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홍주목 부속 도서의 행정편제와 설진(設鎭)·설군(設郡) -도서민의 세역(稅役) 부담을 중심으로

        문광균 국립해양유산연구소 2024 해양문화재 Vol.0 No.20

        조선시대 충청도 서해안에는 적지 않은 유인도서가 존재하였다. 이곳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입도하여 생활했지만, 조선전기 중앙정부가 추진한 공도정책空島政策[섬을 비우는 정책]에 따라 도서는 국가의 관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양란이 끝난 17세기 이후 홍주목 부속 도서에는 입도민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입도의 이유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내륙에 비해 가벼운 부세 부담, 군역 도피, 원산도와 삽시도 등 도서목장의 폐지에 따른 경작지 확대, 풍부한 어족자원과 해산물 등이 핵심적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그중 17세기 후반 홍주목 부속 도서 중 규모가 가장 크고 해로 요충지였던 원산도에 충청수영의 우후가 주둔하면서 이 일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도서민이 증가하자 국가는 점차 도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도서민을 파악하고, 그들을 실질 지배하고자 했다. 홍주목에서는 이 섬들을 면리로 편제하여 통치하였다. 이 섬들은 기본적으로 홍주목 용천면의 소속된 리로 편제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도서들의 분동分洞으로 면리편제는 더욱 세분화되었다. 국가와 홍주목이 주도한 면리편제는 부세와 민역 등을 징수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따라서 17세기 이후 서해 도서에는 여러가지 세역이 부과되었다. 기본적으로 해세海稅라고 불리는 어염선세漁鹽船稅 등 외에 전복 진상, 군사시설의 군역 충정, 홍주목의 세곡을 수납하기 위해 바다에서 경강선을 잡는 착선역, 바다에 빠진 세곡을 건져내는 구증역 등이 대표적이었다. 이러한 세역은 중앙각사와 궁방, 홍주목, 충청수영 등 여러 기관에 의해 다층적으로 부과되었고, 이는 도서민의 부세부담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도민들의 세역 부담은 19세기에 더욱 과중했는데, 이를 바로잡고자 충청수사와 어사들은 서해 도서를 충청수영으로 귀속하여 세역을 일원화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19세기 중엽 원산도에 원산별장진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그 외의 도서들은 여전히 중층적이고 복잡다단한 세역에 시달려야 했다. 서해 도서의 세역 부담을 일원화 하려는 노력은 공교롭게도 충청수영이 폐지된 직후인 1901년(광무 5)에 이르러서야 이루어졌다. 충청수영 폐지 이후 수영은 보령군으로 합속되었는데, 이에 반대한 충청수영 영속들이 충청수영이 있는 보령군 금신면을 포함하여 종래 홍주목 부속 도서들을 합쳐 오천군鰲川郡이라는 새로운 군郡을 만들어냈던 것이다. In Joseon, there were many inhabited islands along the west coast of Chungcheongnam province. People first settled the islands in prehistoric tim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period, the central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of emptying the islands, which were accordingly excluded from the scope of its interest. A considerable percentage of these islands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Hongjumok. The number of people entering the islands attached to the Hongjumok began to increase in the seventeenth century after two major wars. There were several core reasons behind this change, such as the lower tax burden compared to inland areas, the opportunity they presented to escape from military service, the reclamation of arable land after farms were closed on Wonsan and Sapsi Islands, and the abundant fish resources and marine products. Furthermore, the Woohoo of the Chungcheong Suyeong was stationed on Wonsan Island, the largest of the islands attached to Hongjumok and a strategic point of the sea route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resulting in the attraction of many more people to the islands. Once the inhabitants of the islands increased, the government gradually showed more interest in them, figured them out, and tried to impose its rule over them. This process led to the recording of the islands in geography books and eup documents, and the Hongjumok organized them into myeon or ri to facilitate its control of them. These islands were basically organized as a ri of Yongcheonmyeon, Hongjumok, and the system of organization into myeon and ri became more sophisticated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islands over time. The government and the Hongjumok took the lead in the myeon and ri organization to levy taxes and labor service, imposing different kinds of taxes on the islands in the Yellow Sea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onward. The major ones included the Chaebokyeok, which compelled the islands’ inhabitants to offer abalone to the king, Eoyeomseonse or maritime taxes, indigenous soldiers of Wonsanjin as a military facility, military service of Bongsugun and Yomanggun, Chakseonyeok to hold hard steel wires in the sea to store the tax grain of Hongjumok, and Gujeungyeok to pull tax grain out of the sea. These taxes were levied in layers by several agencies including the central Gaksa, Gungbang, Hongjumok, and Cheongcheong Suyeong, imposing a heavy tax burdens on the inhabitants of the islands. The tax burden on the inhabitants of the islands increased further still in the nineteenth century. Trying to address them, the Susa and Eosa of Chungcheong placed the islands of the Yellow Sea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Chungcheong Suyeong and worked to unify the taxes. Wonsanbyeoljangjin was installed on Wonsan Island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in the process, but the other islands were all excluded. Such efforts to unify the tax burdens on the islands of the Yellow Sea coincidentally came to fruit in 1901 (the 5th year of Gwangmu) right after the abolition of the Chungcheong Suyeong, when these islands were incorporated into Boryeong-gun. Opposing it, the Yeongsoks of Chungcheong Suyeong created a new gun title, Ocheon-gun, by bringing all the old island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Hongjumok, including Gimsin-myeon, Boryeong-gun, where the Chungcheong Suyeong was located.

