 품었었다. <원유일록>은 그러한 염원을 실행에 옮기며, 간도행차 긴 여정의 나날을 기록한 일록(日錄)형식의 글이다. 간도 원유(遠遊)는 경회 나이 42~43세 때에 이루어졌다. 경회는 일제강점의 소용돌이와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충격 속에서, 새로운 삶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원유를 감행하였다. <원유일록>은 일록과 한시로, 강진에서 서간도로 북진하며 일행 다섯 사람의 고행과, 급변하고 있는 일제치하 한국의 근대 모습이 핍진(逼眞)하게 서술된 작품이다. 본고는 <원유일록> 소재 234수의 한시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원유일록> 소재 한시를 크게 ①험난한 원유 여정과 고난, ②일제의 만행과 울분 토로, ③위척존양(衛正斥邪, 尊華攘夷)의 의리, ④그리움과 애련의 가족애, ⑤궁핍과 부유의 신세한탄, ⑥변속(變俗)의 세태 탄식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원유일록>의 문학사적 의의를, 첫째, 일제 강점기 지조의 한문학. 둘째, 호남문학 전통의 계승. 셋째, 남과 북 언어와 가요에 대한 인식으로 평가하였다. 김영근의 <원유일록>에 표현된 한시 작품의 주된 정서는 통한(痛恨)·비애(悲哀)·분노(憤怒)·저항(抵抗)·좌절(挫折)·고독(孤獨) 등의 정조로 나타났다. Gyeonghoe Kim Yeong-geun (1865 1934) is a national patriot and a literary scholar of Honam area who lived during the modern turbulence. Gyeonghoe was born as a person of Joseon Dynasty, living as a Korean under Korean empire and Japanese invasion, practicing the spirit of scholarship and Neo-Confucianism of Joseon Dynasty. He lived a life of destitution and affluence, living as people of a helpless country, l being a village school teacher of teaching Confucian scholarship, which is becoming a scholarship without choosing anger, resistance, and the way into the government service. Kim Yeong-geun had buried the god of the Gando of our history in the heart, saying, “To be a lively guest of life and to become a lion`s demon of death.” < Wonyuillok > is an article written in the form of a daily record of the long journey of the journey to Gando when such desire is put into practice. Gando Wonyu was made during the most powerful period of Gyeonghoe of the 70 years of age, 42 43 years of age. In the shock of the Japanese strength and the impact of the westward tide, Wonyu was launched to find a new alternative to life. < Wonyuillok > is a daily record and Chinese poetry describing the penance of 5 people recuperating in Gangjin and going north to Seogando, and is a work that describes the rapidly changing modernity of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is article focuses on the works of Chinese poem of the 234 volumes of the < Wonyuillok >. The Chinese poems in the < Wonyuillok > are largely classified. ① The rough journey and hardship of Wonyu; ② The atrocit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giving vent to one`s anger; ③ The loyal of Wicheokjonyang; ④ The family love of nostalgia and pity; ⑤ Lamentation of poverty and wealth, and ⑥ Sigh of social conditions of shift. And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in the < Wonyuillok > is evaluated as Chinese literature of constancy under Japanese colonial era firstly, succession of Honam literature tradition secondly, and recogni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and song thirdly. The main emotions of Chinese poem expressed in Kim Yeong-geun`s < Wonyuillok >are composed of grief, sorrow, anger, resistance, frustration, and solitude. Kim Yeong-geun is a person who has received rave reviews that “Dong-pa was born again” since he was a boy. It is regarded as the last generation that has kept the Chinese literature that has been blinking with its place in the modern sciences.

