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왕절개 분만 후 발견된 치골관절 이개

        문우남(Woo Nam Moon),유근재(Keun Jai Yoo),정환욱(Hwan Wook Chung),오한진(Han Jin O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0

        목적 : 제왕절개 분만 후의 치골관절 이개는 국내에서 보고된 적이 없다. 본원에서 체험한 례를 중심으로 질환의 조기 발견 및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임상적 특징, 치료결과, 발병률 및 위험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방법 및 재료 : 본원에서 1997년 부터 1999년까지 제왕절개 분만을 한 산모 8,0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기준은 1)임상적으로 골반 불안정성의 증상 및 이학적 검사 양성인 경우, 2)x-ray상 치골관절 간격 6mm이상, 혹은 상하이동 3mm이상, 혹은 천장관절 간격4mm이상인 경우로 하였다. 치골관절 이개가 있는 군(n=21)과 대조군(n=138) 사이에 위험인자들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t- test 및 chi-자승 검사로 통계학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 치골관절 손상은 8,089 제왕절개 분만에 21례로 발병률이 제왕절개 분만 1,000에 2.6례였다. 치골관절 간격은 3mm부터 28mm까지 였으며, 8례에서 상하 이동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위험인자의 통계학적 분석에서는 산모의 과체중 및 임신중의 골반관절 이완증상의 기왕력이 유의한 유발 인자로 나왔다(P<0.05).결론 : 이상의 결론으로 제왕절개 분만을 한 경우에도 치골관절 이개가 생길 수 있으며, 위험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치골관절 이개의 발생 가능성을 예견하여, 조기 발견 및 치료를 하여 합병증을 예방 하여야 하겠다. Objective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observ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utcome of treatment and incidence of diastasis of symphysis pubis after cesarean section,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the lesion.Methods : 8,089 cesarean section cases of our center from 1997 to 1999 were reviewed. The diagnostic criteria of diastasis were; 1) positive signs and symptoms of pelvic instability, 2) radiological evidence of widening of symphysis pubis more than 6mm and/or vertical mobility more than 3mm, or widening of sacroiliac joint more than 4mm. Several factors that increase the risk of this lesion were reviewed and analyzed by t- test and chi-square test. Results : Twenty-one diastasis of symphysis pubis were diagnosed out of 8,089 cesarean section cases during that period and all were available for over one year follow-up. The widening of the joint ranged from 3mm to 28mm. Eight cases accompanied vertical mobility. The history of pelvic girdle relaxation during pregnancy and over weight gain were proved to increase the risk of the lesion (P<0.005).Conclusion : We should have in mind that diastasis of symphysis pubis after cesarean section delivery could be found and history of pelvic girdle relaxation symptom and overweight during pregnancy might be the risk factors. Further studies with more cases would be needed to disclose the etiology and risk factors.

      • KCI등재

        거부권행사자, 의제설정자, 정당규율성과 입법효율성

        문우진(MOON Woojin)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5

        본 논문의 거부권행사자 모형은 한국의 행정부-의회관계 및 입법제도는 미국의 대통령제보다 의회제와 더 유사한 입법효율성을 초래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모형은 한국에서의 입법효율성에 대한 검증 가능한 가설들을 도출한다. 첫째, 입법효율성은 분점정부보다 단점정부에서 더 높다. 둘째, 단점정부에서 정부가 실질적인 의제설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한국의 입법환경에서는 정부안이 의원안보다 통과될 확률이 매우 높다. 셋째, 여당 의원안은 단점정부에서, 야당 의원안은 분점정부에서 통과될 확률이 더 높다. 13대에서 18대 국회까지의 입법자료 경험분석은 이러한 가설들을 뒷받침한다. A veto player model in the paper shows that executive-legislative relations and legislative institutions in South Korea result in legislative efficiency that is more likely to be found in the parliamentary system than in the presidential system. The model yields testable hypotheses regarding legislative efficiency. First, legislation is more efficient in the unified government than the divided government. Second, executive bills are more likely to be passed than legislative bills in the legislative environment where the government can exert substantial agenda power in the unified government. Third, bills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party are more likely to be passed in the unified government, and those proposed by the opposition parties are more likely to be passed in the divided government. Analyses of legislations between the 13th and 18th National Assemblies support these hypotheses.