      • KCI등재

        조선후기 양산 甘同倉의 설치와 변천

        문광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4 한국문화 Vol.66 No.-

        Gamdongchang was a warehouse located in Jwayimyeon Yangsangun Gyeongsang Province in the Late Chosun Dinasty. This warehouse was installed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naval defense system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e 2nd year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1610), Choi Hyun established Gamdongchang in Gubeopgok, the hub of waterway transport for the purpose of ‘military warehouse’ in order to smoothly pay Saporyang, the salary of archers and gunners belonging to naval posts distributed on the southern coast of Gyeongsang Province. And then as the lease of Gyeongsang Province began to offer as Hojo in the 12th year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1620), Gamdongchang collected the lease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 the Nakdonggang Estuary. Gamdongchang acted as the role of ‘Jochang’. Thanks to Kapsul-Yangchon in the 12th year during the reign of Injo (1634) and Gongjakmi policy in the 2nd year during the reign of Hyojong (1651), not only new financial resources were kept in Gamdongchang but distribution quantities increased. Yeongnam Daedong Law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n the 4th year during the reign of Sukjong (1678)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expansion of Gamdongchang. Due to this policy, Gamdongchang collected Daedong rice of 8 eups such as Gamdongchang Gimhae, Miryang, Yangsan, Yeongsan, Uiryeong, Changnyeong, Haman, Hyeonpung. Thus Gamdongchang leaped into the hub warehouse of Gyeongsang Province. However, Gamdongchang fell into a decline due to marine transportation policy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In the 36th year during the reign of Yeongjo (1760) and 41th year during the reign of Dongwang (1765), 3 Jochang such as Gasanchang, Masanchang, Samrangchang were installed in Jinju, Changwon, Miryang, respectively. As 3 Jochang was installed, 8 eups, which were originally sok ups of Gamdongchang, were divided into Masanchang and Samrangchang. In addition, shipping charges reserved in Gamdongchang began to be transferred to Jochang. Therefore, grain paid as a tax such as lease and Daedong rice and others has not been kept in Gamdongchang after 3 Jochang. Given that the inherent function of a warehouse is storage, this was a decisive factor in the decline of Gamdongchang. Reconstruction of Geumjeongsanseong Fortress in the 8th year during the reign of Sunjo (1808) resulted in depleting slightly left financial resources of Gamdongchang. In this process, grain of Gamdongchang in Yangsan and Sansanchang in Gimhae was transferred to reconstruction costs of Geumjeongsanseong Fortress. As shown above, Gamdongchang fell into a decline after the mid-18th century. And it was renamed to Namsachang in the 4th year during the reign of Gojong (1867) but disappeared before long leaving 300 years of history behind.

