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원정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사교육 공급에 관한 분석

        문상균 ( Sanggyun Moon ),배한나 ( Hannah Bae ),최재성 ( Jaesung Choi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3

        학생들의 사교육 이용은 사교육 수요뿐만 아니라 사교육 공급에도 영향을받는다. 따라서 인구학적 특성과 지역에 따른 교육 기회의 격차를 이해하고,교육 정책의 개발 및 효율적 집행을 위해서는 사교육 공급 측면을 정확하게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나이스 학원 민원서비스를 통해 공시되는 서울에 소재한 모든 학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web scraping)하고, 공시 자료에 포함된 개별 학원의 주소와 학원에서 제공하는 수업 정보를 활용하여 서울시 사교육 공급의 공간분포를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지역 과목특성 학교급별 차이에 주목한다. 분석의 결과, 서울시 사교육 공급은 소수의 행정동을 중심으로 매우 집중되어 있으며, 행정구 사이의 격차뿐만 아니라 동일 행정구에속한 행정동 사이의 격차도 현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행정구 수준에서는 상대적으로 사교육 접근성이 낮은 지역으로 분류되더라도 해당 행정구 내에서는 사교육 공급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행정동이 존재함이 드러났다.분석대상을 고급 과목으로 한정하여 살펴보면 전체과목을 대상으로 분석한결과와 비교할 때 지역에 따른 사교육 공급 격차가 보다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학교급별 사교육 공급의 차이를 살펴보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의 경우가 중학생이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 비하여 지역에 따라불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확인된 지역별 사교육공급의 격차는 사교육 소외 지역에도 양질의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여 교육 기회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을시사한다. The use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is affected not only by demand but also by supply of those progra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upply side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gap in the use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across demographic groups and also its geographic variations. It would be also helpful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 policies and their successful implementation. For this study, we scrapped information on private tutoring institutes, Hagwon, disclosed on the website administer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Exploiting this unique data set which contains exact location of entire private tutoring institutes and program details offered by them, we examin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agwon and their programs in Seoul. We paid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across administrative boundaries,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level of school. We find that supply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in Seoul is highly concentrated around a small number of Haengjeong-dong, and that there is also a substantial variation in the supply of those programs across Haengjeong-dong within the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In addition,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 is at least a core Haengjeong-dong which performs a dominant role as a main supplier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Furthermore, when we narrow our analytic sample to more selective or advanced programs, the access gap across administrative boundaries gets more pronounced. Lastly, programs targeted for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unevenly distributed across administrative boundaries compared to those targeted for middle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geographical access gap to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especially striking for selective and advanced ones, calls for policy efforts to reduce the gap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by providing alternative chances for students living in areas where there are insufficient supply of quality programs.

      • KCI등재

        중고령층 자영업 이탈 요인 분석: 자영업 이탈 이유를 중심으로

        문상균 ( Sanggyun Moon ),박세정 ( Sae Jung Park ) 한국노동경제학회 2020 勞動經濟論集 Vol.43 No.3

        본 연구는 중고령층 자영업 이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자영업 이탈 이유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고령화 연구 패널(KLoSA)의 1∼6차 및 직업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영업 이탈 이유 중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해 이탈한 집단이 다른 이유로 이탈한 집단보다 경제적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큼에 따라 이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모형으로는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한 이탈만을 실패로 정의하는 경쟁위험회귀모형(competing risk regression models)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자영업 이탈 요인으로 알려졌던 성별, 연령, 학력 변수의 유의성이 사라졌다. 반면 동종 산업 경력이 자영업 이탈 위험률을 낮추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과 실업에 직면할 위험이 큰 자영업 이탈을 방지 하기 위해서는 동종 산업 내 경력이 부족한 채로 자영업을 시작하는 중고령층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self-employment exits among the middle-aged and senior adults. For the analysis, we used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from the first(2006) to the sixth(2016) and vocational data, which is a retrospective data surveyed in 2007. Among the reasons for exiting the self-employment, we find that the group that went out of their businesses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were more likely to have economic difficulties after the exit. Therefore,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self-employment exits considering the exit reason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The analysis model used a competing risk regression model that defined the only exit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as failures.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of gender, age, and education variables, which were well known as determinants of exiting the self-employment, disappeared. On the other hand, we find that the prior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tended to lower the risk of exiting the self-employment. To summarize the results, we suggest that we need some ways to help the middle-aged and senior adults who start their own businesses without any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to prevent them from failures.

