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음악자료의 분류와 활용 방안 연구 -한국근현대음악관을 중심으로-

        문봉석 ( Bongseok Mu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3

        본 논문은 한국근현대음악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근대 음악자료의 분류와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주요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 음악자료는 당시 존재한 음악 갈래를 기준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보고, 한국근현대음악관의 소장자료를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일본음악으로 구분하되, 후자는 다시 학교음악(창가), 악대음악(군악대, 양악대), 대중가요(트로트, 신민요), 예술음악(가곡, 기악곡), 독립가, 시국가 등으로 범주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종 자료형태는 기록학적 기술 방식에 따라 기록유형으로 대상화하고, 동영상, 음향, 텍스트, 이미지, 복합 등으로 재분류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밖에도 근현대 음악자료에는 박물관, 아카이브, 도서관 자료가 망라되어 있는 만큼, 이 같은 특성에 기반한 통합적 메타데이터 개발을 제안하였다. 둘째, 자료의 활용 방안으로는 근대 음악 문헌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근대 음악교과서 DB구축과 전시 방안’, 음향 자료의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근현대 음향자료의 통합적 서비스를 위한 ‘음향 자료의 디지털 변환과 연계방안’,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온라인 중심의 문화적 흐름에 발맞추기 위한 ‘이미지 자료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 방안’, 자료의 보완과 외연 확장을 위한 ‘자료 수집 전략 방안’과 전시와 공연의 연계를 위한 ‘공연·축제 프로그램 기획 방안’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lassific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music material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Korean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Music. The main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modern music materials can be classified into school music, band music, popular songs, artistic music, and independent songs based on the musical genres that existed at the time.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data types be reclassified into video, sound, text, image, composite, etc. according to the documentary description method. In addition, since modern and contemporary music materials include materials from museums, archives, and libraries, integrated metadata development was propos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Second, as a way to utilize modern music materials, we will focus on building a database of modern and contemporary music textbooks and exhibition plans, digital changes and linkage of sound material, online exhibition plans using image material, collection strategy plans, and performance/ festival program planning.

      • KCI등재

        2015 개정 음악교과서의 판소리 교육 현황과 단계별 학습 목표 연구

        문봉석 ( Mun Bongseok )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5 No.-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판소리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여기서 도출된 문제점들을 개선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학년군에 따른 단계별 학습 목표를 제시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행 교과서 제작의 지침이 되는 2015 개정 교과과정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3~4학년의 생활화 영역을 제외하면, 모든 학년군의 모든 영역에서 판소리 제재가 가능하였고, 특히 일부 성취기준은 판소리의 음악적 요소를 활용했을 때 학습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제작된 현행 개정 교과서들의 학습 목표에서는 첫째, 해당 학년 또는 영역의 성취기준을 벗어나도록 학습목표가 제시된 점, 둘째, 판소리의 주요 학습 활동이 특정 학년의 특정 영역에 지나치게 집중된 점, 셋째, 판소리와 관련성이 높은 성취기준임에도 판소리 관련 학습 목표가 제시되지 않은 점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년군에 따른 단계별 학습 목표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초등 3~4학년은 음악 요소의 이해, 판소리의 극음악적 성격, 초등 5~6학년은 음악 요소의 심화, 판소리의 이면, 판소리의 지역별 유파, 중학교 1~3학년은 음악 및 음악극 만들기, 장단과 추임새 넣으며 감상하기, 판소리와 연관 장르의 비교, 판소리의 더늠과 명창, 세계속 판소리의 위상과 가치 등을 단계별로 학습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P'ansori education for the 2015 revised music textbooks, and suggested learning goals for each grade level as a way to improve them.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is a guide for the production of current textbooks, P'ansori sanctions were possible in all areas of all grade groups, except for the areas of daily life in elementary school 3-4.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when the musical personality is used. Compared to the positive chang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vised textbooks produced based on this ha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learning goals were suggested to deviate from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relevant grade or area. Second, the main learning activities of P'ansori were too concentrated in specific areas of a specific grade. Third, despite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P'ansori, no learning objectives related to P'ansori, were present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set learning goals for each grade level. Accordingly, it was proposed as follows; Elementary 3rd~4th graders - ‘Understanding musical elements’, ‘P'ansori's dramatic characteristics’. Elementary 5th~6th graders - ‘Deepening music elements’, ‘The backside of P'ansori’, ‘P'ansori's regional schools’. Middle school 1st~3rd graders - ‘Making music and music theater’, ‘Listening to the song while playing the beats and adding Ch'uimsae’, ’Comparison of P'ansori and related genres’, ‘Tŏnŭm and prestige of P'ansori’, and ‘The status and value of P'ansori in the world’