      • KCI등재

        대통령 지지도의 필연적 하락의 법칙

        문우진(Woojin Moon)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1

        본 논문은 대통령에 대한 지지는 왜 필연적으로 하락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한 이론적 설명 및 공간모형(spatial model)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대통령 지지율의 필연적 하락을 포괄정당이 선거기간에 생산한 대선 후보의 유인적 가치 (valences)에 대한 기대감의 소멸로 설명한다. 이 글의 공간 모형은 한 후보의 가치에 대한 효용의 하락 또는 상대 후보의 가치에 대한 효용의 상승이 유권자의 이념적 투표결정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과 어떤 유권자가 후보에 대한 지지를 바꾸는 가를 보여준다. 17대 한국 대통령 선거 설문자료 분석은 경제정책 능력이라는 가치쟁점이 여야 대통령 후보 지지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글은 또한 대통령 지지율의 필연적 하락은 대통령 선발 단계에서부터 발생한 대리인 문제(agency problem)라는 점을 지적한다. 이 글은 유권자가 후보가 내세우는 가치보다 정당의 이념을 근거로 투표할 때, 대통령 지지도의 필연적 하락이 억제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presents a theoretical explanation and a spatial model to answer the question, why does presidential popularity decline inevitably? This article explains the inevitable decline of presidential popularity in terms of voters’disappointment at the presidential candidate’s valences produced by the catch-all party during the campaign period. The spatial model shows that a utility decrease in a candidate’s valence or a utility increase in his opponent’s valence could change voters’ideological voting decisions. It also shows which voters change their support. An analysis of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reveals that presidential candidates’ability to achieve economic develop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hanging electoral support between the governing and opposition party candidates. This article also points out that the inevitable decline of presidential popularity is an agency problem that occurs at the stage of electing the president. This article argues that voters’voting decisions based on parties’ideologies instead of candidates’valences could discourage the inevitable decline of presidential popularity.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시장통합과 가격수렴성 / 지정토론 / 일반토론

        문우식 ( Woo Sik Moon ),윤덕룡 ( Deok Ryoung Yoon ),백승관,이영섭 한국금융연구원 2006 韓國經濟의 分析 Vol.12 No.3

        본 논문은 동아시아의 시장통합을 살펴보기 위해 동아시아 각국 간 가격격차와 그 변동성의 시간에 따른 수렴 여부를 조사하고 그 결정요인을 실증분석 한다. 본 연구에 따르면 동아시아는 외환위기 이후 시장통합이 가속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격차가 축소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으며 오히려 그 격차 및 변동성이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가격격차의 비수렴성은 무엇보다도 외환위기 이후 심화된 역내 회원국 간 환율변동과 역내 소득격차에 기인한다고 분석된다. 따라서 동아시아시장통합을 심화하기 위해서는 EMS의 경우에서와 같이 역내 환율안정을 심화하거나 역내 국가 간 개발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ntends to measure the extent of the price level differences and volatilities among East Asian countries and examines whether some kinds of price-convergence could be ascertained in East Asia. This paper shows that compared with the EU, no noticeable trend of price-convergence among East Asian countries arises. Rather, there are increasing price level differences and volatilities. This paper shows that such price convergence failure can be explained in large part, by considerable exchange rate fluctuation among East Asian currencies and the wide income disparities among East Asian countr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bility of intra-regional exchange stability together with the reduction of income gap is essential to further market integration in East Asia.

      • KCI등재

        무선 중계시스템의 무선 궤환 간섭 채널 측정 및 특성 분석

        문우식(Woosik Moon),임성빈(Sungbin Im),김현채(Hyunchae Kim),권낙원(Nagwon Kwon) 대한전자공학회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6 No.1