      • KCI등재

        AHP를 이용한 산지습지 가능지역 평가

        문상균 ( Sang Kyun Moon ),구본학 ( Bon Hak Ko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potential area of mountainous wetland by GIS an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ountainous wetland is topographically located at high altitude, so it`s difficult to approach for researchers. And, it`s difficult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because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of mountainous wetland. Therefore, it`s necessary to study on potential area of mountainous wetland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investigation. This research selected slope, wetting index, land-cover map and soil map as assessment items indicat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wetland and established them by GIS DB. And, spatial value of mountainous wetland for each assessment item was drawn by existing investigation data and overlap analysis of mountainous wetland. Based on the numerical results of each assessment item, a survey was conducted and relative importance for each assessment item was decided by AHP. As the result, slope was the highest as 0.550 and ground coverage was the lowest as 0.083.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Yangsan-si and Ulsan of Gyeongnam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for mountainous wetland in those research areas. As the result, all of wetland wa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potential area. And, field survey and literature 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point that the distribution of mountainous wetland is expected. As the result, mountainous wetland was distributed. Therefore, mountainous wetland should be excava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it should be helpful for effective investigation as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to the following studies on mountainous wetland.

      • KCI등재

        한국 내륙습지 경계설정에 대한 제언

        문상균 ( Sang Kyun Moon ),구본학 ( Bon Hak Ko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7 No.2

        Systematic management of wetlands should be a priority to build the data for the extent and distribution of wetlands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there are no clear guidelines for the wetland boundary delineation, so researchers have to determine the boundary of wetlands in each different way. As a result,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e extent and distribution of wetlands. This study proposes applicable criteria of setting boundary of wetlands which consider their wetland vegetation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etland classification. The proposed site in this study is selected wetlands that represent each wetland type and have been ecologically well preserved like the wetland protected areas. GIS data for setting the boundary of wetlands selected were land-cover maps, aerial photographs,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In this study, ``wetland unit determination`` of the Washington State Wetlands Rating System(WSDE, 1993) and the concept of ``Wetland and Deep-water Habitats`` was suggested by Wetland Delineation Manual(USACE, 1987) were used as criteria for setting the boundary of wetlan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oundary of wetlands could be, in general, set consistently. Also, it seemed possible to set systematic and standardized boundary of wetlands and to provide more objective data for establishing national wetland policies, if maps of wetlands are made and an investigation of wetlands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 KCI등재

        특성화고 출신 고졸 여성의 선취업 후진학 선택에 관한 분석

        문상균(Sanggyun Moon),최재성(Jaesung Choi)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여성연구 Vol.94 No.3

        본 연구는 특성화고를 졸업한 후 취업을 선택한 청년여성들의 취업 이후대학진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청년여성의후진학 경로를 추적하기 적합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을 이용하였다. 또한고졸 취업자와 대졸 취업자 간의 임금격차가 후진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함께 이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고졸 취업자의 후진학 경로선택에는 고등학교 시기의 성적과 상용직여부, 4대보험 가입 여부 그리고 취업자가 경험하게 되는 학력 간 임금격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성적이좋을수록 후진학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으며, 상용직이 아니거나 4대보험이보장된 일자리에 종사할수록 이듬해 후진학을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아울러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는 취업자가 경험한 학력 간 임금격차가 클수록 후진학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점을 종합하면, 특성화고를 졸업한 고졸 여성 취업자의 후진학 선택은 자신의학업능력과 일자리 상황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일자리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대졸자와의 임금격차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있다. Focusing on women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 this study examines their decision to enter labor market first and go to college later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We use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KEEP) to track their path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and to obtain their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job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also us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to calculate a wage premium of college graduates across industry compared to those who graduated vocational high school. We emplo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or the analysis. We find that a young woman is more likely to choose delayed entry into college if her high school GPA is higher, if current employment status is less stable, if four social insurances are provided at work, and if the relative wage gap by educational attainment is larger. Overall, a decision to enter labor market first and go to college later among women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 is closely related to not only their academic ability and job characteristics, but also to labor market conditions such as wage premium of college graduates experienced at work.

