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법에서 무연고자 규정미비 등에 관한 법적 고찰

        문상혁 대한의료법학회 2023 의료법학 Vol.24 No.4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르면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의사가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명의료의 의사결정은 환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 본인이 연명의료에 대한 의사를 직접 서면이나 구두로 표시하거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자기결정을 행사할 수 있다. 반면에, 환자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나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환자 가족의 진술로 환자의 의사를 확인하거나 환자가족 전원의 동의로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족이 없거나 가족을 알 수 없는 무연고 환자인 경우에는 입원하기 전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의학적 상태로 되면 환자의 의사를 알 수가 없어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를 지속해야 할지 중단해야 할지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무연고환자의 경우에 연명의료결정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현행법상 무연고 환자에 대한 논의와 방안 검토했다. 첫째로, 성년후견인제도의 적용을 살펴보았지만, 성년후견인은 신체를 침해하는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를 대신할 수 있지만 의료행위의 직접적인 결과로 사망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의 허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임종과정에 있는 급박한 환자에게는 적절한 방안이라고 할 수 없다. 둘째로, 연명의료결정법 제14조에 따라 의료기관윤리위원회에서 무연고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관한 심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행법상에서는 의료기관윤리위원회에서 무연고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개정을 통하여 무연고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대한 사항을 동법 제14조에 반영하거나 무연고 환자에 대한 규정을 따로 신설하여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의료기관윤리위원회에서 무연고 환자에 대한 결정해야 하지만, 그런 결정을 하는 것에 대해서 해당 의료기관에서 할 수 없다면, 공용윤리위원회에서 무연고환자의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을 할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current act of Decision-Marking in Life-Sustaining Medicine, the decision to withhold or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is primarily based on the wishes of a patient in the dying process. Decision-making regard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for these patients is made by the patient, if he or she is conscious, directly expressing his/her intention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in writing or verbally or by writing an advance medical directive and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It can be exercised. On the other hand, if the patient has not written an advance medical directive or physician orders for life- sustaining treatment, the patient's intention can be confirmed with a statement from the patient's family, or a decision to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can be made with the consent of all members of the patient's family. However, in the case of an unrelated patient who has no family or whose family is unknown, if an advance medical directive or physician orders for life- sustaining treatment are not written before hospitalization and a medical condition prevents the patient from expressing his or her opinion, the patient's will cannot be known and the patient cannot be informed. A situation arises where a decision must be made as to whether to continue or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This study reviewed discussions and measures for unbefriended patients under the current law in order to suggest policy measures for deciding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case of unbefriended patients. First, we looked at the application of the adult guardian system, but although an adult guardian can replace consent for medical treatment that infringes on the body, permission from the family court is required in cases where death may occur as a direct result of medical treatment. It cannot be said to be an appropriate solution for patients in the process of dying. Second, in accordance with Article 14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we looked at the deliberation of medical institution ethics committees on decisions to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without family ties.Under the current law, the medical institution ethics committee cannot make decisions on discontinu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unbefriended patients, so through revision, matters regarding decisions on discontinu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unbefriended patients are reflected in Article 14 of the same Act or separate provisions for unbefriended patients are mad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amend new provisions. In addition, the medical institution ethics committee must make a decision on unbefriended patients, but if the medical institution cannot make such a decision, there is a need to revise the law so that the public ethics committee can make decisions, such as discontinuing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unbefriended patients.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가 보고이익의 질,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문상혁,이화진,지현미 韓國公認會計士會 2006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한국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와 보고이익의 질 및 경영성과와의 관련성, 기업지배구조와 관련된 보고이익의 질 및 경영성과와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을 2단계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법인 1,255개 기업-년을 대상으로 수행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사회 내 사외이사의 전문성 및 활동성이 높을수록, 외국인지분율이 높을수록 보고이익의 질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외이사의 전문성 및 활동성이 높을수록, 대주주1인지분율, 외국인지분율 및 기관투자자지분율이 높을수록 경영성과가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기업지배구조에 의해 설명되는 보고이익의 질과 경영성과가 기업가치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즉 지배구조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보고이익의 질 및 경영성과가 증가할수록, 기업가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규제당국이 제도의 효과적인 정착에 필요한 정책을 입안하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학계에도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간의 연결고리를 명확히 하는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quality of earnings and operating performance and whether the predicted earnings quality and operating performance due to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firm value.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1,255 firm-years) with December fiscal year listed on Korean Stock Exchange over 2000-2002.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quality of earnings and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outside director's proficiency and activity level, the quota rate of foreign investors). (2)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operating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outside director's proficiency and activity level, the quota rate of foreign and institutional investors). (3) There is als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irm value and the predicted earnings quality due to corporate governance, and between firm value and the predicted operating performance due to corporate governance. This study has meaning to offer the reason for proper of policy and to use for proof data to arrange efficiency system.