        본 논문에서는 송신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가 자신의 수신안테나로 수신되어 발생하는 궤환 간섭 채널을 측정하는 방법과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궤환 간섭 채널을 분석한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2 GHz 대역의 WCDMA 신호를 사용하여 고속도로변에서 측정 실험을 하였다. 고속도로변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높은 도플러 주파수와 에너지가 큰 궤환 신호가 발생한다. 채널 측정은 신호발생기의 신호와 수신된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다운 컨버트하고 동시에 샘플링하여 저장하였고 저장된 데이터를 LS (Least Square) 알고리즘으로 채널의 계수 값을 구하였다. 채널 분석을 위해 시간에 따른 전력 지연 프로파일과 산란 함수를 계산하고,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핑거의 수, 지연에 따른 감쇄에 대하여 분석한다. 궤환 간섭 채널은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가 고정되어 있고 주위에 있는 이동하는 물체와 고정된 물체에 의해 형성된 다중경로를 통해 발생하는 채널로, 일반적인 기지국과 이동국의 채널 모델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무선 중계시스템의 설계와 성능검증을 위한 지침을 제시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of measuring the feedback interference channel, which is developed between th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of a wireless repeater by receiving the transmit signal at the receive antenna of the identical repeater, and experiment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the measurements. This experiment uses 2 GHz WCDMA signal and is carried out near a highway. The high-speed mobiles on highways cause reflected signals with high Doppler frequencies and large energy.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feedback channel, the power delay profile and the scattering function are estimated by identifying the delay spread, the Doppler spread, the number of fingers, and the attenuation with delay. Since the feedback interference channel is constructed between the fixed TX and RX antennas, which is dependent upon the multipaths developed by moving or fixed objects around the antennas, the channel shows different properties comparing to the conventional channel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Therefore, the results presented in the paper are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wireless repeater systems.

      • KCI등재후보

        요한복음의 율법과 사랑

        문우일(Wooil Moon)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3 Canon&Culture Vol.7 No.1

        이 글은 요한복음의 율법과 사랑을 탐구한다. 페르난도(G. Charles A. Fernando)는 모세의 율법과 예수가 전한 사랑은 상보적인 것으로서 율법은 사랑을 위한 예비 단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2001). 그러나 페르난도의 주장은 요한복음에서 모세의 율법과 예수의 사랑의 계명이 빚어내는 긴장 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것이다. 페르난도와 달리 판카로(Severino Pancaro)는 마틴(James L. Martyn)의 사회학적 가설(1968)을 도입하여 요한복음에서 율법과 사랑 사이의 긴장은 요한 기독교인들이 바리새파 유대인 회당에서 출교 당한 정황을 반영하는 것이라 해석했다. 판카로에게 사랑은 유대인 정체성을 상실한 유대 기독교인들의 종파적 견해를 대변하는 것이며, 율법(노모스)은 1세기말에 얌니야 회의에서 정통 유대교로 승인 받은 바리새파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다. 이 글은 사랑을 요한 종파(sect)의 덜 유대적인 개념으로, 율법을 정통 유대교의 매우 유대적인 개념으로 해석하는 판카로의 해석을 재고한다. 대신 요한 공동체는 모든 유대교와 결별한 종파가 아니라 유대 일부 집단과만 대립한 신앙 체계(cult)였다는 푸글세스(Kare Fuglseth)의 가설을 도입하여, 요한복음의 사랑 개념도 율법 못지않게 유대 전통에 깊이 뿌리박은 개념이라고 제안한다. 율법과 사랑은 여호와의 계명들에 대한 서로 다른 두 해석인 것이다: 율법은 유대 지도자들의 계명 해석이요, 사랑은 요한 공동체의 계명 해석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law and love i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G. Charles A. Fernando argued that the law given through Moses does not stand against love revealed by Jesus but the former is complementary and preparatory to the latter in John (2001). His suggestion, however, does not reflect strong knowledge of scholarly discourse on the tension between the Mosaic law and Jesus’s love commandment in John. Severino Pancaro interprets the tension by adopting James L. Martyn’s sociological hypothesis about the segregation of the Johannine Christians from the synagogue of Pharisaic Jews (1968). For Pancaro, love represents the sectarian view of Jewish Christians, who can hardly identify themselves as Jews, while the law (nomos) the traditional view of Judaism confirmed as orthodox by the Council of Yamnia in the late first century A.D. This paper reconsiders Pancaro’s extreme dichotomy between the less Jewish love of Johannine sectarianism and the very Jewish law of orthodox Judaism. Kare Fuglseth redefines the Johannine community not as a sect but as a cult which manifested tension only with a certain group of Judaism rather than with Judaism itself. Relying on his hypothesis, this paper proposes that both the law and love in John are firmly rooted in the Jewish tradition: The law and love signify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God’s commandments: the former is of the Jewish leaders and Jesus’s opponents in John while the latter is of the Johannine community.

