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내재적‧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구조적 관계

        해임(Park, HaiIm),천성(Cheon, SeongMoon),조은미(Cho, Eu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그것을 매개하는 변인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의 4년제 대학 신입생이며,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14일간 총 320부를 배부하여 이 중 33부를 제외한 28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을 활용하여 2단계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Bootstrap 분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내재적 외재적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눙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 대학생횔적응은 각각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 부분매개하고 있고,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을 완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신입생들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을 높여 대학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상담과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함을 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 related to freshman 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mediating variables them in their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reshmen at five 4-year colleges in Busan. A total of 320 copies were distributed for 16 days from June 1, 2017 to June 16, 2017, and 287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37 copies. The research tools used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basic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23.0, and were analyzed two-ste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Amos 21.0, were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rough Bootstrap analysi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respectively,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is partially mediated by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between relationship with th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is completely mediated by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between relationship with the college life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counseling and program intervention are needed to help adapt to college life, so the college freshmen should increas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 KCI등재

        중년후기의 고독감, 자기자비, 사회적자본과 사회적자기효능감 및 심리적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해임(Park Haeim),김아영(im Ayoung),천성(Cheon Seongmun),박은아(Park Euna),전혜정(Jeon Hye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중년후기 고독감, 자기자비,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구조관 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50세에서 65세 사이의 중년후기 500 명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1일부터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462부 자료를 SPSS 23.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중년후기의 심리적안녕감은 고독감, 자기자비, 사회적자본, 사회적자기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둘째, 최종모형의 고독감, 자기자비, 사회적자본, 사회적자기 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직접 경로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고독 감이 사회적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를 제외하고, 예측변인들이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모든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고독감을 느끼고 있는 예비노인을 위해 많은 자기자비와 사회적 자본을 가질 수 있는 상담과 교육프로그램의 개입을 통해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fit of the model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y establishing a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self-compassion, social capital, social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late-middle age.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irectly to 500 preliminary old man between 50 and 65 years old in the nation and data of 462 were analyzed.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the 1st to 30th October 2018. The data collected to conduct the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MOS 21.0 Program.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directly through the loneliness of late-middle age, self-compassion, social capital and social self-efficacy. Second, it was verified that all indirect effects of predictive variables lead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th from loneliness to social self-efficacy.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cial self-efficacy by intervention of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 which can have a lot of self-compassion and social capital for preliminary old man who are feeling loneliness.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은미,해임,천성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지역과 세계 Vol.4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freshmen'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7 freshman students in 4 - year college in B city. The research tools used major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adaptatio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social self - efficacy scal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t this time, the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was used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jor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adaptatio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social self - efficacy were statistically highly correlated respectively. Seco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social self - 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social self - 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as significan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 신입생 287명이며, 연구도구는 전공선택동기,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회적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전공선택동기,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은 각각 유의하게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은 각각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간접효과 유의성 결과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기효능감 각각을 거쳐 대학생활적응으로 가는 간접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