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통합을 위한 중앙 아시아 국가들간의 협력과 경쟁

        문명식 서경대학교 1995 論文集 Vol.23 No.1

        1993년 1월 3일과 4일 이틀 간 열린 타쉬켄트 정상회담에서 중앙아시아 5개국 국가 원수들은 5개국간의 합의 이행을 보장할 기구의 창립: 통일된 관세, 가격, 그리고 수출 정책을 실시하는 중앙아시아 공동시장(Centraln Asian Common Market)의 창립: 대사의 교환, 공동 정보 지역(Common Information Region)을 위한 Mess Media의 창설에 합의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5개국을 포괄하는 지역을 구 소련의 유산인 Cpeдная Азия и Казахстан(Sredniaia Aziia i Kazakhstan, Middle Asia and Kazakhstan) 대신 Центрая Азия(Tsentral'naia Aziia, Central Asia)로의 명칭 변경을 천명했다. 이러한 5개국 정상들의 경제통합 및 지역통합체 구성에 대한 합의는 러시아, 이란, 터어키, 중국뿐만 아니라 서방 국가들에게 많은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러시아와 서방의 언론들은 타쉬켄트 정상회담의 합의를 실질적인 중앙 아시아 국가연합의 수립을 선언한 것이라고 해설했다. 중앙아시아 5개국이 현재의 유럽연합이 EC을 거쳐 EU로 발전한 것처럼 중앙아시아 공동시장에서 중앙아시아 국가연합 또는 연방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냐? 아니면 합의에 그치고 러시아의 맹주의 지위와 주도적 영향력을 인정하는 CIS의 회원국으로 남아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구 소련의 붕괴로 갑자기 주권 독립국가가 된 중앙 아시아의 회교국가들이 수세기만에 획득한 독립을 유지하고 정치, 경제 지역 통합체로 발전할 전망은 당분간은 그리 밝지 못하다. 민주적 정치체제가 아직 정착되지 않아 정치불안이 계속되고 있고, 구소련의 구성 공화국간의 경제 협력 관계의 와해로 경제난을 겪고 있으며, 이웃 국가들과의 국경분쟁, 국내의 소수민족 간의 분쟁으로 국가 안보는 취약한 상태이다.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을 유지하면서 독자적으로 발전할 방법으로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ECD, CSCE, IM, IBRD와 같은 국제기구에 가입하고 지역 통합체로서 중앙아시아 연방의 수립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각국의 이해관계의 차이, 주변 강국인 이란과 터키의 그 지역으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경쟁, 중국의 이들 국가들과의 경제협력 확대, 그리고 지역맹주로서 다은 외국의 침투를 차단하고 독점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러시아의 의도 등이 서로 맞물려 '중앙아시아' 라는 지역통합을 이루려는 중앙아시아의 정치 지도자들의 외교적 노력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중앙아시아'라는 지역 통합의 수립에 대한 5개국간의 입장차이, 터키와 이란의 중앙아시아 정책목표, 그리고 러시아의 정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중앙아시아 회교 국가들의 정치적 안정, 경제개혁의 성공, 국가안보확보, 독립유지를 성취하는데 바람직한 대.내외 정책을 분석하고 중앙아시아의 미래를 전망해 보는데 있다.

      • 체첸전쟁과 북카프카스 지역의 민족문제

        문명식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0 유라시아연구 Vol.1 No.1

        체첸전쟁과 북카프카스의 민족문제는 러시아 연방의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다. 북카프카스 지역의 공화국마다 구체적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북카프카스 지역의 민족문제에 공통으로 완전히 들어맞는 이론은 없다. 체첸 공화국의 경우에 러시아의 팽창주의적 민족주의에 직면하여 민족의 존립에 위협을 느낀 체첸인들의 저항적 민족주의가 이슬람에 토대를 둔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끈질기게 저항해왔고, 이것을 억압하려는 러시아의 패권주의적 민족주의가 서로 상승작용을 하는 상호작용적 민족주의의 악순환이 반복되어 왔다. 체첸전쟁은 북카프카스 민족문제의 핵심이다. 체첸 공화국을 제외하고 다른 북카프카스 공화국들이 막대한 희생을 감수하면서 성공이 보장되지 않은 분리 · 독립운동을 감행할 가능성은 적다. 연방에서의 이탈을 주도할 민족주의 세력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민족주의 운동에 적합한 사회 · 경제 · 문화적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북카프카스 지역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 러시아는 어떠한 회생을 치를지라도 체첸 공화국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체첸 공화국의 독립을 허용할 경우에 분리 · 독립의 도미노 현상이 북카프카스 지역으로 확산되어 200여 년 동안 이 지역을 유지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고 다른 민족공화국이나 자치 행정지역에 영향을 미쳐 자치권 확대운동으로 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체첸인들 역시 결코 러시아 연방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저항운동을 포기하지 않고 투쟁을 계속할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와 체첸 공화국 간의 긴장은 금세기에도 지속될 것이다.