      • KCI등재

        의료관광 분쟁시 책임주체에 대한 검토

        문상혁 대한의료법학회 2016 의료법학 Vol.17 No.1

        의료관광은 21세기 새로운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각 국가마다 다양하고 차별화된 의료관광 상품개발로 의료관광산업은 더욱더 활성화 될 것이다. 이러한 의료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의료관광상품을 개발하고 홍보하기 위해서는 관광객의 수요와 관심분야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제공할 의료관광 상품을 준비해야 한다. 정부는 의료관광산업을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국가경제발전과 Global Healthcare산업 전문가 육성 등을 통한 고용창출에 대한 기대효과가 큰 산업으로 보고, 의료관광 분야의 지원정책을 확대하여 의료관광 출입국 제도 개선, 의료관광객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제도, 의료관광인력 양성 제도 등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외국인 환자와 의료관광 유치업자와의 분쟁이 발생하고 있으며, 외국인 환자와 의료인의 의료사고분쟁, 외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여행업 종사자들과의 분쟁 등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의료관광과 관련하여 유치업자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분쟁에 대한 유형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검토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의료관광 유치업자는 중개된 급부를 알선할 의무와 동시에 상당한 주의를 가지고 그 사무를 처리하여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개계약 성립 후에 적극적으로 중개결과에 이르기까지 소극적으로 대처하여 분쟁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또한 의료관광 중개계약에서 유치업자는 외국인환자에게 급부의 내용에 설명의무와 조언의무를 부담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외국인환자와 보건산업진흥원 “외국인환자 의료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제도 안내”를 보면, 외국인환자가 진료계약서 작성할 때 외국인환자에게 의료사고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우선적으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이 외국인환자를 보호하는데 충분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의료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와 관련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그에 대한 대처 방안도 사전에 마련해 두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수한 의료기술뿐만 아니라 외국인 의료관광객에게 신뢰를 바탕으로 더 커다란 발전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Medical tour can be said to be a new high added-value tour industry of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varied and distinguished medical tour products by each country will further vitalize the medical tour industry. As the interest in such medical tour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emand and interests of tourists accurately and prepare medical tour products to be provided in order to develop and promote medical tour products. The government considers the medical tour industry as an industry with high expected effects in job creation through promotion of experts in global healthcare industry and national economy development through high added-value creation, and has expanded aid policies in medical tour field with improvement of medical tour immigration system, one-stop service system for medical tourists, and medical tour labor force promotion system. Nevertheless, there are disputes between foreign patients and medical tour inviting businesses, along with medical accident disputes between foreign patients and medical staff and disputes with those working in the tourism industry. This article reviews the types of disputes occurring around the inviting businesses related to medical tours and tried to review the resolution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medical tour inviting businesses have the responsibility to connect the mediated benefits and risks and also the responsibility to process the tasks. Thus, in case dispute occurs due to passive actions from establishing agency agreement to active mediation results, it is difficult to escape the liabilities. Also, in a medical tour agency contract, the inviting business must be aware that it bears the responsibility to explain and advise the details on benefits and risks to foreign patients. The “Guide to arbitration system for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with foreign patients“ b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ct presents a method to resolve disputes according to the [laws on medical accident damage relief and medical dispute arbitration] in case a dispute due to medical accidents occurs to foreign patients when the foreign patients prepare diagnosis agreement, Whether such method is sufficient to protect foreign patients, however, is thought to require discussions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In order to vitalize medical tourism, the development of diverse products is also important, but the countermeasures against related disputes should also be prepared. Su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greater advancement based on trust of foreign medical tourists alongside excellent medical technologies.

