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S 공간내삽법을 활용한 PM<sub>2.5</sub> 분포 특성 분석 -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

        문한솔 ( Han-sol Mun ),송봉근 ( Bong-geun Song ),서경호 ( Kyeong-ho Seo ),김태형 ( Tae-hyeung Kim ),박경훈 ( Kyung-hun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PM<sub>2.5</sub>의 시·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토지이용 특성과의 비교를 통해 PM<sub>2.5</sub> 발생 요인을 파악하여 저감 방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초 자료로 창원시 내 유치원, 초등학교와 일부 중·고등학교에 측정지점을 두고 있는 Airpro 자료의 2017년 9월부터 2018년 8월까지의 매 1시간 평균값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GIS의 공간내삽법 중 IDW 기법을 활용하여 월별, 시간대별 분포 지도를 구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공간적인 PM<sub>2.5</sub> 분포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Airpro 자료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AirKorea 자료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였고, 분석 결과 R2이 0.75~0.86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이 나타나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월별 분석에서는 1월이 연중 가장 높았고, 8월이 가장 낮았다. 시간대별 분석 결과 출근시간인 06-09시가 가장 높았고 활동시간인 09-18 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행정구역별로는 상남동, 합포동, 명곡동이 PM<sub>2.5</sub> 심각 지역으로, 회성동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행정구역별 토지이용 특성을 분석한 결과 PM<sub>2.5</sub> 심각 지역 내에 교통지역과 상업지역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창원시의 PM<sub>2.5</sub> 분포 특성을 파악할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심각 지역 및 저감 방안수립 방향은 기존보다 더욱 효과적인 정책 마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d temporal PM<sub>2.5</sub> in urban areas of Changwon-si, and to identify the causes of PM<sub>2.5</sub>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us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duction measures. As the basic data, the every hour average from September 2017 to August 2018 of Airpro data, which has measurement points in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some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angwon-si was used. Also, by using IDW method amo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of GIS, monthly and time-slot distribution maps were constructed, and based on this, spatial and temporal PM<sub>2.5</sub>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First,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Airpro data, the correlation with AirKorea data manag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sup>2</sup> was 0.75~0.86, showing a very high correlation and the data was judged that it was suitable for the study. In the monthly analysis, January was the highest year, and August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analysis by time-slot, The clock-in time at 06-09 was the highest, and the activity time at 09-18 was the lowest. By administrative district, Sangnam-dong, Happo-dong, and Myeonggok-dong were the most severe regions of PM<sub>2.5</sub> and Hoeseong-dong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and-use characteristics by administrative a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 of traffic area and commercial area is high in the serious area of PM<sub>2.5</sub>.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PM2.5 distribution in Changwon-si. Also, it is thought that the severe regions and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reduction measure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pare more effective policies than before.

      • 건물 실험을 통한 계절별 쿨루프 효과 비교

        김경아(Gyeong Ah Kim),송봉근(Bong Geun Song),김성현(Seoung Hyeon Kim),박건웅(Geon Ung Park),문한솔(Han Sol Mun),박경훈(Kyung Hun Park) 대한설비공학회 201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폭염 발생에 따라 증가하는 노후 건물의 냉방에너지를 감소하기 위하여 실제 건물에 쿨루프를 적용하여 레이어별 온도 감소를 계절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건물 실험은 2016년 8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조건이 거의 유사한 2개의 건물을 쿨루프 적용 건물과 미적용 건물로 구분하여 옥상표면온도, 천장표면온도, 천장 기온, 방 기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쿨루프 효과를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 쿨루프 적용 시 모든 레이어의 온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여름보다 겨울에 쿨루프 효과가 크게 나타나 쿨루프 적용을 위하여 사전에 해당지역의 기후, 건물의 물리적 특징(단열, 재질 등)을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실측 결과를 활용하여 모델링 결과를 보정한 뒤, 실험 건물의 냉방 및 난방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 건물 모형 실험을 통한 쿨루프 효과 비교

        김경아(Gyeong Ah Kim),송봉근(Bong Geun Song),김성현(Seoung Hyeon Kim),박건웅(Geon Ung Park),문한솔(Han Sol Mun),박경훈(Kyung Hun Park) 대한설비공학회 201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1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ol roofs by investigating building models located in Changwon that have roofs constructed of various types of materials and colors. The building model roofs were comprised of white, green, and black waterproof paints; white, green, and black asphalt shingles; and rooftop vegetation. Th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building model roofs were measured from May 29-August 14. To identify roof characteristics, the flow of energy from roof surfaces to the ambient air, and the amount of energy accumulated on the roofs, were investigated. Reflectivity, emissivity, weather conditions and net radiant energy were measured during 9:00–15:00 on July 31, 2014. The reflectivity and emissivity of the white waterproof painted roof and the white asphalt shingle roof, the “cool roofs,” were higher than the other roofs, and their surface temperatures and net radiant energy were lower than the other roof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white waterproof painted roof was lower than the green and the black waterproof painted roofs by a maximum of 25℃;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white asphalt shingle roof was lower than the green and the black asphalt shingle roofs by a maximum of 19℃.

      • KCI등재

        GIS 기반 노인인구 분포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폭염의 관계 분석 - 창원시를 대상으로 -

        송봉근 ( Bong-geun Song ),박경훈 ( Kyung-hun Park ),김경아 ( Gyeong-ah Kim ),김성현 ( Seoung-hyeon Kim ),박건웅 ( Geon-ung Park ),문한솔 ( Han-sol Mu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노인인구 분포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폭염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자료와 환경부 토지피복도, Landsat 8 지표면온도, 기상청의 폭염일수 자료를 활용하였다. 노인인구 분포의 공간적 특성은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하여 K-mean 군집화 분석을 통해 총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공간유형별 노인인구 특성은 도시화된 유형(cluster-3)에서 노인인구의 수가 많았으나, 농촌지역과 산림지역에 분포하는 유형(cluster-1, cluster-2)에서는 노인인구의 구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면온도와 폭염일수 특성에서는 도시지역에서 지표면온도가 가장 높았으나 폭염일수는 농촌지역이 가장 많았다. 노인인구 분포지역의 공간유형에 따른 폭염 특성을 분석한 결과, 농촌지역 면적이 많은 cluster-2가 15.95일로 가장 높았고, 도시화된 유형인 cluster-3은 9.41일로 가장 낮았다. 즉,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인구보다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인구가 폭염에 더욱 노출되어 있으며, 피해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름철 폭염 취약지역의 효과적인 관리와 사전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heat waves in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Changwon, Gyeongsangnam-do. For analysis, the Statistics Census data,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and cover, Landsat 8 surface temperature, and the Meteorological Agency's heat wave days data were us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5 types through K-mean cluster analysis considering the land use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by spatial type were higher in the urbanized type(cluster-3), but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was higher in the agricultural and forest area types(cluster-1, cluster-2).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temperature and the heat wave days, the surface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the urban area, but heat wave days were the highest in the rural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eat wa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atial type of the distribution area of elderly population, cluster-2 with the largest area in agricultural areas was highest at 15.95 days, and cluster-3 with a large area in urbanized types was the lowest at 9.41 days and 9.18 days. In other words, the elderly population living in rural areas is more exposed to heat waves than the elderly population living in urban areas, and the damage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various policy measure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vulnerable areas in sum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