      • KCI등재

        조선시대 軍器寺의 직제 변천과 西班職化 양상

        문광균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3

        군기시는 조선시대 군기제조를 관장하던 정3품 東班職이다. 조선전기 군기시에는 도제조와 제조 아래 정, 부정, 첨정, 판관, 주부, 직장, 봉사, 부봉사, 참봉 등 14명이 배치되었다. 그러나 17세기를 전후하여 발발한 두 차례의 전란으로 군기시의 직제와 무기 제조 방식은 크게 바뀌었다. 군기시의 무기 제조에 영향을 준 것은 훈련도감을 비롯한 중앙군문의 설치, 조총청과 화기도감 등의 무기제조 권설아문 등의 설치였다. 여기에 대동법의 실시로 인해 공인이 무기를 조달하면서 군기시의 기능은 약화되었다. 군기시의 재정 악화는 정과 부정을 충원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고, 1719년(숙종 45)에 이르러서는 정과 부정이 전면 폐지되기도 했다. 그 결과 18세기 군기시는 종4품의 첨정 아래 총 10명의 관원으로 운영되었다. 군기시의 직제가 치폐를 거듭하는 사이 인사 방식에 변화가 나타났다. 군기시는 병조의 屬衙門이지만 동반직이기 때문에 조선전기부터 문관들이 출사하여 사환하던 기관이었다. 그러나 무과 출신의 사환로를 넓히는 과정에서 군기시는 점차 무관들의 사환로로 활용되었다. 그 결과 17세기 후반에 이르면 정을 제외한 참상관은 문관과 무관이 교대로 제수되었고, 정과 부정이 혁파된 18세기부터는 대부분 무관으로 임명되었다. 군기시가 점차 무관의 사환로로 활용되자 일각에서는 西班職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18세기 후반에는 무과 출신의 虛司果 적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1790년(정조 14)에는 군기시정을, 1804년(순조 4)에는 무관 서얼을 소통하기 위하여 군기시부정을 차례로 복설하였다. 이 과정에서 군기시정은 정3품 당상관으로 올라갈 수 있는 陞資職, 군기시부정은 정3품 당하관으로 올라갈 수 있는 승자직으로 변모하였다. 군기시는 끝내 서반직으로 법제화되지 못했다. 하지만 조선후기 사실상 서반직으로 활용되었다. 19세기 후반에 편찬된 『『六典條例』에서는 군기시를 「兵典」에 수록하고 있는데, 이는 군기시의 서반직화 양상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태안의 굴포유적 명칭 검토와 역사적 가치

        문광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0 해양문화재 Vol.13 No.-

        The Korean premodern dynasties ran the states based on spot goods such as rice and beans collected from the people. This grain was transported to Gaegyeong or Hanyang, the capitals of the two dynasties, Goryeo and Joseon by ships. Grain collected from the southern areas, the main areas of grain production in the Korean Peninsula, had to be transported to the capitals via the western sea. Anheungryang, Taean was the place that vessels most frequently sank. Therefore, Goryeo and Joseon governments carried out large-scale engineering works that connected Cheonsu Bay to Garolim Bay to establish new transport policies for grain paid as a tax. It was Gulpo construction work of Taean. Gulpo construction work of Taean was done five times from Injong of Goryeo to Sejo of Joseon. Gulpo was opened in a form of transporting grain in vessels after storing water in Taejongdae Reservoir. But it was closed because it could not be utilized. And the rest Gulpo construction works of 4times all ended in failure. Nevertheless, this work was the political projects that a lot of labor and finances were input at the national level and a historical event which has been kept told until now beyond the Joseon Dynasty by reason that the historic sites remained. The Gulpo historical site of Taean has its historical value in that it was the longest project led by the premodern state, the onlly Gulpo historical site in Korea, and the repository of the tax shipping system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For these reasons, a lot of research results have accumulated and local governments such as Chungnam-do and Taean-gun moved to designate and preserve this as a cultural asset. By the way, the name of this Gulpo construction work arranged by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was not properly set. As the result, there were names such as ‘Taean Jogeo’, ‘Anheungryang Gulpo’, ‘Gajeok Canal’, and ‘Taean Gulpo Canal.’ Therefore, this writing tried to ascertain the name of Gulpo Historical Site of Taean through historical research under the Established Rule No. 167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Guidelines for Granting Historical Site Names and suggest it to use this in the future as the cultural asset name. For this, it checked that there was the Gulpo Historical Site's own name in various kinds of bibliographic data including village records and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s well as books published by governments such as 『History of Goryeo』,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Journal of the Royal Secretariat』. 'Taean Gulpo' and 'Anheung Gulpo' were found from them. Among them, it is feared that 'Anheung Gulpo' is confused with an areas of Taean Anheungjinseong Fortress, the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No. 560. This thesis suggested naming it Taean Gulpo Historical Site', continous interest in it, and a necessity of establishing research plans by considering historical research and all the situations. 한국의 전근대 왕조는 백성에게서 거둔 쌀과 콩 등의 현물을 바탕으로 국가를 운영하였다. 이러한 곡물은 선박을 통해 고려와 조선 두 왕조의 수도인 개경과 한양으로 수송되었다. 한반도의 주요 곡물생산지인 남부지역에서 징수한 곡물은 서해 바다를 경유해야만 했는데, 그 중 선박의 침몰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곳이 태안 안흥량이었다. 따라서 고려와 조선정부는 새로운 세곡운송 정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천수만과 가로림만을 잇는 대규모 토목공사를 추진했는데, 그것이 바로 태안의 굴포공사였다. 태안의 굴포공사는 고려 인종대부터 조선 세조대까지 무려 5차례 추진하였다. 태종대 저수지에 물을 가둬두고, 배의 곡물을 옮기는 형태로 굴포가 개통되기는 했지만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4번의 굴포공사는 모두 실패로 끝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사는 국가 차원에서 대규모 노동력과 재원을 투입한 정책사업이었고, 그 유적이 잔존했다는 이유로 조선시대를 넘어 현재까지 회자되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태안의 굴포유적은 전근대 국가가 주도한 최장 프로젝트였다는 점, 국내 유일의 굴포유적지라는 점, 고려와 조선시대 조운제도의 寶庫라는 점 등의 역사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간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충남도와 태안군 등 지자체에서도 이를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그런데 고려와 조선시대 추진된 이 굴포공사에 대한 명칭이 제대로 정립되지 못했다. 그 결과 ‘태안 조거’, ‘안흥량 굴포’, ‘가적운하’, ‘태안 굴포운하’등의 명칭이 난립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문화재청예규 167호 ‘사적 명칭 부여 지침’에 의거하여 태안의 굴포유적 명칭을 고증하고, 이를 향후 문화재명으로 사용하기를 건의하였다. 이를 위해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의 관찬사서를 비롯하여 읍지, 문집 등 다양한 종류의 문헌자료를 통해 태안의 굴포유적의 고유명칭이 존재했음을 확인하였다. ‘태안굴포’와 ‘안흥굴포’가 그것이다. 그 중 ‘안흥굴포’는 현재 국사사적 560호인 태안 안흥진성이 있는 지역과 혼동할 우려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고증과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태안의 굴포유적 명칭을 ‘태안굴포 유적’로 명명할 것과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18세기 江界지역 貢蔘制의 운영과 변화

