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초등학생의 흡연예방 보건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사 의견을 기반으로 -

        문정순,양수,박호란,이은숙,Moon Jung-Soon,Yang Soo,Park Ho-Rahn,Lee Eun-Suk 한국아동간호학회 200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6 No.3

        In order to provide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health education on preventing smo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nderstanding the views hel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529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responded by constructed questionnaires during the period of Nov. 15 to Dec. 18 1999.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were as follows: 1. 91.9%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schools should offer education programs on preventing smoking, and this view was more strongly shared by teachers with religions than non-religious ones. 2. 37.6%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education should start with 4th-5th graders, while 36.0% opted for 6th grades. With regard to the appropriate class in providing such education, 41.1% selected physical education (PE), followed by extracurricular activity class with 28.8%, 45.1% of the respondents said discussion would be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method, while 39.9% recommended using experiments. fall in diseases and growth and developmental defect were pointed out as the most interesting topic for students by 33.2% and 28.1% of the surveyed, respectively. As for the most effective media for education, 57.2% recommended video, followed by computer games(19.2%) and cartoons (20.0%). 64.1% of the teachers picked school nurses as the most appropriate person in carrying out th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finding show that it would be most desirable to provide health education on preventing smoking to senior elementary schoolers during the PE or extracurricular activity class by school nurses. The program would be structured to first show video clips on growth and developmental defect or fall in diseases resulting from smoking and to have discussions or experiments on related matt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마음챙김 자비훈련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문정순 ( Moon Jung S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최근 마음챙김 자비 훈련의 임상적, 비임상적 적용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자비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마음챙김 자비훈련 프로그램은 자비와 MBSR를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실험 참가자들은 실험집단 9명, 무처치 통제집단 9명의 일반 성인들로 구성되었다. 8주간의 프로그램 전후 시점에서 실험참가자들에게 마음챙김, 자기자비, 심리적 안녕감 측정치를 수집하여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에 참가하지는 않았지만 실험집단과 같은 시기에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마음챙김, 자기자비(자기친절, 마음챙김, 자기판단),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자아수용, 환경지배력, 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마음챙김 자비훈련의 활용에 대한 본 연구의 기여와 추후 연구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research on clinical and nonclinical applications of mindfulness self-help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indfulness-compassion training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indfulness Compassion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compassion and MBSR. Participants consisted of nine experimental and nine controlled adults. The effect of program intervention was verified. Participants in the study collected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asures before and after the 8-week program.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but collected the same measurements at the same time as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s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self-kindness, mindfulness, self-judg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self-acceptance, environmental mastery,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personal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to the utilization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train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명상가들의 공상자각, 인지적 탈융합, 심리적 안녕감의 주관적 구조 분석

        문정순 ( Jung Soon Moon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5 주관성연구 Vol.- No.31

        최근 긍정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명상은 사람들에게 평온함과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끄는데 효과적인 도구임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명상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해 연구자들의 다양한 주장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도 이러한 메카니즘을 탐색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명상경험을 가진명상가들 1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개인이 경험하는 문제와 현실은 자신만의 변별체계를 통해 만들어낸 공상일 뿐 고정불변의 객관적인 실체가 아님을 깨닫는 공상자각과, 이러한 자신의 경험과 융합되지 않고 한 발짝 뒤로 물러서서 자신이 경험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인지적 탈융합이 명상가들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공상자각, 인지적 탈융합, 심리적 안녕감이 어떤 관계와 역동성을 보여주는지 살펴보기 위해 Q 방법론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 1유형은 공상자각, 인지적 탈융합,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가 이론적으로 합치하는 양상을 보여주어 ‘지혜형’으로 명명하였다. 제2유형은 공상자각의 단계별 자각에서 단지 부분적인 긍정반응을, 인지적 탈융합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긍정과 부정의 혼재 현상을 보여주어 ‘지식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명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공상자각과 인지적 탈융합 변인들을 고려한다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Numerous studies proposed divers paths involved in practing meditation which has been well known to rais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Q-methodology to investigate this mechanism with 14 experienced meditators from diverse disciplines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mental states; imagination awareness, cognitive defu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magination awareness assumed that personal experience of problematic reality is not a real one but just an imagination constructed by personal value system. Cognitive defusion is a state that objects can observe personal experience without fusing it with the first hand experience of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se two state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Q analysis revealed two types of meditators;’wisdom’ type and ‘knowledge’ type. The objects of ‘wisdom’ type understands imagination awareness as well as cognitive defusion and leads very contented stat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objects of ``knowledge`` type understands imagination awareness but fails to apply consistently the principle of cognitive defusion and, as a consequence, experiences fluctuating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esent study shows direction for developing an effective program of meditation for achieving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사회적 성숙성과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문정순 ( Moon Jeong-soon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본 연구는 우울한 대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알아보고 이 두 변인 사이에서 자기자비의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235명은 자신의 우울, 심리사회적 성숙성, 자기자비정도를 보여줄 수 있는 각 척도에 응답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으로 우울과 심리사회적 성숙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과 심리사회적 성숙성은 부적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자기자비와 심리사회적 성숙성과는 정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우울과 자기자비는 부적인 관련성을 보여 주었다. 우울한 대학생들은 자기자비를 매개로 하여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부분매개효과보다 완전매개효과가 더 좋은 모형 적합도를 보여서 완전매개모형을 선택하였다. 대학생 시기의 경험과 교육은 대학생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우울한 대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성은 성숙한 인격체로 갈고 닦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우울한 대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성 향상에 자기자비가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social maturity, the fit of the research model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we re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35 college students, who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each variabl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negatively predicted psychosocial maturity. Second, self-compassion positively predicted psychosocial maturity. Finally, depression negatively predicted self-compass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revealed that depression in the college students had perfect mediating effects that positively affect psychosocial maturity by mediating self-compassion. The model prepared for this was found to be suitable, and thus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sychosocial maturity in the college students was confirmed. Experiences and education in college life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college students into mature individual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self-compass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social maturity i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