      • KCI등재

        한글편지에 반영된 옛 대전의 생활문화 Ⅰ

        문희순(Hee-soon, Moon)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본 논문은 송준길과 송규렴 가문에서 유통되었던 한글편지를 통하여 조선 후기 대전의 옛 문화의 단상을 살펴 본 것이다. 이 논문의 연구 대상이 된 한글편지는 17세기 초에서 18세기 후반까지 작성된 동춘당가 「선세언독」 40건과 제월당가 124건 총 164건이다. 편지의 발신자와 수신자 관계는 부부간에, 어머니가 자식에게, 자식이 어머니에게, 시집 간 딸이 친정가족에게, 장모가 사위에게, 할아버지가 손부에게, 할머니가 손자에게, 고모가 조카에게, 상전이 노비에게 등 다양한 가족 질서속의 모습이다. 이들은 단순한 안부를 넘어 가족의 질병과 치유과정, 가정살림, 벼슬살이, 갈등과 원망, 자녀교육, 혼사문제, 재산관리, 물품수수 등 다양한 인생의 주제를 편지글로 소통하고 풀어나갔다. 한글편지는 한문으로 작성된 남성들끼리의 편지에서 발견되는 학파적 논쟁이나 의리문제 등의 거창한 주제는 없다. 그러나 가족 안에서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는 한 인간 존재의 진정성이 묻어난 삶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한글편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크게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첫째, 독서와 교육 둘째, 질병과 처방 셋째, 물품수수 넷째, 관혼상제 다섯째, 부부생활이다. 한글편지의 특징과 의의는 첫째, 가족 간의 사랑과 소통, 치유의 과정이 묻어나 있다. 둘째, 당대 긴박했던 시대상황을 읽어낼 수 있다. 셋째, 문학적 표현이 묻어나 있다. 넷째, 족보에 기재되지 않은 남녀 인물의 이름 정보가 들어있다. 다섯째, 유연한 유ㆍ불 교접의 문화를 살필 수 있다. 여섯째, 기타 호서지역 지명어와 옛 말씨를 살필 수 있다. 송준길과 송규렴 두 가문은 조선시대의 대전을 대표하는 명문사족이다. 이 두 가문의 편지는 조선시대 양반문화의 소통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평민 이하 신분 간의 편지 자료를 쉽게 접할 수 없는 상황을 감안할 때, 조선후기 대전의 문화를 미시적으로 접근 할 수 있는 귀중한 기록문화라 의미부여 할 수 있다. This paper looked at the fragments of living culture of Daejeon in the late Choseon age by studying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sent by the houses of Jun-Kil Song and Kyu-Ryum Song. A total of 164 letters including 40 letters of ‘Seonseeondok’ of Dongchundangga and 124 letters of Jeoweoldangga written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late 18th century were used in our study. The letters were written and delivered between married couples, from mothers to their songs and daughters, from married daughters to their home, from mother-in-laws to son-in-laws, from grandfathers to grandsons, from grandmothers to grandsons, from aunts to nephews, and from masters to slaves. The letters included not only greeting words, but also the disease of houses and curing process, housekeeping, working as a government employee, disputes and resentments, children education, marriages, managing wealth, and accepting materials. There was no big subjects like academic disputes among schools and loyalty in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although these subjects were usually in the letter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mainly written by men. However, we could meet the image of living of those who lived in a house. The contents of the letters were classified into following five fields; 1) reading books and education, 2) diseases and how to cure them, 3) receiving materials, 4) coming of 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nd 5) marriage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in Korean are as follows; 1) love and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curing process, 2) dynamic situation at that time, 3) literary expressions, 4) female and male names that are not recorded in a genealogy, and 5) flexible culture combined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6) old names and ways of speaking in the Hoseo region. The two houses of Jun-Kil Song and Kyu-Ryum Song were noble houses representing Daejeon. Hence, their letters showed us only how noble people lived. However, the letters had significant meaning showing culture of Daejeon in the late Choseon in detail because it is so difficult to find out the letters written by ordinary people.