      • KCI등재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바이오신약을 중심으로

        문상혁 대한의료법학회 2011 의료법학 Vol.12 No.1

        Humankind history is faced with one gigantic turning point due to development of Liv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Food production by means of LMO is on the acceleration in an effort to solve the shortage of food problems. Food is also used as alternative energy source. Use of LMO product is not only limited to food and energy, but is actively utilized in various fields of medicines. This paper is first to check out the state of biomedicine developed and associated problems from industries that use LMO, after which we made an attempt on legislative approach to find out means of relief, through examples of such laws legislated for the sufferer from the adverse effect of the biomedicine. As for the liable subject to bear th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ory damage in a way of relieving the victim owing to adverse effect of biomedicine, those who manufactured and sold biomedicine and who are related to the damage to the victim due to the accident and medical doctors and pharmacists who prescribe and administer the medicine in question have been looked into. Accidents involving medicines and medical supplies could take place without reason for imputation on part of the liable subjects or fault of the victim, in which case the victim can’t receive damage compensation from any of both parties. When such accidents happened turn out to be no fault accidents, introduction of damage relief measures might have to be reviewed against side effects of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as no fault compensation in order for actual relief to be possible. Talking about technicality of legislation, we can suggest a method of strengthening the accountability of manufacturer for stereotypical agenda on biomedicines by newly legislating special regulation with an issue that resists claim on risk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incorporating the same into Manufactured Product Liability Law. After all, when an accident happens associated with biomedicine, the damage will be done to the consumer. And the consumer will be exposed to fatal danger even without the time to cope with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they tak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potential victim by having the manufacturer of biomedicines bear the liability of medical risks.