      • KCI등재
      • 여성관리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이 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진하,문상균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Vol.2018 No.9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의 관리자 역할과 모성보호 제도 사이의 갈등을 주목하는 동시에 이들이 속한 조직 환경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에 여성관리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과 차별 인식 간 관계, 그리고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과 성과제도 간 상호작용이 차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여성관리자패널조사 3~6차 자료를 결합하여 임의효과(random effect) 모형을 적용한 패널로짓(panel logit)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이전 조사와 현 조사시점 간 간격인 2년 이내에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모두 사용하면 두 휴가를 모두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인사고과 평가 및 승진에서 차별을 인식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업의 성과제 도입은 차별인식의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산휴가ㆍ육아휴직 사용과 성과제의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이의 교호항을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성과제가 도입된 상태에서 두 휴가를 함께 이용한 경우는 두 휴가의 사용 없이 성과제만 도입된 경우보다 차별을 인식할 확률이 더욱 높아져, 성과제하에서의 출산휴가ㆍ육아휴직은 여성관리자의 차별인식을 심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출산휴가ㆍ육아휴직 사용에 의한 차별인식은 여성관리자의 역할 수행 의지와 조직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키고, 결국 조직의 생산성과 효율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차별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성과 중심의 체계 및 관리 방식뿐만 아니라 조직이 다양성과 이질성을 수용하도록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여성관리자의 모성보호휴가 사용과 평가 및 승진차별 인식에 관한 연구

        김진하,문상균 한국여성경제학회 2019 여성경제연구 Vol.16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 at the same time, we raise the need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they belong to. This study analyzed association between the use of maternity leave or parental leave and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aternity leave and performance-based incentive program influences discrimination perception. We use “Korean Women Manager Survey” and employ Panel logit analysis using a random effects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y more likely to recognize discrimination in evaluation if they use both maternity leave and parental leave. Also, the performance-based incentive program is the main factor for discrimination perception of promotion and evaluation. Second, the probability of recognizing discrimination is higher when they use family leave with performance-based incentive program than when they have performance-based incentive program only. Third, the more rigid or performance-based corporate culture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recognizing discrimination of promotion and evaluation i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a need to improv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mbraces diversity and heterogeneity under performance-based incentive programs to reduce discrimination perceptions.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의 관리자 역할과 출산 및 양육자 역할 사이의 갈등에 주목하고 여성관리자가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사용하였을 때 평가 및 승진에서 차별을 인식하였는지를 탐구한다. 또한 이들이 속한 조직 환경을 고려하기 위해 두 휴가의 사용과 성과급제도 도입 간 상호작용이 차별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여성관리자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임의효과모형을 적용한 패널로짓 분석을 시행한 결과 첫째,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모두 사용하면 두 휴가를 모두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평가차별을 인식하였다. 둘째, 성과급제도가 도입된 상태에서 두 휴가를 함께 이용한 경우는 두 휴가의 사용 없이 성과급제도만 도입된 경우보다 차별을 인식할 확률이 더욱 높아졌다. 셋째, 기업의 조직문화나 인사관리 방식이 경직적이거나 성과 중심적일수록 여성관리자가 평가 또는 승진차별을 인식할 확률이 높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가 모성보호휴가 사용으로 인해 여성으로서 차별을 인식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성과 중심 체계 하에서도 다양성과 이질성을 수용할 수 있는 조직문화와 인사관리 방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