      • KCI등재

        연구논문 : 16세기 여성지식인 덕봉(德峯) 송종개(宋鍾介) 문학의 특징과 의의

        문희순 ( Hee Soon Moon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4 No.-

        송덕봉의 자는 成仲, 이름은 鍾介 德峯은 호이다. 송덕봉은 지식과 지성을 겸비한 16세기 조선의 여성문인이다. 송덕봉은 전통시대 여성문학가들이 처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진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혼인 생활은 물론이고 자신의 문학 활동에 대해서도 강한 애착과 자부심을 지녔다. 자신의 상황과 생각을 늘 정확하게 표현할 줄 알았던 능동적인 여성이었다. 가정경영도 주체적으로 참여하였다. 집을 새로 짓거나, 재산증식, 자녀교육, 시부모상을 당하여 상례?제례를 치를 때에도 주체적으로 경영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남편 유희춘의 기나긴 유배생활로 인한 부재도 있겠지만, 송덕봉이라는 여성의 성정과 역량의 한 단면이기도 하였다. 송덕봉이 받은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 정황을 기록한 문헌은 없다. 그러나 송덕봉이 교육받은 내용은 언문·천자문?숫자?삼강행실도?내훈?열녀전?효경?소학?사서?삼경?역사?고사?작문(산문?한시) 등을 두루 망라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송덕봉의 한시 25수를 통하여 시문학의 세계를, 첫째, 유교적 부덕의 실현, 둘째, 知音의 부부로 소통, 셋째, 가족 간 사랑의 창화, 넷째, 잠재된 욕망의 표출, 다섯째, 호방한 여성의 하루로 특징지어 살펴보았다. 송덕봉 문학의 여성문학사적의의는 첫째, 송덕봉은 문헌적 근거가 뒷받침 되는, 우리나라 여성지식인사의 선두 주자이다. 둘째, 우리나라 고전여성문학사에서 개인문집을 가진 최초의 사례이다. 셋째, 송덕봉의 가정경영과 부부생활을 통하여 볼 때,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상을 구현하고 있으며 가족과``문학으로 대화하기``가 가능하였다. 넷째, 지역학으로의 ``호남여성문학사`` 전개에 시발점을 여는 문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letter of Dukbong Song is Sung Jung, and her name is Jonggae, and Dukbong is her pen name. Dukbong Song is a female writer of Chosun in the 16th century. Given the situation of female writers in the traditional world, she was very progressive. She did show a strong sense of attachment and pride toward literary activities, as well as her marriage. She was a very active woman, so she always expressed her situation and thoughts precisely. She also participated in family matters. She dealt with the construction of new house, the expansion of wealth, the education of children, and the funeral an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of deaths of parent-in-law as a main agent. The absence of her husband, Heechun Yoo, from his long banishment partially caused this, but this is also one side of her character and ability. There is no document that describes in detail the education process that Dukbong Song received. However, she seemed to learn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Hangul, the Thousand-Character Text, numbers, Samgangheangsildo (three basic principles in attitudes), Naehun (a textbook for women education), Yeolnyeojeon (stories of exemplary virtuous women, Hyogyeong (the book of Filial Duty), Sohak (elementary learning), Saseo Samgyeong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 histories, Gosa (ancient stories), and writings (prose and poetry). By studying 25 Chinese poems of Dukbong Song, this article looks into the world of the poems as 1)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virtues of Women, 2) the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3) a chorus of family love, 4) the expression of latent desires, and 5) a day of a magnanimous woman. Significances of the history of women literature of Dukbong Song are as follows; first, she was the first intellectual woman whose literary materials remain. Second, she was the first woman who has her own literature book in the history of Korean women literature. Third, she was an independent and proactive woman when we look into her marriage and family life, and she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her family through ``literature.`` Forth, she was evaluated as a starting point where ``the history of women literature in Honam`` developed as a regional study.

