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0년대 마르크스주의와 윤리-정의와 당파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문성원,홍영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6 시대와 철학 Vol.17 No.3

        Marxism and Ethical Consciousness in 1980’s in South Korea -the Problems of Justice and Partisan Spirit- Moon, Sung-Won․Hong, Young-Du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marxian thoughts in 1980’s in South Korea in the perspective of ethical consciousness. Of course, ethics is not the centric issue of Marxism. We could think that the uprise of ethical concerns is bound to the situation of decline of Marxism. Therefore, it seems that our perspective is less proper to Marxism itself than to the needs of our epoch. We suppose that the main streams of 1980s social-value in South Korea were People’s Democracy(PD) and National Liberation(NL), and that they affected strongly the versions and topics of Marxism accepted in our society at that time. The subjects of our paper, which are alienation, justice, partisan spirit, etc. in the forms accepted in 1980’s, cannot be captured thoroughly by the marxian ‘scientific’ thoughts. They were chosen and transformed by the concrete situation and its value-orientation. We could not deny that sometimes they played ideological role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Juche Ideology. But the main value-orientations of 1980’s, namely, PD and NL are not out of date. The actual reality which gave rise to them still exists in these days, and raises the question of how the ethical perspective can change the reality. 이 논문은 1980년대에 우리사회에 수용된 마르크스주의 사조들을 윤리적 문제의식이라는 견지에서 조망하고 평가한다. 마르크스주의사상에서 윤리가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마르크스주의의 쇠퇴를 야기한 현실 상황이 윤리적 차원에 대한 관심의 상대적 고양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윤리적 문제의식의 바탕 위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역할을 재조명하게 해 준다. 본 논문은 1980년대 마르크스주의와 관련하여 우리사회에서 중요하게 작용했던 윤리적 문제의식을 ‘민중민주’와 ‘민족해방’의 지향이라고 파악하고, 이 양자와 연결되는 구체적 주제로 ‘정의’와 ‘당파성’의 문제를 다룬다. 우리사회의 열악한 노동 상황은 인간다운 삶에 대한 열망을 낳음과 아울러 마르크스주의에서 ‘소외’와 ‘착취’의 문제의식을 수용하는 바탕이 된다. 그러나 소외와 착취 없는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윤리적 갈망이 마르크스주의 혁명론의 요체라고 보기는 어렵다. 1980년대 민중민주의 가치지향은 이른바 ‘과학적’ 마르크스주의에서 비롯하였다기보다는 마르크스주의로부터 필요한 요소들을 전취하여 이용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1980년 광주항쟁은 미국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민족해방의 가치지향을 부추기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가치지향은 그것을 성취할 수 있는 조직의 문제와 함께 ‘당파성’에 대한 관심을 낳았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우리사회에서 부각된 ‘가치의식’ 및 ‘품성론’의 문제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입각한 것이라기보다는 우리사회의 특수한 처지에 의해 변형된 이데올로기적인 것이었다 이처럼 1980년대 우리사회의 가치지향은 마르크스주의사상과 어긋나면서 겹치는 것이었고, 그 가치지향은 마르크스주의가 쇠퇴한 모습을 보이는 오늘날에도 우리에게 윤리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계속 제기하고 있다.

      • KCI등재

        자살 사이트 및 안티 자살사이트의 생성 및 유지에 관한 심리적 측면들: 운영자들에 대한 면담 사례 연구

        문성원 한국상담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6 No.1

        The suicide sites were grouped into pro-suicide sites and anti-suicide sites, and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those sites were analysed in view of sites' masters.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a master of the suicide site and a master of the anti-suicide site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nts of interviews were analysed by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sites, and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of those masters. The suicide site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sychopatholgy of a site master, and the anti-suicide site was related with therapeutic experiences of both the master and users. But, the anti-suicide site was sometimes involved with the occurrences of the suicides because of the lack of knowledges and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potential dangerousness of suicide sites. The master of anti-suicide considered the conflict with the parents as a major source of suicide impulse, the adolescent as a major victim. The role of counseling psychologists with the suicide sites, prevention of suicide were discussed. 자살 사이트를 크게 프로 자살(pro-suicide) 사이트와 안티 자살(anti-suicide) 사이트로 분류하고 운영자의 관점에서 자살 사이트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공간과 오프라인 공간을 통하여 자살 사이트 운영자와 안티 자살 사이트 운영자에게 면담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자살 사이트 및 안티 자살 사이트의 생성 및 운영과정과 운영자 자신에 대한 내용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자살 사이트의 경우, 운영진들이 가지고 있는 정신 병리 수준이 사이트의 개설 및 운영과 관련이 깊었으며, 안티 자살 사이트의 경우는 안티 자살 활동을 통해 사이트의 방문자 뿐만 아니라 그 운영자도 치료적 체험을 하는 측면이 있었으나 운영자의 의도와 달리 사이트 설계 및 운영 방식의 미숙으로 인해서 자살을 촉발시키는 측면도 내포하고 있었다. 안티 자살 사이트의 운영자는 자살 충동을 느끼게 만드는 주된 문제 영역을 부모와의 갈등으로, 자살 사이트 방문과 관련된 주요 연령대는 청소년층이라고 판단하고 있었다. 자살 사이트 문제와 관련된 상담 심리학자의 역할, 자살 사이트 매개 자살에 대한 예방 교육,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계에 의한 자살 구호 체계의 개발, 자살 예방을 위한 또래 중심의 지지적 네트웍 개발 등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인터넷 자살 사이트에 의해 매개된 자살: 사례 중심의 탐색적 연구

