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하리 논에서의 2002년 생장기간의 CO2와 에너지의 교환

        문병관 ( Moon Byung Kwan ),홍진규 ( Hong Jin Gyu ),이병렬 ( Lee Byeong Lyeol ),윤진일 ( Yun Jin Il ),박은우 ( Park Eun Woo ),김준 ( Kim Joo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5 No.2

        한국 내 농경지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논은 아시아의 주요 농업 생태계의 하나이다. 논은 대기로부터 CO₂를 흡수함과 동시에 CH₄형태로 탄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데, 관개 상태에 따라 흡수와 방출의 상대적 크기가 달라져서 온실 기체의 전구 수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온실 효과와 관련하여 논의 현재 및 미래의 역할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농업 생태계에서의 CO₂와 에너지 교환을 정량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벼의 전체 생장 기간동안 한국의 전형적인 논에서의 에너지와 CO₂ 교환과정을 관측,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2002년 4월부터 한국 타워 플럭스 관측 지역망(KoFlux)에 속한 강화도 하리의 논에서 CO₂ 및 에너지 플럭스 관측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다양한 보정 단계와 처리 과정을 거친 관측 자료를 통해, 논가 대기간의 CO₂ 교환량을 정량화하고, 이를 미기상학적, 생물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날씨 변화와 더불어, 지표 피복 변화와 식물의 생장 단계에 따라 CO₂ 교환량이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국내 논에서의 전 생장 기간에 걸친 에너지와 CO₂ 교환에 관한 최초의 직접 관측 보고인 본 연구는, 아시아 플럭스망(AsiaFlux)내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지면 모형의 보정과 개선, 전구 생지화학적 순환에 대한 논의 역할, 그리고 생물-대기 상호 작용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Rice, which occupies about 60% of the farmland in Korea, is a staple crop in Asia. It not only absorbs CO₂ from the atmosphere, but also emits carbon in a form of CH₄. It has a potential role in the global budget of greenhouse gases because of its relative contributions of carbon absorption and emission associated with changing hydrologic cycle. To better understand its current and future role, seasonal variations of energy and CO₂ exchange in this critical ecosystem need to be quant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document and understand the exchange of energy and CO₂ in a typical rice paddy in Korea throughout the whole growing season. Since late April of 2002, we have conducted measurements of energy and CO₂ exchange in a rural rice paddy at Hari site, one of the Korea regional network of tower flux measurement (KoFlux). After the quality control and gap-filling, the observed fluxes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micrometeorology and biophysics. CO₂ and energy exchanges varied significantly with land cover changes (e.g., plant growth stages), in addition to changes in weather and climate conditions. This study, reporting first direct measurement of energy and CO₂ exchange over a rice paddy in Korea, would serve as a useful database as one of the reference sites in AsiaFlux and FLUXNET.

      • KCI등재

        순복사계의 야외 상호 비교 및 보정

        문병관 ( Moon Byung Kwan ),류상범 ( Ryoo Sang Boom ),윤용훈 ( Youn Yong Hoon ),임종환 ( Lim Jong Hwan ),김준 ( Kim Ju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5 No.2

        순복사는 지표 에너지 수지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중 하나이다. 순복사의 정확한 관측을 위해,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순복사계 보정이 요구된다. 플럭스 관측에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타입의 대표적인 순복사계(Q-7.1과 CNR1)의 상호 비교 및 보정 실험이 약 4개월 간격으로 두 차례 시행되었다. Q-7.1과 CNR1간의 차이는 7.7% 이내였고, 표준 기기와의 보정 후 오차는 3.2% 이내였다. 순복사계의 반응 차이와 보정계수는 대기 상태, 특히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주기적으로 보정된 Q-7.1은 CNR1을 대체하여 장기 관측에 사용될 수 있고, 보정 주기로는 4-6개월이 권장된다. Net radiation (Rn)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components in surface energy budget. For an accurate measurement of Rn, periodic and consistent calibrations of net radiometers are required. With a 4-month time interval, two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ter-compare and calibrate two types of net radiometers (the Q-7.1 and the CNR1), widely used in flux measurements. Differences between the Q-7.1 and the CNR1 net radiometers were within 7.7%, and the errors after calibration against the standard net radiometer were <3.2%. Radiometric responses and calibration factors appeared to have changed with sky conditions, especially temperature difference with season`s progress. We concluded that the periodically calibrated Q-7.1 can replace more expensive, more accurate CNR1 net radiometer for long-term field measurements, providing that field calibrations of net radiometers are performed every 4 - 6 months inter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