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의 스마트 홈 기술 사용 경험

        문광태,김종배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24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6 No.1

        목적 : 본 연구는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이 스마트 홈 기술을 통한 일상생활의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을 탐구하여, 이 기술 이 기존의 가정환경수정 프로그램에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 1명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기술 사용 전후의 변화와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인터뷰는 2021년 7월 초기 인터뷰 1회, 8월 중간 인터뷰 1회, 12월 스마트 홈 사용 경험 인터뷰 1회를 대면으로 30분~1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으로 진행되는 반복 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자료 분석 결과 ‘스마트 홈 적용 환경’, ‘스마트 홈 사용 경험’, ‘스마트 홈 사용으로 겪은 변화’라는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주제들은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주요 스마트 홈 기술’, ‘적용한 스마트 기기’, ‘스마트 홈에 대한 기대’, ‘주관적 실제’, ‘내적 변화’, ‘독립적인 일상생활’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하였다. 도출된 개념은 15개의 의미 단위와 51개의 중심의미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스마트 홈 기술이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의 일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며, 장애인 삶의 질 향상에 뒷 받침하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스마트 홈의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Objective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smart home technology on the daily lives of individual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and analyzes their experiences and changes throughout the application process. By doing so, it aims to illuminate the perspectives of individual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who have experienced smart home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integrating smart home technology into existing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programs. Methods :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one individual with a cervical spinal cord injury, explor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o deeply understand the changes and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use of smart home technology. Interviews were conducted face-to-face in July for an initial interview, in August for a mid-term interview, and in December for a post-smart home use experience interview, each lasting between 30 minutes to an hour. Data analysis utilized the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involving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Results : The analysis revealed three main themes: ‘smart home application environment,’ ‘smart home usage experience,’ and ‘changes experienced using smart homes.’ These themes were organized into concepts such as ‘major smart home technologies’, ‘applied smart devices’, ‘expectations for the smart home’, ‘subjective reality’, ‘internal change’, and ‘independent daily life’, resulting in 15 units of meaning and 51 central meanings.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mart home technology can bring positive changes to the daily lives of individual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and contribute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clinical application potential of smart home technologies, suggesting that they can contribute to supporting the independent daily living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improving the home environment to better suit their physical functions.

      • KCI등재

        신체장애인의 스마트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문광태,정민예,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3

        Objectiv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view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smart home use by conduct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wPDs) who have experienced time in the smart hom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hone interviews for six PwPDs who have been using the smart homes for more than four weeks from March 8 to April 22, 2022. 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presented by Giorgi. Result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23 meaning units, 11 subordinate components, and 4 component elements were derived. The initial derived component elements are occupational profiles and home modification processes based on a smart home. Second, in the changed activities, difficulties in using the smart homes and enabl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Third, participation in occupations include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 management, rest, and sleep. Fourth, technical improvement, program process, devices to be developed, and institutional support were derived as improvements and chang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basic data on the smart homes that will be applied to the elderly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suffer inconvenience in their daily lives owing to physical limitations. 목적:본 연구는 스마트홈을 경험한 신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여 스마트홈 사용 경험과 의미를 들여다보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방법:2022년 3월 8일에서 4월 22일까지 스마트홈을 4주 이상 사용하고 있는 신체장애인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전화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글자크기 10point, 줄간격 160, 줄번호 1,170의 자료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가 제시한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을 통해 도출하였다. 결과:자료 분석 결과 23개의 의미 단위, 11개의 하위 구성요소, 4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첫째, 스마트홈 기반 가정환경수정 과정으로 작업 프로파일과 가정환경수정이 언급되었다. 둘째, 변화된 활동으로 스마트홈 사용의 어려움, 할 수 있게 하는 활동이 확인되었다. 셋째, 작업의 참여로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 건강 관리, 휴식과 수면이 포함되었다. 넷째, 개선 및 변경 사항으로 기술적 보완, 프로그램 과정 보완, 개발 필요한 기기, 제도적 지원이 도출되었다. 결론:신체장애인의 스마트홈 사용은 불편한 가정환경을 개선하고 만족스러운 일상을 만드는 데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가 신체적 제한으로 일상에서 불편을 겪는 노인 및 장애인에게 적용할 스마트홈의 기초자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전자적 일상생활 기기(EADL)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문광태,정성우,김동완,이윤환,양승완,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3