        문광균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7 No.-

        In the Chosun Dynasty, the Korean ginseng was one of the most value-added products because of the effectiveness as a medicine. The ginseng grows naturally in the fields in the regions of the Southeastern Asian countries, but the ginseng produced in Korean Peninsula exceeded any other ginseng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as a medicine. Due to this reason, from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the ginseng was included in the public taxation system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stry of Finance. As the Daedong law was put into practice since the 17th century, the ginseing produced in the regions of Hwanghai province, or Kyungsang province was included in its principle and operation under the law, but some regions surrounding the local authorities in Kanggye in P'yang province continued to send the ginseng to the central government in Seoul. In this sense, this paper tried to look into the ginseng of the local authorities at Kanggye in P'yang province, which still maintained the taxation system in kind under such economic changes and the situation in the later period of the Dynasty. The main reason for maintaining the taxation system in kind for the ginseng by the local authorities in Kganggye in P'yang province shows that its geographical condition as one of the regions producing most of the ginsing in Korea was well matched with the government policy for the ginseng. As the result, the local authorities in Kanggye was allocated with the substandard ginseng and quality ginseng as the government policy for the ginseng in the 18th century. Keeping in mid such series of the events regarding the ginseng, the paper focused on the following parts. First of all, the paper in detail addressed the ginseng policy practiced by the government since the enforcement of Daedong law in the 17th century, the substandard ginseng and quality ginsent allocated to the local authorities in Kganggye in an attempt to solve the lack the budget in the Minstry of Finance due to the insufficient tax revenue from the ginseng, which did a great damage to the people in the region, the reduction policy and addition policy by the government to solve the problems, and finally the problems relating to the allocation and acquisition of the gingseng affecting the Ministry of Finance, the local authorities in Kanggye and the people in Kanggye in sequence. Although the paper covered part of the regions in P'yang province in the later period of the Dynasty, and talked about the ginseng only in the taxation system,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given the phase of the local authorities in the country and the importance of the ginseng in the taxation system. 조선시대 인삼은 약재의 효능으로 말미암아 부가가치가 높은 물품이었다. 인삼은 동아시아 각국에서 자생하긴 하였으나, 한반도에서 생산되는 인삼은 그 약효가 월등히 뛰어났다. 이런 까닭으로 인삼은 조선초기부터 호조의 주관아래 공납제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후 17세기 대동법이 실시되면서 황해도, 경상도 등 일부 지역의 공삼은 대동법의 운영원리에 포함되어갔지만, 평안도 강계부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 지역은 계속 인삼을 중앙에 납부하였다. 이 논문은 조선후기 이러한 경제적 변화와 상황아래에서 여전히 현물공납을 유지하고 있었던 평안도 강계부의 공삼에 대해 살펴보았다. 강계부 인삼에 대한 현물공납제가 19세기까지 유지되었던 이유는 인삼의 최대생산지라는 지리적인 조건과 정부의 인삼정책이 결합되었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18세기 강계부는 조선정부의 인삼정책으로 세삼과 예무삼을 분정받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염두해 두고 다음과 같은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17세기 대동법 실시 이후 정부가 실시한 인삼정책의 흐름, 그리고 호조의 인삼재정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강계부에 분정한 세삼과 예무삼이 강계민에게 많은 피해를 주자, 정부가 이를 해결하기 실시한 감액책과 첨가책의 성격, 마지막으로 호조-강계부-강계민으로 이어지는 공삼의 부과와 수취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이 논문이 비록 평안도의 일부 지역을 다루고, 공납제에서도 인삼이라는 단일 공물을 언급했지만 조선후기 강계부가 전국에서 가지는 경제적 위상, 인삼이 공납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연구의 의의는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17세기 전반 충청도 서산지역의 부세운영과 鹽稅 - 호산록을 중심으로 -