      • KCI등재

        17세기 여성시인 李玉齋의 삶과 문학

        문희순(Hee-soon, Moo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2 No.-

        이옥재와 김성달 부부의 시는 부부시집 『안동세고』로 묶였다. 『안동세고』에는 총 249 수의 한시가 실려 있다. 이옥재의 시 71수, 김성달의 시 177수, 이옥재의 친정아버지 이홍상의 시 1수로 되어 있다. 이옥재의 시는 남편과 동일 주제를 놓고 함께 읊거나(共吟·共賦), 주고받은 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시의 제목도 자연스레 <元韻>과 <次韻>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옥재 한시의 문학세계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幸福한 日常: 『안동세고』에서 읽혀지는 이옥재의 전반적인 삶의 모습은 행복한 일상으로 충만되어있다. 이옥재의 한시 속에는 자상한 남편과 사랑스런 자녀들과의 행복한 일상이 고스란히 녹아져있다. 둘째, 漁村의 風情: 鰲頭里는 지금으로부터 사십여 년 전까지만 해도 바다로 둘러싸인 섬마을이었으나, 간척사업으로 논으로 변한 농촌이 되었다. 이옥재의 71편의 한시 가운데 많은 부분이 삶의 공간인 어촌의 풍정을 노래하였다. 셋째, 離別과 戀慕: 남편의 벼슬살이로 인해 떨어져있는 남편이 어서 빨리 집으로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는 여인의 마음이 짙게 묻어 있다. 남편에 대한 변함 없는 신뢰와 일편단심의 戀歌風의 시가 주를 형성하고 있다. 넷째, 病中의 懷抱: 비교적 순탄한 생애를 보냈던 이옥재는 마흔 여덟이라는 아까운 나이에 운명하였다. 이옥재 만년 병중에 있을 때, 김성달은 벼슬로 외직에 있었기 때문에 많은 부분을 혼자 감당해야만 했다. 다섯째, 사랑의 盟誓: 이옥재는 바다와 산에 맹세하여 일편단심 고치지 않고, 백년가약의 중한 인연을 하루와 같이 약속한다는 시를 써서 남편에게 사랑과 믿음의 마음을 먼저 전했다. 영원히 변치 않는 사랑의 맹약이 감동스럽게 여겨진다. 이상 이옥재 한시가 우리나라 여성 한시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부부시집을 엮은 유일한 사례라는 점, 자녀교육을 담당하여 미증유의 가족문학사를 이끌어 내었다는 점, 畿湖學派의 여성문학사 전개상 17세기의 맥을 잇고 있다는 점 등을 지적할 수 있다. Ok-Jae Lee (李玉齋1643-1690) was an intellectual who heard, saw, and knew lots of things. She was a granddaughter of Jeong-Gu Lee, Weolsa, and inherited the literary environment of her family, so she had the makings of a writer. In addition, her husband, Seong-Dal Kim, was also a literary enthusiast who loved writing poems. The poems of Ok-Je Lee and Seong-Dal Kim are in 『Ahndongsego』, the collection of poems of them. The collection has 249 poems; 71 poems of Ok-Je Lee, 177 poems of Seong-Dal Kim, and 1 poem of Hong-Sang Kim, Ok-Jae Lee's father. Most of her poems in the collection were written with the same subject that her husband took to write his poems, and some of them were written right after her husband finished his writing and vice versa. Therefore, many of the poems have the first word or second word in their name.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ry world of Ok-Jae Lee by classifying it into the following five parts. First, happy daily life : the overall life of Ok-Jae Lee shown in the collection seemed to be happy. In her poems, we can read that her husband was attentive and her siblings were lovely. Second, the tasteful appearance of fishing village : Ohdu-li was a fishing village on a island 40 years ago, but it became a farming village after filling out the sea. Many of the 71 poems of Ok-Jae Lee depicted the tasteful appearance of the village. Third, farewell and attachment : In the poems, a woman's feeling that wished his husband who were away due to government service would back home is shown well. Unchanged trust and her love for her husband are full of her love poems. Forth, sad thoughts during her illness : Ok-Jae Lee died untimely at 48 although she lived relatively peaceful life. As her husband was away from home due to his government service when she was ill, she had to take care of many things by herself. Fifth, a pledge of love : Ok-Jae Lee made a vow to the sea and mountains that she would not break her love to her husband and her love to her husband was new everyday, and she included this vow in the poems, and sent them to her husband. The vow for her eternal love is very touched. Her poems hav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ms in Korea because ① hers is one and only case of the collection of poems of married couple, ②she made a breakthrough by making the family literature by raising her children by herself, and ③she inherited the trend of the 17th century in the female literary history of the school of Kih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