        목적 : 본 연구는 전자적 일상생활 기기(Electronic Aid to Daily Living; EADL)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국내 작업치료사의 중재 전략을 세우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EMbase,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Web of science를 이용하여 EADL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연구의 질은 CASP(Critiacal Appraisal Skills Program) checklis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논문의 저자, 연도, 연구 목적 및 연구설계, 연구 참여자, 나이, 참여 인원을 형식에 맞춰 파악하고 양적 연구는 EADL 중재 프로그램의 특징, 종속변수와 평가도 구를 분석하였으며, 질적 연구는 메타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EADL 사용자의 경험을 통합하였다. 결과 : 선정된 9편의 논문 중 양적 연구 5편, 질적연구 3편,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결합한 통합 연구 1 편이었다. EADL 클라이언트는 척수 손상이 가장 많았고, 공간별로 주방, 침실, 화장실, 거실 및 현관에 적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일상생활 활동 요인이 가장 빈도가 높았다. EADL 사용자의 경험은 1) EADL로 인한 번거로움, 2) EADL에 적응하기, 3) 공기같은 EADL이라는 3가지 합성 주제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EADL은 신체적 제약이 있는 장애인과 노인의 일상생활 증진, 삶의 질 개 선, 사용자 만족도가 높아 효과적인 중재 전략임을 확인하였다. EADL은 병원에서부터 지역사회까지 다 양한 대상자의 생활 기능 수준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선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중요하며 국내 제도적 틀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s the impact of Electronic Aid to Daily Living (EADL)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rovides a useful foundation for establish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local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Using the Riss, EMbase, NDSL,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we searched for EADL in Journals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20. The quality of the study was evaluated using the Critical Evaluation Technology Program (CASP) checklist.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features, dependent variables, and evaluation methods of intervention programs, and qualitative studies incorporated the experience of EADL users into a meta-synthesis. Results: Among the nine papers selected, five were quantitative studies, three were qualitative studies, and one was an integrated study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The EADL client showed the most spinal cord injuries, and was applied to kitchens, bedrooms, toilets, living rooms, and front doors.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most frequent factors in activities of daily life. The experience of EADL users has been shown in three synthetic themes: 1) hassles caused by EADL, 2) adaptation to EADL, and 3) air-like EADL. Conclusion: EADL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based on improvements in daily life, an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high user satisfaction among physically constrained disabled and elderly people. To apply EADL to the standard of living functions of various clients, from hospitals to communities,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s important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domestic institutional framework.

      • KCI등재

        재활 운동 리빙랩 개발을 위한 비교 사용성 평가: 근골격계, 심혈관계, 척수손상 그룹을 중심으로

        문광태,김종배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satisfaction, and user experience in participants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spinal cord injuries in a living lab that simulated a sports center environment. The study subjects were recruit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and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and 15 people (5 with cardiovascular disease, 5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and 5 with spinal cord injury) were selected. The subjects availed the services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living lab and provided data on its effectiveness, efficiency, satisfaction,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ISO-0241-11 standard were used. The researchers collected participant feedback and sought ways to improve services based on their sugg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musculoskeletal disease group experienced high effectiveness, and similar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levels were derived for each group. In addition, through the usability evaluation, the overall usability score of the living lab was evaluated as 'excellent,' which was interpreted as providing a positive user experience to participants. This study enabled a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living lab. Based on this, we proposed a service plan to meet the needs of users with various diseases.