        문성원 한국상담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자살 사이트를 매개로 한 자살 행동을 심리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현재까지 언론에 보도된 자살 사이트 관련 사례들을 일반적인 자살 연구의 결과들과 비교하여 개괄적으로 분석하였고, 연구 2에서는 자살 사이트 관련 자살시도자와 자살자를 중심으로, 이들이 자살 사이트 접속이전에 가지고 있던 심리적 변인들과 자살 생각이 실제로 자살 행동으로 옮겨지기까지의 과정에 대해서 심층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사이트 문제는 자살과 관련된 기제와 인터넷 상호작용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복잡하게 결합되어 발생한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정신 건강 서비스의 진화 방향 그리고 역기능적 인터넷 이용에 대한 위기관리와 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suicides mediated by internet sites about suicide in psychological aspects. Study 1 examined the suicidal cases involved with suicide sites in comparison with the cases not involved with the web sites. Study 2 explored the psychological variables before the suicide and the process of suicide mediated by the suicide web sites with the cases of a suicide attempter and a completer. Suicide mediated by suicide sites was the complicated matter that was interlocked b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on the web. Increased risk factors of suicide and the diverse roles of internet in modern society, the future paradigm of mental health service, and the need for the crisis intervention system on the web and the web based prevention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이웃과 정의

        문성원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레비나스의 철학은, 오늘날 반(反)목적론의 허울 아래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생존경쟁의 이데올로기와 선명하게 맞설 수 있는 철학이라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레비나스에 따르면, 존재와 존재의 유지가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인 윤리가 인간적 삶에서 우선적인 중요성을 가진다. 타자와 맺는 관계에 의해 비로소 나라는 주체가 성립하고, 그 후에 존재가 문제의 지평에 떠오르기 때문이다. 이렇듯 레비나스에게서 타자와의 관계는 존재 및 존재의 이해관계 이전 영역에서, 존재론의 지평 너머에서 맺어진다. 타자는 나의 응답과 책임을 요구하는 자로서 내게 호소하고 명령하는 얼굴로 다가온다. 이와 같은 마주 대함의 직접성에 대한 강조야말로 레비나스 철학의 강점이고 매력이다. 하지만 이 대면적 관계 중심의 윤리는 보편성과 관련해 해결해야 할 난점을 안고 있다. 레비나스가 대면적 책임을 정의로 놓던 초기의 관점을 제삼자(le tiers) 개념을 통해 비교와 균등의 측면을 도입함으로써 조정하게 된 것은 그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웃에 대한 책임의 윤리가 공평함의 정의로 보완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대면적 관계를 보편성의 문제와 화해시켜야 할 필요는 나 역시 타자로 대접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데까지 나아간다. 이런 요구를 대면적 관계의 비대칭성과 양립할 수 있게 해 주는 개념이 삼자성(illeité)이다. 그래서 레비나스에서 삼자성은 무한 자체의 대면성이자 비인격적인 신의 견지가 된다. The ethics of Emmauel Lévinas could be one of the most critical philosophies against Darwinism which plays as a powerful quasi-teleological ideology under the name of anti-teleology. According to Lévinas, it is not conatus or survival but the ethics that holds priority in our life. Prior to being and beyond the horizon of ontology, the other comes to me as a neighbor with a face, whose appeal I cannot avoid. However, the face-to-face relation with the other has some difficulties concerning the universality or equality of justice. To resolve them, Lévinas has to introduce the concepts such as 'the third' (le tiers) and 'illeity'(illeityé). This paper focuses their meanings and roles in the philosophy of Lévinas.

      • KCI등재후보

        한국판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K-SSRS:대학생용)의 타당도와 유용성

        문성원 한국상담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4 No.3

        This study explored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secondary level(SSRS-secon; Gresham & Elliot, 1991). The SSRS was translated into Korean(K-SSRS and administered to two samples of college students. And one sample of the subjects also completed CES-D-K, Loneliness Scale, OSIQ, SACQ. Factor analyses of the K-SSRS resulted in one general factor or four interrelated factors, 1 implying 'empathy', 2 'cooperation', 3 'self-control', 4 'assertion'. K-SSRS correlated negatively with depression and loneliness, and correlated positively with self-image and college adaptation. Implications of social skills in Korea, relation between social skills and adjustment and the planning of preventive interven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Gresham 과 Elliot(1990)의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Social Skill Rating System; SSRS)를 우리나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SSRS를 K-SSRS:대학생용으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60명에게 K-SSRS:대학생용을 실시하였는데,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요인 분석 결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4 요인이 추출되었다. K-SSRS:대학생용의 4 요인은, 공감, 협동성, 자기조절, 주장성으로 명명되었다. K-SSRS:대학생용과 적응 지표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97명의 대학생에게 K-SSRS:대학생용과 더불어, 우울감 척도, 고독감 척도, 자아상 척도, 대학 생활 적응 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K-SSRS:대학생용에 의해 평가된 사회적 기술은 우울감과 고독감에 대해서는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에 반해, 자아상과 대학 생활 적응에 대해서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한국적 의미의 사회적 기술 척도 개발과 예방적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응용적 의미가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