        문광균 호서사학회 2024 역사와 담론 Vol.- No.110

        본 연구는 현전 충청도 最古 사찬읍지인 호산록 을 통해 17세기 전반 서산지역의 사회경제상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중 본 연구에서는 당대 민생과 직결되었던 전결과 호구, 진상과 공물 상납, 鹽稅 부담 등 부세운영에 대한 부문을 집중 조망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충청도 서북부에 위치한 서산은 왜군의 침입로에서 벗어나 있어서 조선전기와 비교해 볼 때 전결수에 큰 변화는 없었다. 경상도와 전라도가 조선전기 대비 1/6, 1/4의 수치로 줄어든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었다. 서산은 비록 전란의 직접적인 피해는 적었으나, 전란 당시 부족한 군수물자를 부담하느라 전란 후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 부세 부담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서산은 바다를 끼고 있어 조선전기부터 해산물을 진상해야 했다. 그중 석화와 낙지는 연중 상납해야 했는데, 한 겨울과 한 여름에 바다에서 석화를 캐고, 낙지를 잡아야 했던 대산면, 지곡면 등에 살았던 海戶의 부담이 특히 심했다. 또한 충청병영에서 설치한 蟹箭, 전생서에 공물로 바치던 양과 염소도 상당한 부담이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잡역이 존재했는데, 서산군에서는 이를 향소에서 관리하였다. 17세기 서산은 태안과 함께 염세를 부담하고 있었다. 일명 瑞泰鹽이라 불리던 서산의 자염은 국가에서 관리하여 수세할 정도로 그 품질이 매우 좋았다. 주로 가로리만과 천수만에서 생산되는 자염은 제조 방식에 따라 耕鹽과 井鹽으로 구분되었다. 경염이 정염보다 제작일수가 적고, 노동력이 더 많이 투여되었으나 대산, 간월도, 화변 등지에서는 경염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는 왕실과 중앙 각사들의 농간이 개입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鹽戶의 부담은 가중되었고, 서산 바닷가에 살던 백성들의 유리도산은 당연한 결과였다. 서산민에게 가중된 부세 부담은 1624년(인조 12) 갑술양전 이후 비로소 조금씩 줄어들었다. 양전의 시행으로 전결세 부담이 완화되었고, 염세는 1638년(인조 16) 「瑞泰節目」을 제정하고, 호조를 중심으로 하는 관영자염장이 서산과 태안에 만들어지면서 서산의 염호들의 염세 부담이 낮아졌다. 그리고 1651년(효종 2) 호서대동법이 시행되면서 진상, 공물, 잡역에 대한 부담률도 낮아졌다. 이와 같이 17세기 전반과 중반을 거치며 중앙정부가 추진하던 양전사업과 대동법 등 굵직한 재정정책으로 인해 전란 후 증가했던 부세 부담이 다소 줄어들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f the Seosan area in the early 17th century based on Hosanrok, the best remaining book of Sachan-eup, Cheongcheong-do.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tax management including land taxes, offerings and tributes, and salt tax burdens directly related to the livelihoods of the times. First, Seosan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s of Chungcheong-do during Imjinwaeran was out of the invasion route of the Japanese forces and suffered no big changes to its arable land taxes from the former half of Joseon. It was a sharp contrast to the cases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whose arable land taxes were reduced to 1/6 and 1/4 of the level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respectively. Seosan had no direct damage from the war, but it had to provide war supplies in shortage during the war. During the restoration period following the war, it was inevitably exposed to relatively greater tax burdens than other areas. Secondly, Seosan had to offer marine products to the king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due to its adjacent location to the sea. Of marine products, the oyster and small octopus were on the list of the marine products that had to be offered to the king throughout the year. Seaside households in Daesan and Jigok, where people collected the oyster and captured the small octopus in the middle of winter and summer, suffered from immense burdens. Even when they finished the preparation of marine products including the oyster and small octopus according to their designated amounts, the Seoris of the Seosan government office would reject them many times. They also suffered considerable burdens from the lamb and goat tributes to Haejeon and Jeonsaengseo installed at the Chungcheong barracks. In addition, there were diverse duties managed by Hyangso in Seosan-gun. Finally, Seosan paid salt taxes with Taean in the 17th century. Seosan's sea salt called Seotaeyeom boasted such high quality that the government managed it and levied taxes on it. The sea salt was mainly produced in the Garori and Cheonsu bays and divided into Gyeong and Jeong salt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s. The former required fewer days of making and more input of labor than the latter. Residents in Daesan, Ganwol Island, and Hwabyeon had to turn Gyeong salt into high quality sea salt due to the rus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central Gaksa. The salt-making households had to suffer from greater burdens, and their abortion along the seashore of Seosan was a natural result. The weighted tax burdens of residents in Seosan finally began to reduce little by little after Gapsulyangjeon in 1624(12th year of King Injo's reign). As Yangjeon was implemented, the burden of arable land taxes was mitigated. The salt tax burdens of the salt-making households in Seosan were also reduced after the enactment of "Seotaejeolmok" in 1638(16th year of King Injo's reign) and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managed Jayeomjang under Hojo in Seosan and Taean. The implementation of Hoseo Daedongbeop in 1651(second year of King Hyojong's reign) also lowered the burden rates of offerings, tributes, and labor duties. The central government pushed forward the Yangjeon project and major financial policies including Daedongbeop in the early and middle 17th century, and they reduced the tax burdens that increased after the war to some degree.

