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문은식(Ehun-shik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충남, 경기에 위치한 3개대학교의 유아교육과 여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LISREL 8.54를 이용한 경로분석이 이루어졌고,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예측을 하고, 3개 예언변인들의 삶의 만족도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약 49%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에 비해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기본심리욕구 → 삶의 만족도) 더 많은 예측을 하고, 기본심리욕구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예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촉진시키는데 기본심리욕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부모의 자율성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life satisfaction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tests of autonomy support scale, social support scale, 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administered 331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ree universities in Kangwon province, Chungnam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Korea.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path analysis by LISREL 8.54.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earch model is appropriate in terms of goodness of fit and significant path based the validation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wo exogenous(parents’ autonomy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and one endogenous(basic psychological need)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life satisfaction via three pathways, and the predictive power for the total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was approximately 49%. Also,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ve variables(parents`` autonomy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ir friends’ social support had more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did their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 had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life satisfac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문은식(Ehun Shik Moon),배정희(Jung Hee Ba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련되는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의 구조적 관계 양상이 남고생과 여고생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데 있다. 강원도의 12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854명(남 518명, 여 336명)에게 인간관계, 학습사, 자기조절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실패귀인, 학습된 무기력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LISREL 8.54에 의한 경로분석이 이루어졌고,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남고생은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들이 10개의 경로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이들 관련변인들의 학습된 무기력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약 16%로 나타났다. 반면 여고생은 학습사 및 사회적·동기적 변인들이 10개의 경로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이들 관련변인들의 학습된 무기력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약 13%로 나타났다. 둘째, 남고생과 여고생 모두 부모관계가 학습된 무기력에 직접적인 효과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동기를 통해 간접적인 효과를 주었고, 교사관계 및 학습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간접적인 효과를 주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남고생의 사회적 변인(부모, 교사, 친구관계)과 학습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조절동기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여고생의 사회적 변인(부모, 교사관계)과 학습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조절동기를 통해 학습된 무기력에 부적으로 간접적인 효과를 준다는 점에서 성별 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여고생의 실패귀인은 사회적 변인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지만, 남고생의 실패귀인은 어떠한 효과도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social-motivational variables, and learned helplessness in boy and girl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54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518 boys and 336 girls sampled from 12 high schools in Kangwon province, Korea.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Academic Achievement History Scale, Failure Attribution Scale, Self-Determined Motivation Scal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Learned Helplessness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path analysis by LISREL 8.5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boy high school students, the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motivational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via 10 pathways, and their predictive power for the total variance of leaned helplessness was 16%. On the other hand, for the girl high school students, the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motivational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via 10 pathways, and their predictive power for the total variance of leaned helplessness was 13%. Second, in both of boy and girl high school students,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and had a indirect effect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history of academic achievement had a indirect influence on their learned helplessness via academic self-efficacy. Finally, for the boy high school students, their social variables (relationship to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nd academic achievement history had indirect effects on the learned helplessness via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whereas for the girl high school students, their social variables(relationship to parents and teachers) and academic achievement history had indirect effects on the learned helplessness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attributional belief for academic fail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boy and girl high school students` learned helplessn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존중감의 차이

        문은식 ( Ehun Shik Moon ),문정임 ( Jung Im M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1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존중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학년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일반적 경향이 어떠한지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강원도의 S시와 G시, 충청남도 N시에 위치한 3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여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감 검사, 심리적 안녕감 검사, 자기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량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일반적 경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성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51.5%)을 보이고, 그 다음은 양성성(25.7%), 미분화(20.7%), 남성성(2.1%)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는 심리적 안녕감 전체, 정적 효능, 정적 정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 전체와 정적 정서의 경우 양성성 집단이 미분화 집단 보다 높고, 정적 효능의 경우 양성성 집단이 여성성 집단과 미분화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자기존중감의 차이는 자기존중감 전체, 긍정적 자기존중감, 부정적 자기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존중감 전체에서는 여성성 및 양성성 집단이 미분화 집단보다 높고, 긍정적 자기존중감의 경우 양성성 집단이 미분화 집단보다 높으며, 부정적 자기존중강의 경우 여성성 집단이 미분화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role ident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analyze the general inclinations of gender role identity by grades. The tests of gender role ident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were administered to 241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in S, G, and N city, Korea.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n`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inclinations of gender role identity type by grade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gender role identity type. For the total sco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ndrogynous and feminine types were higher than the undifferentiated type. The androgynous type was superior to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types in the positive self-efficacy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positive emotion sub-factor, the androgynous type was higher than the undifferentiated typ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lf-esteem depending on gender role identity type. The feminine and androgynous types were higher than the undifferentiated type in the total score of self-esteem. For the positive self-esteem, the androgynous type was superior to the undifferentiated type. For the negative self-esteem, the feminine type was lower than the undifferentiated type.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영어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문은식 ( Ehun Shik Moon ),이종희 ( Jong Hee Lee ),김명화 ( Myung Hwa Kim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2 현대영어영문학 Vol.56 No.1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former variable on the latter. In addition, a gender difference in self-regulated learning was examined.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246 students (123 boys and 123 girls) sampled from four high schools.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were correlation techniqu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ain research components - the achievement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regulation (r=.21, p<.05) and motivational regulation (r=.23, p<.05); (b) The most contributive variable to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was the self-efficacy of motivational regulation; and (c) Girls have appeared to rely on their cognitive strategies more than boys in school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