      • KCI등재

        연해주의 문화 인류학과 한·러 관계 : 여러 민족간의 관계와 한·러 경제협력 Mutual Relations among Ethnic Groups and Korea-Russia Economic Cooperation

        문명식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4 평화연구 Vol.12 No.1

        연해주의 역사, 자연환경과 지리적 특징, 연해주에 대한 한민족의 역사적 연고, 민족간의 관계를 분석한 다음에 한-러 관계의 틀 내에서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 발전할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연해주에 대한 투자와 여러 국가들이 참여하는 다자간 경제협력의 방안들을 살펴보았다. 연해주의 역사는 한국의 고대사, 중세사, 근세사, 현대사, 그리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다. 한ㆍ소, 한ㆍ러 국교가 열린 이후부터 연해주는 동북아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의 중심지로 부각되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가 아ㆍ태 지역으로 진출하기 위한 관문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연해주의 지정학적ㆍ지경학적 위상의 변화에 따라 연해주의 민족구성의 변화가 일어났다. 새로운 기회를 찾아서 연해주로 몰려든 여러 민족간의 관계는 복잡해졌고, 정치ㆍ경제ㆍ사회적 변화에 따라 여러 민족간에는 협력과 화합이 이루어 질 수도 있고 반대로 갈등과 분쟁이 일어날 수도 있다. 동북아의 물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이 완비될때 연해주는 동북아의 경제교류와 발전의 중심지로의 연해주의 번영은 보장될 것이다. 이러한 날이 올 때에 대비하여 한국정부와 민간단체와 기업들은 단견적인 지원이 아니라 한인들 간의 유대의 토대가 되는 한민족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한 민족 문화의 발전과 한글교육에 필요한 시설, 농업분야에서의 합작 사업, 그 밖의 다른 산업에 투자 증대 등에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verview the cutural anthropology of Primorski kraiand analyse Korea-Russia relations. Accordingly, this paper deals with the history, geography, geopolitics, relations among ethnic groups, economic and cultural life of those ethnic groups, the overview and prospect of Korea-Russia relations, korea-Russia economic cooperation in Primorski Krai and the potentiality of Primorski Krai as the future trade and economic center of North Eastern Asia. Primorski Krai is related to ancient, middle age, moder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ncient and middle age kingdoms of korea such as Kokurye, Balhae, Korye, Chosun occupied Primorkii and ruled tribes and ethnic groups of the area. In 1860, the Imperial Russia had obtained Primorski Lrai from Ching dynasty of China through Baijing treaty. Since then, korean imigrants of Chosun crossed the river Duman and settled down in agricultural areas of Primorski krai.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gradualy increased and amounted to 2-300,000 habitants until they were forced to move into Central Asia in 1933. Primorski krai had been a key point of military-strategic importance until Cold war ended. Since the Soviet Union collapsed, the Far Eastern area and Primorski krai turned into a center where the Russian Federation and countries of North Eastern Asia have trade and economic cooperation. Many peoples including Koreans have immigrated into Primorski krai from Central Asian countries and otherrepublics of the former Soviet Union to avoid social unrest and economic difficulties and find better change and opportunity for living. Mutual relations among ethnic groups might develop into conflicts and unrest or cooperation and harmony. They could compete each other for limited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Otherwise, they could cooperate for their prosperity and wellbeing and keep good rekations among them. This depent on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Primorski krai as acenter of marine, road, railroad transportation for goods and natural resources which are transferred to nations of North Eastern Asia and Asia-Pacific Area. This also depends on ensuring the peace and security of korea peninsula which would make it possible to increas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onnect TKR with TSR and result in economic prosperity of North Eastern Asi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구 소련지역의 민족분규와 러시아연방의 인근외교