      • KCI등재후보

        기업지배구조와 이익지속성 및 가치 관련성

        문상혁,박종국 한국회계정보학회 2005 회계정보연구 Vol.23 No.3

        This study examines how independent director in board of directors(BOD)and audit committee affect earnings persistence and pricing multiples on earnings. A characteristic of independent director in BOD and audit committee is subdivided to independency, specialty and activity. To measure of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 of independent director in BOD and audit committee and earnings persistence, the autocorrelation of earnings(Sloan 1996) is used. And also Ohlson(1995)model is used for measuring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 of independent director and audit committee in BOD and pricing multiples on earnings. The result of analysis by 1,249 non-banking firms(Audit Committee: 172) listed on Korean Stock Exchange over the period of 2000 - 2002, is as bellows. First, earnings persistence of the firm which has high ratio of independent director (Independency), also specialist like CPA, CTA, and Tax officer, professor(bin-min) in independent director(Specialty), attendance on BOD(Activity), is higher than others. Second, earnings persistence of the firm which has high ratio of independent director (Independency) on audit committee, also specialist like CPA, CTA, and Tax officer, professor(bin-min) in audit committee(Specialty), frequent meeting on committee(Activity), is higher than others. Third, as increase of independent director's specialty and activity on BOD, the pricing multiples on earnings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ast, as increase of Audit committee's independency, specialty and activity, the pricing multiples on earnings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documenting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of outside directors on the BOD and audit committee on earning persistence and equity valuation. 본 연구는 한국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사회 내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의 특성에 따른 효과성을 보고이익의 지속성과 이익에 대한 주가배수의 크기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의 특성은 독립성, 전문성, 활동성으로 각각 세분하였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의 특성과 순이익의 지속성간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Sloan (1995)의 순이익익 지속성추정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사회 내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의 특성과 이익에 대한 주가배수간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Ohlson(1995)모형을 사용하였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12월 결산법인 1,249개 기업-년(감사위원회표본: 172개 기업-년)을 대상으로 수행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사회에 사외이사의 비율이 높은 기업(독립성), 사외이사 중 회계사, 세무사 및 세무공무원 그리고 경영전공교수와 같이 재무 및 회계에 관한 전문지식이 있는 사외이사의 비율이 높은 기업(전문성), 그리고 이사회에 사외이사의 참석률이 높은 기업(활동성)의 이익지속성이 그렇지 않은 기업의 이익지속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사위원회에 사외이사의 비율이 높은 기업(독립성), 감사위원 중 회계사, 세무사 및 세무공무원 그리고 경영전공교수와 같이 재무 및 회계에 관한 전문지식이 있는 감사위원의 비율이 높은 기업(전문성), 그리고 감사위원회의 모임횟수가 많은 기업(활동성)의 이익지속성이 그렇지 않은 기업의 이익지속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사회의 독립성, 사외이사의 전문성 및 활동성이 높은 기업의 이익에 대한 주가배수가 그렇지 않은 기업의 이익의 주가배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사위원회의 독립성, 전문성 및 활동성이 높은 기업의 이익에 대한 주가배수가 그렇지 않은 기업의 이익의 주가배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일각에서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의 무용론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사회 내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의 구체적인 구성내용과 운영방법 즉 독립성, 전문성 그리고 활동성에 따라 이익지속성 달리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특성이 실질적인 보고이익의 질과 관련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따른 이익에 대한 시장참여자의 차별적 반응을 검증함으로써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이 기업의 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쳐 자원배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결산일 차이가 감사보수, 감사시간, 그리고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문상혁,최관,지현미 한국공인회계사회 2005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2 No.-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fiscal year-end on audit time, audit fee and audit quality. In a majority of Korean companies, the fiscal year ends on 31 December. The concentrated fiscal year-end gives rise to year-end auditing load. The heavy auditing load leads to an insufficient audit tim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audit failure. The concentration of fiscal year-end also affects audit fees. Audit fees are determined by the market mechanism of audit supply and demand. Even though audit quality is equal, the audit fee increases for fiscal year-end firms because the demand for audit service remains high in the year-end audit market.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 (1,444 firm-years) observations from 2001 to 2003 that disclosed to the public audit time, audit fee and financial statements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1) December-31 year-end firms reported shorter audit time than others and that (2) December-31 year-end firms paid higher audit fees than others. However, we could not find the evidence supporting the linkage of fiscal year-end with the audit quality 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level of audit quality between December-31 year-end firms and others. 본 연구는 피감사기업의 결산일이 감사인의 감사시간과 감사보수 및 감사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기업의 결산일은 대부분 12월말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결산일의 집중은 감사인의 연말감사업무 부하를 가져오게 된다. 감사인은 이러한 감사업무의 부하로 인해 충분한 시간을 감사업무에 투입하지 못하게 되어 부실감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결산일의 집중은 감사보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경제학적으로 보면 감사보수는 감사수요와 공급 그리고 감사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만약 감사인이 제공하는 감사품질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연도 말에 감사수요가 많으면 그만큼 감사보수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2001년부터 2003년 사이에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결산일 차이가 감사시간과 감사보수 그리고 감사품질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월 결산기업에 대한 감사시간이 다른 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초에 감사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집중되어 있는 12월 결산기업에 대한 감사보수가 다른 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2월 결산기업과 다른 기업들 간에 감사품질의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결산일 집중으로 인해 12월 결산기업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시간 투입이 적다고 하더라도 감사인은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소송위험이나, 이러한 소송으로 인해 감사인의 명성이 훼손될 위험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감사품질을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회계 실무계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기업간 결산일의 차이와 감사시간, 감사보수 및 감사품질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감사인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는 결산일 집중화현상을 완화시키자는 주장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를 실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향후 감사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또한 결산기 집중으로 인한 회계감사의 부실화에 대하여 우려하고 있는 투자자들이 회계정보의 질을 평가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확정급여부채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문상혁,김상헌 한국산업경영학회 2020 경영연구 Vol.35 No.2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labor unions on the value relevance of defined benefit liabilities where managerial discretion is exercised.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the defined benefit liabilities, like other general liabilit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firm value.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 qual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various decision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defined benefit pla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union and ability to pay off plan assets, which is a direct stakeholder of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will have different value relevance in the stock market because i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fined benefit liab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labor unions, the negative value relevance of the stock market on defined benefit liabilities is mitigated. (2) In addition, unfavorable evaluations of the stock market for defined benefit liabilities were observed for firms that were not affiliated to higher unions.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ock market valuation of the controllability of managers' managerial discretion regarding retirement benefit polic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labor unions. (3) The ability of the firm to pay off plan assets affects the differential value relevance of defined benefit liabilities in the stock market. Also, in order to confirm the robustness of the analysis results, we controlled the self-selection bias in the study model. In addition, we use the stock price return variable instead of stock price variable. As a result of additional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n academic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study on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tirement benefit system after the introduction of K-IFRS. There is also a practical contribution in that it attempts to find new ways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in areas that may be affected by managerial discretion. 본 연구는 경영자의 재량권이 개입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확정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에 노동조합과 기업의 사외적립자산의 납입능력 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다른 일반부채와 같이 확정급여부채의 경우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정급여형제도(DB)의 도입 및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의사결정에 기업지배구조 및 감사품질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퇴직연금제도의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노동조합의 존재와 기업의 사외적립자산의 납입능력은 기업들의 재무건전성과 당기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확정급여부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식시장에서도 차별적 가치관련성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분석결과 노동조합이 존재하는 경우 퇴직급여정책과 관련된 경영자의 재량권에 대한 통제가능성의 증가로 인해 확정급여부채에 대한 주식시장의 음의 가치관련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노동조합에 가입되지 않은 기업일수록 확정급여부채에 대한 주식시장의 비우호적인 평가가 관찰되어 퇴직급여정책과 관련된 경영자의 재량권에 대한 통제가능성에 대한 외부평가자의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기업의 사외적립자산 납입능력에 따라 확정급여부채의 사외유출가능성 등에 차이가 존재하여 주식시장에서 확정급여부채의 차별적 가치관련성도 확인되었다. 한편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동조합 가입여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기선택편의(self-selection bias) 효과를 통제한 경우와 주가수준 대신 주가수익률 자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분석을 수행한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연구결과의 신뢰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확정급여부채의 가치관련성 문제를 노동조합 측면에서 직접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학문적⋅실무적으로 차별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