      • KCI등재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효과

        문광태(Moon Kwang-Tae),박혜연(Park Hae Yean),김종배(Kim Jong-Ba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장애인의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작업 수행의 질과 만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뇌졸중 진단을 받은 심한장애인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9년 5월 21일부터 2019년 9월 7일까지 17주간 총 25회기(기초선 A 5회기, 중재 기간 B 14회기, 기초선 기간 A’ 5회기, 추적 기간 1회기)로 진행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진행되었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에 따라 중재 모델 선정 및 적용하였으며, 중재에는 과제 제공 및 피드백, 관련 정보 교육, 가정환경 수정, 지역자원 연계가 포함되었다. 작업기반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작업수행기술의 빈도 변화, 작업수행 만족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는 선형그래프와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손 닿는 곳의 상의 입기, 침대에서 양말과 실내화신기, 의자에 앉아 신발 신기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이 향상되었다. 작업수행기술 평가 결과 대상자의작업수행 기술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작업수행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작업수행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대상자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 유형별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보편화 되기를 기대해 본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on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disabled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up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Methods : In this single-subject ABA design study with follow-up evaluation, one severely disabled person diagnosed with stroke who lived in the community was recruited. The procedure consisted of a total of 25 sessions for 17 weeks. Intervention was according to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and the researcher visited the subject’s hom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OTIPM.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task assignment and feedback,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information-related caregiver education, and community resource network. The evaluation of each session included th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aily life, and the changes in occupational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maintenance of i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during follow-up. The results were visually analyzed using a bar graph and a linear graph.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improv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uch as putting on socks, shoes slip-on, and upper body dressing garment within reac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MPS,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was improved in all the subjec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lso improved.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occupation-based rehabilitation can improve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of stroke home disabled people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aily life. Therefore, I think it is meaningful that useful for them.

      • KCI등재

        척수손상 장애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음성인식 웨어러블 디바이스 도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문광태(Kwangtae Moon),김종배(Jongb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장애인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과 디자인 형태를 도출하기 위해 음성인식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Krueger와 Casey가 제시한 질문 방식에 기반하여 6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 분석에는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으로 진행되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참여자들은 필요 기능 및 요구 형태라는 두 가지 주요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 주제들은 ‘만능 리모컨’, ‘LCD 터치스크린’, ‘건강 상태 모니터링’, ‘셀룰러 기능’, ‘리버스 넥밴드 형태’, ‘스마트 워치 형태’, ‘목걸이 형태’라는 의미 단위로 귀결되었으며, 가전제품 제어, 즉각적인 피드백, 시각적 피드백, 주문 확인, 현재 심박수 확인, 적절한 심박수 테스트, 체온 자주 확인, 체온 상승 알림, Wi-Fi 없이 사용, 휴대폰 없이 사용, 넥밴드 유형, 이어폰은 불편함, 기능적인 목 움직임, 경험해본 유형, 고무 밴드, 신체에 부착, 손 기능 보조라는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음성인식 인터페이스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에서 필요한 기능과 디자인 형태를 제시하였다. 향후 척수손상 장애인의 만족스러운 일상생활을 위한 음성인식 인터페이스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 voice-activated wearable device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by identifying the functions and design forms needed for their daily liv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method proposed by Krueger and Casey, with six people who had suffered a spinal cord injury.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which comprised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hecking. As a result, two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participants: needed functions and needed forms. These themes were translated into the semantic units of universal remote control, liquid crystal display (LCD) touch screen, health monitoring, cellular functionality, reverse neckband form, smartwatch form, and necklace form, and included the following perceptions/functions: Control of home appliances, instant feedback, visual feedback, order confirmation, checking the current heart rate, testing for the proper heart rate, checking the body temperature frequently, notification of elevated temperature, use without Wi-Fi, use without a cell phone, neckband type, perception that earphones are uncomfortable, functional neck movement, types experienced, rubber band, need for attachment to the body, and assisting the hand func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ary functions and design forms for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based on a voice recognition interface to facilitate the daily activiti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In the future, these findings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based on voice recognition interfaces to enhance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and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research on such devices.