      • KCI등재

        반계 유형원의 조운제도 개혁론

        문광균 조선시대사학회 2016 朝鮮時代史學報 Vol.79 No.-

        Yu Hyung-won planned ideal nation so as to renovate confused society of the 17th century and make a country whose publicity is expanded to the whole society. The key of big reformation he suggested in 『Bangyesurok』 is to exclude ‘private’ customs and realize ‘public’ concept for national system and the management. To achieve it, he intended to solve possession problem of land with gongjunje and samosok problem of military politics with military-agriculture concord theory of gongjunje. Therefore, he intended to guarantee hangsan of people and refresh the whole national system. Jounje he insisted was also planned for the goal and intention. After the 17th century, jounje was collapsed gradually because of the insufficient jounsun and excessive jojolyuk. Instead of it, transportation of private ship, lending gyunggangsun and jotosun of Seoul and transporting grains, was gradually expanded. Yu Hyung-won criticizes the private ship transportation as a form damaging people and national body and insisted on the recovery of jounje supervised by country. The concrete measures can be arranged by three things. First is establishment of 15 jochang. Yu Hyung-won intended to install 15 jochang evenly and minimize the burden of grain transportation in the strategic point of water road and sea road of the whole country. Second is preparation of jounsun and chungjung of jojol based on national history. Jounsun was arranged the number of ships by grain quantity of each jochang and the costs of preparing ships were burdened by nation. And, to maintain hangsan of jojol, gongjun, 1 gyung per a person, is paid by theory of gongjunje so as to maintain hangsan of jojol and at the same time, they intended to arrange boins. Third is rearrangement of public office and arrangement of joun regulation. At the center of public office rearrangement, there were haeunsa and jochangpangwan. He raised haeunpangwan to dansanggwan of jung 3pum and took as haeunsa because the status of haeunpangwan is low and it’s difficult to supervise grain work of gunhyun. And, he criticized receipt and transportation of grain is separately fulfilled by chasawon and youngwungwan and insisted that jochangpangwan of jung 8pum shall be appointed for all of grain works. After the joun system was completed, he intended to arrange several regulations such as transportation of ship, receipt of grain, prize and punishment, etc. on the frame of law book distribut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so as to manage jounje smoothly. Through a series of reformation, Yu Hyun-won planned to unify joun system by focusing on hojo. 유형원은 17세기 혼란한 사회를 쇄신하고 공공성이 사회 전반에 확대된 국가를 만들고자 이상국가를 기획한 인물이다. 그가 『반계수록』에서 제시한 대개혁안의 핵심은 국가제도와 그 운영에 있어 ‘私’적인 관행을 배제하고, ‘公’이념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토지의 私有 문제는 공전제로, 군정의 私募屬 문제는 병농일치 원리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민의 恒産을 보장하고, 국가제도 전반에 쇄신을 기하고자 하였다. 그가 주장한 조운제 역시 이러한 목적과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17세기 이후 조운제는 조운선의 부족과 과도한 조졸역으로 인하여 점차 붕괴되어가고 있었다. 그 대신 서울의 경강선과 지방의 지토선을 임대하여 세곡을 운송하는 ‘私船賃運’이 점차 확산되었다. 유형원은 사선임운이 백성에게 해를 끼치고 국가의 사체를 손상시키는 행태라고 비판하면서, 국가주도의 조운제 복구를 주장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안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15조창의 설치이다. 유형원은 전국 각지의 수로와 해로 요충지에 균질적으로 15개의 조창을 설치하여 세곡운송의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둘째, 國役에 기반한 조운선의 마련과 조졸의 충정이다. 조운선은 각 조창의 세곡량에 따라 선척수를 결정하고, 선척의 마련 비용은 모두 국가에서 부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조졸의 항산을 유지하기 위해 公田制의 원리에 따라 1명당 1頃의 공전을 지급하고, 동시에 保人 2명을 배정하고자 했다. 셋째, 관직 개편과 조운 규정의 정비이다. 그는 해운판관의 지위가 낮고, 군현의 세곡 업무를 관장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해운판관을 정3품 당상관으로 승격시켜 해운사로 삼고, 세곡의 수납과 운송이 差使員과 領運官에 의해 따로 이루어지는 점을 비판하면서 정8품 조창판관을 임명하여 세곡의 모든 업무를 주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조운제가 원활이 운영되기 위하여 조선전기에 반포된 법전을 기틀로 조선의 운항, 호송 업무, 세곡 수납, 상벌 등의 여러 규정을 정비하고자 했다. 이러한 일련의 개혁을 통해 조운제가 공적인 영역에서 운영되기를 기대했던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문헌을 통해 본 전라도 법성창의 실상