      • KCI등재

        국립부산국악원 연구사업의 성과와 과제

        문봉석 ( Mun Bongseok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3 공연문화연구 Vol.- No.46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22년까지 국립부산국악원이 진행한 연구사업의 성과와 향후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립부산국악원은 개원 이래 『국립부산국악원총서』 발간(8종), 『영남공연예술자료집』 발간(5종), 영남의 악가무 기초자료 목록화(2회, 명창·명무 46명), 복합매체 국악사전 제작(부산편), 국제학술회의 개최(9회) 등의 연구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를 통해 주요 인물들의 삶과 공연활동을 정리하였고, 전승 악보와 대본을 기록하였으며, 영남 지역 판소리 명창과 명무와 관련한 종합정보를 구축하고, 아시아 민족음악학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기존 사업의 보완점으로 『국립부산국악원총서』는 주제사 연구로의 전환, 『영남공연예술자료집』은 중장기적인 연구 계획 수립, ‘영남의 악가무 기초자료 목록화’ 사업은 자료 수집의 확대와 전국적 서비스, 국제학술회의는 연구 범위의 확대 및 지자체와 연계성 강화, 복합매체 국악사전 『영남 전통예술』은 본원 사전 제작과 연계 추진 등을 지적하였다. 향후 연구사업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부산의 춤’에서 ‘영남의 국악’으로의 연구 범위 확장, 지역의 관점에서 부산 국악사 서술, 영남 춤 반주음악의 복원과 고증, 영남지역 국악 자산의 교육 콘텐츠 화, 자료 관리의 체계화와 DB구축, 국제학술사업의 확장 등을 제시했고, 이로부터 신규 연구사업 과제로 영남지역 국악 자산 발굴 조사, 국악자료 수집 및 DB구축, 부산국악사 편찬, 영남 춤 반주 복원 연구, 실감 체험 및 디지털열람 콘텐츠 개발 연구, 영남 국악 교육교재 개발, 『아시아태평양 민족음악 연구』 학술지 발간 등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from 2008 to 2022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The main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Since its opening, Since its opening, the Busan National Gugak Center has been promoting projects such as 『Research Series by BNGC』(8 volumes), 『Source Material the performing Arts in Korea’s Southest Yeongnam Region』 (5 volumes), ‘Yeongnam's basic list of music and dance’ (2 times, 46 people), complex media Gugak Dictionary 『Yeongnam Traditional Art』(Busan episode) an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9 times). The complementary points of the existing project are mentioned as follows. The 『Research Series by BNGC』 should be converted into a subject history study. The 『Source Material the performing Arts in Korea’s Southest Yeongnam Region』 needs to establish a long-term research plan. The 'Yeongnam's basic list of music and dance' project should expand data collection and be serviced nationwide.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ademic Affairs should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and seek links with local governments. The complex media Gugak Dictionary 『Yeongnam Traditional Art』 should be linked to the pre-production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projects,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from Busan Dance to Yeongnam Gugak, describe Busan Gugak history from a regional point of view, restore and prove Yeongnam dance music, make educational content of Yeongnam Gugak assets, systemize data management and DB construction, and publish international jour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