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내외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문교하(Gyo-Ha Moon),김경지(Gyeong-Ji Kim),이유림(Yu-Rim Lee),김종철(Jong Cheol Kim),심두보(Doobo Shim),정강현(Kang-Hyun Chung),이권재(Kwon-Jai Lee),안정희(Jeung Hee An)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홍차 3종과 외국산 홍차 7종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의 항염증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국내산 홍차인 보성에서 총 폴리페놀(330.13 ㎎ GAE/g)과 탄닌(285.65 ㎎ TAE/g)의 함량을 보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제주(590.11 ㎎ CE/g)가 외국산 홍차와 유사하게 높은 함량을 보였다. 테아닌 함량은 국내산 홍차인 하동(651.50 ㎎%)이 외국산 홍차보다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과 환원력은 25 ㎍/mL 농도에서 보성 홍차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5 ㎍/mL 농도에서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제주(63.89%), 보성(59.73%)과 하동(52.76%)에서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대식세포에서의 세포보호 효과는 50-100 ㎍/mL 농도의 모든 홍차 추출물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200 ㎍/mL 농도에서는 보성이 98.22%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보여주었다. 세포 내 NO 생성 억제 활성은 국내산 하동, 제주와 보성 홍차의 모든 농도에서 외국산보다 높은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다. LPS에 의해 염증이 유발된 대식세포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50 ㎍/mL의 보성 홍차 추출물에서 SOD-1 발현이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1.39배 증가하였다. 또한, GST발현은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보성과 제주 홍차 추출물에서 각각 1.52배와 1.46배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홍차와 외국산 홍차를 비교 평가한 결과 보성과 제주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 단백질 발현은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밀접하게 관여한 것으로 보이며 하동 홍차의 NO 생성 억제 활성은 높은 테아닌 함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국내산 홍차 추출물인 보성, 제주와 하동 홍차가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nitric oxide (NO) inhibition effects of three domestic and seven foreign fermented black tea 70% ethanol extracts. Bosung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Jeju showed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s. The theanine content was higher in Hadong (651.50 ㎎%) than in foreign fermented black tea. At 25 ㎍/mL, the domestic fermented black tea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and ABTS racial-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assays. Domestic fermented black tea showed higher NO inhibitor activity than foreign black tea at 50 ㎍/mL. Bosung black tea extract showed an increase in SOD-1 level (1.39-fold) compared to the LPS-only group. Bosung and Jeju decreased the GST protein by 1.52- and 1.46-fold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LPS-only group.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domestic fermented black tea (Bosung, Jeju, and Hadong) are effective antioxidants in RAW 264.7 cells.

      • KCI등재

        반발효차의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

        이유림(Yu-Rim Lee),문교하(Gyo-Ha Moon),정강현(Kang-Hyun Chung),이권재(Kwon-Jai Lee),심두보(Doobo Shim),김종철(Jong Cheol Kim),안정희(Jeung Hee 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9

        본 연구는 국내와 중국의 반발효차만을 중점으로 국내 3종, 중국 4종 모두 7종의 차 추출물을 시료별 항산화 능력 및 항염증 효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플라보노이드는 국내산 하동 백차가 186.39 mg CE/g으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중국차 시료에서는 대홍포가 224.72 mg CE/g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대비 탄닌의 비율은 국내산 하동 청차 50.6%, 백차 55.8%, 제주 서귀황차는 55.3%였고 중국차 대홍포는 55.8%, 동정오룡은 54.3%, 백호은침은 53.2%, 군산은침은 59.3%로 모든 시료군에서 전체 폴리페놀 대비 높은 탄닌의 함량을 보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모든 시료군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함을 보였다. 청차(하동) 추출물의 IC50 값은 9.99 μg/mL, 백차(하동)는 10.44 μg/mL였고, 중국차 군산은침이 4.99 μg/mL로 전체 시료 중에서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국내 서귀황차(제주), 중국차 대홍포를 제외한 모든 시료군에서 대조군인 ascorbic acid보다 모두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에서는 시료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였고, 환원력과 DPPH 라디칼 소거능 모두 시료의 항산화능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LPS로 NO 생성을 유도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국내산 하동의 백차가 100 μg/mL에서 NO 생성량이 46%로 NO 생성능이 감소하여 전체 시료 중 가장 유의적인 NO 생성 저해 활성을 보였다. 신경독소 물질인 MPTP에 의해 신경 염증이 유도된 SH-SY5Y 세포에서 단독 MPTP를 2 mM로 처리했던 군의 세포 생존율이 49%였으며, 시료 중 국내산 하동의 백차와 중국차 대홍포, 군산은침이 100 μg/mL 농도에서 각 68.16%, 69.96%, 69.14%의 결과를 보여 MPTP 단독 처리군에 비해 20% 높은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산과 중국의 반발효차의 항산화 및 항염증의 효능을 확인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높은 활용 가치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7 semi-fermented tea from Korea and China. The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graduall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in all the sample groups. In th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IC50), domestic oolong tea (Hadong) was 9.99 μg/mL, white tea was 10.44 μg/mL and Junshan Yinzhen tea was 4.99 μg/mL. Junshan Yinzhen tea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 among other extracts. In the evaluation of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except Seogwihuang cha (Jeju) and Da Hong Pao tea, other samples showed a higher ABTS radical-scavenging effect compared to the ascorbic acid control group. White tea (Hadong) with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showed a significant nitric oxide (NO) inhibition activity compared to all the other samples by decreasing NO production to 46%. In the analysis of MPTP-induced dopaminergic neurotoxicity in SH-SY5Y cells, domestic white tea (Hadong), Da Hong Pao tea, and Junsan Yinchen tea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showed results of 68.16%, 69.96%, and 69.14%,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20% higher anti-inflammatory effects compared to the MPTP treatment group.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domestic semi-fermented tea has goo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s expected to have high utility value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