        문광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3 해양문화재 Vol.19 No.-

        Beopseongchang was the nation's largest tribute granary boasting a history of over 400 years. Its history was, however, gradually erased in the heads of the public following the abolishment of the tax shipping system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modern industrialization. Furthermore, the lack of data about Beopseongchang made it difficult for specialized researchers to approach the subject. It had to be remembered vaguely only as a tribute granary that transported grain paid as a tax in Jeolla Province. Based on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literature materials about Beopseongchang and analyze the reality of the management of its tax carrier crew and tax carriers. Beopseongchang, which was the largest tribute granary in the nation during the first half of Joseon, underwent many changes after Imjinwaeran. It had 29 Eups under its jurisdiction in the first half of Joseon and managed grain paid as a tax from 12 Eup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The process also witnessed the number of tax carriers reduced from 39 to 24. The number of tax carrier crew naturally decreased, too. There are not many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Beopseongchang. The investigator thus arranged secondary historical materials and found approximately 45 documents, which are highly diverse including law books, ordinances, Eup books, geography books, maps, registrations, Gwanmuns, Seomuns, Jeolmoks, Seomoks, Seongchaeks, journals, Hogudanjas, Junhogus, Wanmuns, and Ganchals. The study promoted the understanding of Beopseongchang by introducing less known 『博解』, 『湖南廳事例』, and 「地土船船主邑費矯革節目」. The study analyzed 『法聖倉漕船發船成冊』 and 『全羅道三漕倉去秋等漕需用遺在會 計成冊』 to get closer to the truth of Beopseongchang even a little bit. The former contains the sailing records of tax carriers that departed from Beopseongchang in 1865. This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terial despite the absence of a complete form in that it provides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Jahos of tax carriers, the method to load grain paid as a tax on a tax carrier, and the people aboard a tax carrier. The latter arranges the accounting details of three tribute granaries in Jeolla Province including Beopseongchang for a period of over 50 years in 1836~1888. Since the materials were fil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 time series analysis would be possible. The study examined the detailed expenditures of the tribute granaries on the surface to understand how a tribute granary was managed in those days.