        문명식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1994 러시아연구 Vol.4 No.-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has contributed to the escalation of interethnic conflicts and full-scale war between nations in the countries of the former Soviet Union. The ethnic minorities, who enjoyed official and legal quality and right under the common status, the Soviet Citizen in the Soviet era, have struggled for the secessonist and independent movement to protect themselves from repression and discrimination and keep their political and cultural autonomy. Accordingly, newly independent states of the fomer Soviet Union might be divided into two or three parts. The 25 milion Russians who lived outside Russia also lost their privileged status under the Soviet rule and suddenly became second-class citizens in these newly independent states. As other ethnic minorities have done, Russians in the former Soviet Union republics have suffered from violations of civil, political, economic, and human rights. They have been prevented from obtaining jobs, housing, and social-security benefits. Consequently, politicized Russian officers of the Russian troops that remained stationed in the Soviet era, have helped armed struggle of ethnic Russians against national majorities by providing Russians with weapons. Policies and alternatives to resolve ethnic problems in countries of the former Soviet Union were debated within the boundary of direction or doctrine of foreign policy. National-patriots criticized that Russian government renounced the obligation to defend interests and human rights of Russians in "near abroad." And they urged Yeltsin to take aggressive steps, including military intervention, to defend human rights of ethnic Russians outside Russia. Moreover, they also argue to maximize Russia's influence on the countries of the former Soviet Union. By contrast, Yeltsin feared that Russia's involvement in interethnic conflicts in "near abroad" could cause the tension with Western countries and thus lose the economic aids from the West which Yeltsin hoped to obtain. Thus, he hesitated to be involved in the resolution of ethnic problems i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Yeltsin's supporters contend limited involvement in interethnic conflicts that would contribute to keeping the good relationship with Western countries. On the other hand, moderate-center parties propose the Eurasian policy that would replace the alternatives of radical democrats and conservative nationalists. Their policy toward national problems presuppose the maintenance of good relationship with the West, the former Soviet republics, and Asian-Pacific states. The Eurasian national policy is to be based on the conception of civil nationalism. National policies discussed above have strength and weakness. The better resolution of national problems require reinterpreting conceptions like nations and nationalism in the context of interantional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s following new world order and globalization. Ethnic conceptions of the nation conceives of the nation as a genealogical and vernacular cutural community, whereas civic and territorial conceptions of the nation regard it as a community of shared culture, common laws and territorial citizenship. The establishment of 'civil nationalism' helps economic growth that would allay interethnic conflicts. When all citizens would not be discriminated by nationalities and ethnicity and could have equal rights under civil nationalism, ethnic minorities, skilled laborer of high education and high-tech would renounce to immigrate to other safer countries and determine to settle in their present residence. Accordingly, they would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ir host countries. Finally, the transformation of CIS into an economic community could help to from the exterior circumstances appropriate for the establishment of civil nationalism. The free movement of labor and goods within the bloc of CIS woul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of civil nationalism

      • KCI등재

        러시아 민족정체성의 확립 과정에서의 정교와 이슬람

        문명식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6 중소연구 Vol.29 No.4

        러시아 정교는 러시아 문화, 정치사상, 러시아인들의 도덕관과 세계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정교신앙은 끼예프 시대부터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서 오늘날 러시아에 이르기까지 다른 소수민족들과 문화적으로 민족적으로 식별시켜주는 민족 정체성의 핵심요소이다. 구소련 이후의 정치경제사회적 혼란과 체첸전쟁은 무슬림 소수민족들에 대한 적대감을 증대시켰다. 이것은 러시아 연방이 소련처럼 해체될 것이라는 두려움을 확산시켰다. 러시아 정치지도자들은 정교신앙, 러시아어, 다민족-다문화 연방의 유지, 러시아의 위대함과 독특함에 대한 믿음. 러시아의 강대국 지위의 지속 등등이 러시아 민족정체성의 주요한 구성요소들이라고 생각한다. 극우민족주의자들 제외한 대부분의 러시아 정치지도자들은 과격한 이슬람 무장집단에 대해서는 강력한 대응을 주문하지만 온건한 무슬림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포용하는 것이 러시아 연방의 안보와 영토통합에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은 민족을 종교, 문화, 언어, 역사, 같은 조상의 후손이라는 신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정의하는 ‘종족 민족주의’ 이론에 바탕들 두고 있다. 이것은 무슬림 소수 민족의 반발적 민족주의와 분리독립운동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므로 러시아 연방의 안보와 존속을 위해서는 러시아 정치지도자들은 러시아 인들을 러시아 연방의 헌법과 다민족다문화 정치체도에 대한 충성의 바탕위에 합법적으로 러시아에 살고 있는 모든 시민의 집단으로 정의하는 ‘시민 민족주의’ 이론을 개발하여 널리 보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