      • KCI등재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상지 보조기기에 관한 체계적 고찰

        이윤환,문광태,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4

        목적 : 본 연구는 일상생활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상지 보조기기 중재 연구의 대상자, 적용된 보조기기의 유형 및 동향, 중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종속 변인 및 평가도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검색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인 RISS, KCI, Scopus, Web of Science를 이용하였다. 문 헌선택은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PRISMA)흐름도 에 따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14편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근거를 기반으로 한 연구의 질적 수준(hierarchy of level of evidence for evidence-based practice)분석모 델과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Case Control Checklist(CASP Case Control Checklist) 를 활용하여 근거 수준과 적용된 방법론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 전체 14편의 연구 중, 7편의 논문이 근거 수준 Level 3인 단일집단 비 무작위 연구였으며, 12편의 연구가 CASP case control checklist의 모든 항목을 충족하였다. 근육병 장애인을 대상으로 상지 보조 기기를 적용한 연구가 6편으로 가장 많았다. 적용된 보조기기는 암 서포트가 5편, 로보틱 암이 4편이었 으며, 비교적 최근일수록 로보틱스, 3D 프린팅 등 고도화된 기술과 융합되었다. 중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설정된 종속변수로는 상지 수행력이 31.7%, 상지 기능이 29.3%를 차지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일상생활 활동 보조를 위한 상지 보조기기 연구와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 였다. 향후에는 체계적인 연구 설계를 기반으로 높은 근거 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실사용자 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보조기기 사용이 미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효과성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ubjects, type, and trend of assistive technology, dependent variables, and assessment tools in studies on upper extremity assistive technology for support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thods: The databases were collected using RISS, KCI, Scopus, and Web of Science. The stud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 flow chart. Finally, fourteen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elected studies evaluated the level of evidence and the quality of applied methodology using a hierarchy of level of evidence-based practice analysis model and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Case Control Checklist (CASP Case Control Checklist). Results: Of the total studies, 7 were 1-group non-randomized studies with evidence-level 3, and 12 studies met all items in the CASP case control checklist. Six studies applied the upper extremity assistive technology to people with a muscular disease. For the applied assistive technology, arm support was applied in five studies and a robotic arm was used in four studies. More recently, this technology has been fused with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robotics and 3D printing. The dependent variables for measuring the results of intervention accounted for 31.7% of th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and 29.3% of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Conclusion: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are abl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services on upper extremity assistive technology for assisting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future, a study with a high level of evidence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a systematic research design, an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factors of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should be verified for users and caregivers.

      • KCI등재

        가정방문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장완호,황수빈,문광태,최원석,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2

        목적 : 본 연구는 가정방문작업치료 중재 중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를 중심으로 가정방문작업치료의 대상 자, 평가도구, 중재기간 및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선택과정은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방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INAHL, EMbase를 이용하였 다. 비뚤림 위험 평가도구로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가정방문작업치료 무작위대조 군실험연구의 문헌 수는 총 8편이었다. 결과 : 가정방문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의 대상자는 뇌졸중, 치매, 노인이 각각 2편 이었으며, 척수손상과 외상성뇌손상 환자가 1편으로 조사되었다. 가정방문작업치료의 기간은 평균 10주, 횟수는 평균 7회로 조사되었다. 사용된 평가도구는 영역별로 운동기능 5편, 낙상 4편, 일상생활활동 2 편, 보호자의 부담 2편, 우울증, 욕창, 삶의 질에 대한 평가가 각각 1편씩 조사되었다. 가정방문작업치료 의 효과는 운동기능 향상, 일상생활활동 증진, 낙상예방, 우울증상 및 보호자 부담의 감소 등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결론 : 해외의 가정방문작업치료의 체계적인 중재와 연구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가정방문작업 치료의 질적 및 양적 향상을 위해 제도적 틀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가정방문작업치료의 중재전 략을 세우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제도적 도입의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duration of intervention, outcome measurements, and subjects of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wit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PRISMA) method. The databases were collected using Pubmed, Medline, CINAHL, and EMbase. The quality of the literature was assessed using a bias risk assessment tool. Finally, 8 RCTs studies were selected for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Among the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that conducted interventions on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there were two papers each for stroke, dementia, elderly person and one for spinal cord injury and traumatic brain injury. The average dura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10 weeks, and the average number of visits was seven. Five outcome measurements were used for the motor function, four for falls, two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wo for care giver burden, and one for depression, pressure ulcer, and quality of life. The various effects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were reported as improvements in motor functiona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revention of falls, and a reduction of the depression symptoms and care giver burden. Conclusions: The systematic intervention and research methods of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abroad are being conducted, and an institutional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not only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intervention strategy for domestic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but also as a basis for institutional evidence.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 적용의 사례연구