      • KCI등재

        정치정보, 정당, 선거제도와 소득불평등

        문우진(Woojin Moon)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2

        본 논문은 인물투표를 촉진시키는 선거제도가 소득불평등을 심화시킨다는 주장에 대한 이론적ㆍ경험적 근거를 제시한다. 본 논문의 주장에 의하면, 저소득층 유권자들은 고소득층 유권자들에 비해서 후보의 비정책적인 요소들에 의해 쉽게 흔들리기 때문에 개인표를 던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저소득자들이 자신의 이해를 대변하지 않는 후보에게 투표할 가능성은 고소득자보다 높고, 저소득자들의 이러한 투표결정은 우파후보에게 유리하게 작동한다. 인물투표를 촉진시키는 선거 제도는 또한 후보와 소수의 특정 지지자들 간의 후원관계를 통한 자원분배 가능성을 높여, 정치인들의 소득불평등 해소정책 산출 동기를 억제한다. 본 논문은 인물투표를 촉진하는 선거제도가 우파 정당들의 득표율을 높이고 동시에 소득불평등을 심화시킨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경험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의 이러한 발견의 정책적 함의는 정당투표를 촉진시키는 선거제도가 소득불평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proposes theoretical and empirical grounds for the argument that electoral rules cultivating personal votes intensify income inequality. According to the argument of this article, poor voters are more likely than rich voters to cast personal votes since they are more likely to be swayed by candidates’valences. Thus, the poor are more likely to vote for candidates who do not represent their interests and such voting decision works favorably to rightist candidates. The particularistic electoral rules also discourage politicians from producing policies for reducing income inequality 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distributing resources through the clientelistic relationship between candidates and a small number of supporters. This article offers empirical results supporting the hypotheses that the particularistic electoral rules are advantageous to rightist parties and intensify income inequality.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finding is that electoral rules encouraging party voting have an effect of reducing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한국 대통령 권한과 행정부 의제설정 및 입법결과

        문우진(Woo jin Moon)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1

        본 논문은 한국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시키는 제도적 근원은 대통령제가 아닌 의회제적 요소들에 놓여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특히 행정부가 법안을 발의할 수 있는 한국의 행정부-입법부 관계가 대통령이 다수 여당을 장악할 수 있는 다양한 정치제도들과 결합하면, 대통령은 의회제에서의 행정부 수반(수상)처럼 자신의 의제를 실현할 수 있다. 의제설정자는 실현가능한 대안 중 자신이 가장 원하는 입법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는 거부권행사자 이론을 적용해서 본 논문은 한국 국회에서의 입법결과를 분석한다. 본 논문의 이론적 모형은 분점정부보다는 단점정부에서 그리고 여당이 규율적일수록 의제설정자의 발의안이 원안과 가깝게 통과될 확률이 높다고 예측한다. 13대에서 18대 국회에서 처리된 법안들에 대한 경험분석은 이러한 예측을 강하게 뒷받침한다. 이러한 발견에 근거해서 본 논문은 제도적 함의를 논의하고 정치제도 개혁방향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shows that the institutional origin that increases power of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lies not in presidential but in parliamentary elements. In particular, if the executive-legislative relationship in which the executive can propose bills is combined with various presidential powers that enable the president to control the governing party, the president can accomplish his or her agenda as the head of government (prime minister) can in parliamentary systems. Adopting veto players theory that agenda setters can pick the outcome that they like most among feasible alternatives, this article analyzes legislative outcomes in the National Assemblies in South Korea. The theoretical model of this article predicts that the probability of the agenda setter’s proposal passing without amendment is higher under unified government than divided government, and as the governing party becomes more disciplinary. An empirical analysis of legislative data collected between the 13th and 18th National Assemblies strongly supports this prediction. Based on this finding, this article discusses institu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