      • KCI등재

        조선후기 충청수영 우후(虞侯)의 조운선 점검과 원산별장진(元山別將鎭)의 설치

        문광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2 해양문화재 Vol.16 No.-

        원산도는 충청도 서해안에 있는 도서로 면적이 넓고, 경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충청도 내륙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오래전부터 군사요충지로 지목되어 온 섬이다. 또한 이곳은 전근대 국가경제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조운제도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지역이었다.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금강 일대에서 거둔 세곡은 선박을 통해 서울로 수송되었는데, 원산도는삼남의 조운선이 반드시 경유해야 하는 지점이었다. 그만큼 원산도는 전근대 해양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섬이었다. 이 연구는 원산도의 중요성을 염두하고, 지리적 특성으로 말미암아 추진된 조선시대 대(對)원산도 정책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선전기 진관체제의 도입으로 충청도 수군은 보령의 충청수영을 중심으로 정비되었다. 원산도는 중요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초기부터 정부가 공도정책(空島政策)을 추친하고 있었으므로 별도의 군사진은 설치되지 못했다. 원산도 역사의 변곡점이 된 시기는 1669년(현종 10)이었다. 이 해 정부는 「안민창사목(安民 倉事目)」, 「조전사목(漕轉事目)」 등 조운제도와 관련된 법령을 연이어 반포하면서 조운 항로의핵심 거점을 원산도로 지목하고, 이곳에 충청수영의 우후(虞候)를 유방(留防)하도록 했다. 즉, 국가재정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청수군의 핵심인 정4품의 관원을 이곳에 머무르게 했던것이다. 우후는 이곳에서 6개월간 유방하면서 조운선의 점검과 호송, 해양경계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원산도가 우후의 주둔지가 되면서 이곳은 점차 군사기지화되었다. 이로 인해 18세기원산도는 ‘원산진(元山鎭)’이라고도 불렸다. 원산도의 군사기지화가 도민(島民)에게 혜택만을 가져다 준 것은 아니었다. 우후가 원산도에 유방한 이후 도민은 정규적인 세금 외에도 착선역(捉船役), 구증역(鉤拯役), 증렬미(拯劣 米), 요망역(瞭望役) 등의 부역에 동원되어야 했다. 이로 인해 원산도의 중요 마을인 진촌(鎭村) 과 선촌(船村)을 중심으로 마을간의 갈등이 야기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홍주, 결성, 보령 등 인근 군현에서는 이들의 생계 기반인 어선을 강제로 잡아가두는[추착(推捉)] 불법도 서슴치 않았다. 도서민에 대한 천대와 괄시가 사회 저변에 깔려 있었던 셈이다. 조선정부는 국가에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원산도, 그리고 이곳에 거주하는 도민의 유리도산을 방지하고자 1854년(철종 5) 원산진(元山鎭)을 전격 설치하였다. 충청감사는 복잡다단한 원산도의 행정 및 부세체계를 단일화하고, 해양방어를 강화한다는 명분아래 종9품의 별장을파견하였다. 그러나 이 조처에 충청수사의 반발이 매우 심했다. 충청수사는 지속적으로 원산도의 환속을 요구하였고, 그 결과 1869년(고종 6) 원산도의 우후 유방제 복구, 1871년(고종 8) 충청수사가 관할하는 별장진의 복설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원산진이 설치된 이후 이곳에는 35명의 원산별장이 파견되었고, 19세기 말까지 원산도는 조운선 점검지와 해양방어의 전초기지로써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충청도 조운제도의 변화와 금강 일대 군현의 세곡운송

        문광균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8

        충청도의 조운제도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성종과 중종 연간을 거치며 조운제도가 완비되었다. 그러나 17세기를 전후하여 발생한 임진왜란으로 조운선과 조군을 확보하기 어려워지자, 조선왕조는 사선(私船)이라 불리는 서울의 경강선이나 지방의 지토선을 활용하여 지방의 세곡을 상납하였다. 이를 직납(直納) 또는 직상납(直上納)이라고 한다. 직납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삼남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는데, 그 중 충청도의 직납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충청도에서 세곡을 직납하던 지역은 서해안과 금강 일대 군현이었다. 이 서해안과 금강 일대 군현이 직납을 하기 위해서는 세곡을 적재할 선박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지토선이 적었을 뿐 아니라 경강선주를 유인할 수 있는 여건도 부족했다. 경강선주들은 선박을 임대해주고 받는 임대료 즉, 선가(船價)에 예민하게 반응했는데 충청도는 전라도와 경상도에 비해 선가가 낮았다. 따라서 경강선주는 충청도의 세곡 운송을 회피하였고, 이로 인해 홍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바다에서 경강선을 강제로 잡는 착선(捉船)을 자행하기도 했다. 결국 조선왕조는 안정적으로 재원을 조달하고자 작대제(作隊制)를 실시하고, 경강선을 선계(船契)로 조직하고 충청도의 세곡운송을 담당하도록 했다. 그리고 정조대 등장한 주교사의 주교선이 작대제와 결부되면서, 19세기 충청도 직납 군현의 세곡은 주교선이 전담하였다. 충청도 금강 일대에 위치한 11개 군현은 모두 주교선의 활동 무대였다. 각 군현에서는 금강 변에 강창과 해창을 설치하고, 경내에서 수취한 세곡을 집적하였다. 그러면 서울에서 주교선이 내려와 세곡을 운송해갔다. 주교선에는 감관, 색리, 선주, 격군 등 14명의 선원이 탑승했다. 이 중 감관과 색리는 세곡을 납부하는 군현에 거주하는 인물들이었고, 선주와 격군은 서울 용산 등지에 거주하던 한강민들이었다. 금강에서 출발한 주교선은 30일 정도 항해하여 서울에 도착하였다. 이와 같이 금강을 무대로 활동하던 주교선 중심의 세곡운송방식은 19세기 후반까지 계속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