        양승완(Yang, Seung Wan),문광태(Moon, Kwang Tae),김종배(Kim, Jong Ba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현상으로 인하여 건강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에게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적용하여 변화를 확인하고 인터뷰를 통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장애인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건강관리와 삶의 질의 융복합적인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효율적인 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를 받는 장애인 2명을 대상으로 산소포화도, 폐활량, 맥박, 혈압, 온도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적용하여 이에 따른 삶의 질을 관찰하였다. 폐의 기능을 관찰하기 위해서 폐활량측정기 PF-200을 사용하여 최대호식기류(PEF),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을 측정하였으며 산소포화도와 맥박을 측정할 때에는 델로나 산소포화도 맥박측정기를 사용하였다. 혈압 측정에 사용된 기기는 오므론 혈압측정기 HEM-7121이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이프스타트 온도측정계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척도로는 삶의 질 척도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디지털 헬스케어기기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차이점을 확인하였으며 평가 후 인터뷰를 통하여 장애인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의 적용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것보다 대상자에게 맞는 적절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를 적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또한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수를 증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perform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by applying digital health care devices to the disabled who have difficulties in health management due to the COVID-19 phenomenon, confirming changes, and conducting case studies through interview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and quality of life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effective strategies for integrated care in the local community. The quality of life was observed by applying a digital health care device capable of measuring oxygen saturation, lung capacity, pulse, blood pressure, and temperature for two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integrated care in the local community. To observe lung function, the maximum expiratory flow (PEF)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FEV1) in 1 second were measured using a spirometry PF-200. When measuring oxygen saturation and pulse rate, a Delona oxygen saturation pulse meter was used. The device used to measure blood pressure was an OMRON blood pressure monitor HEM-7121, and a Safe Start therm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The quality of life scale WHOQOL-BREF was used as an evaluation scale to measur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find out how digital healthcare devices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 differences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he evaluation,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through interviews after evaluation.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digital health care devi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a suitable digital health care device to the target person rather than select and provide a digital health care device.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a study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ubjects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e results.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영욱(Kim, Youngwook),김민지(Kim, Minjee),문광태(Moon, Kwangtae)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해 향후 직업재활 영역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과제와 전망, 재활 성공사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신장애인에게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 8명에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전 동의를 통해 인터뷰 영상은 녹화되었고, 녹화된 자료는 Colaizzi의 6단계에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3개의 주제와 9개의 개념, 19개의 의미단위, 60개의 중심의미를 도출하였다.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상담자, 평가자, 중재자, 연계자로 나타났다. 향후 과제와 전망으로는 커리큘럼, 직업재활 수가체계 개편, 직업에 대한 인식 재확립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공적인 직업재활에 대해서는 취업 장소와 직업재활의 효과를 언급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직업재활 영역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보다 전문성있는 직업재활 전문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한 가이드라인과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ole, task, and prospects of vocational therapist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work experience of vocational therapists provi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mentally disabled people. Methods :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rovid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mentally disabled people by applying Zorgi 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terview videos were recorded with prior consent, and the record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llage 6-step phenomenon analysis method. Results : Three themes, nine concepts, 19 semantic units, and 60 central meanings were derive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provi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as found to be counselors, evaluators, mediators, and links. Future tasks and prospects were curriculum,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nse system reform,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re-establishment. In addition, for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employment location and the effec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ere mentioned.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asks and prospects to be improv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rovid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could be used as guidelines and basic data to cultivate more profess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r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