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용매와 추출조건에 따른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의 항균력

        목종수(Jong-Soo Mok),박욱연(Uk-Yeon Park),김영(Young-Mog Kim),장동석(Dong-Suck Ch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6

        단삼에서 항균성물질을 추출하여 천연식품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추출용매의 종류나 추출조건에 따른 항균력을 시험하고 각종 병원성 세균이나 부패 미생물에 대한 균종별 항균력을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 부탄올,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헥산을 용매로 사용하여 단삼으로 부터 추출한 결과, 에탄올로 추출한 것이 다른 용매 추출구 보다 1.5배 이상 항균력이 강하였다. 2. 단삼으로 부터 항균성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으로는 무수에탄올을 단삼 중량의 10배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3. 그람 양성균에 대한 단삼추출물의 MIC는 3.13~50㎍/ml으로 우수한 항균효과 나타내었으며, 특히 Bacillus속에 대하여 MIC는 3.13㎍/ml으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4. 단삼 추출물의 그람 음성균에 대한 MIC는 800㎍/ml 또는 그 이상이었고, 효모에 대한 MIC는 400~800㎍/ml으로 그람 양성균에 비하여 매우 약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In order to develop a natural food preservative, dried salviae miltiorrhizae radix (Salvia miltiorrhiza) was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optimum extracting condition for the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sampl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extracted substance against microorganisms were also examine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initial ethanol extract from the sample was the strongest compared to those of other solvent extracts such as n-hexane, acetone, butanol, methanol and water. The optimum extracting condition for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sample was shaking extraction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in case that 10 volumes of absolute ethanol was added to crushed Salvia miltiorrhiza. The ethanol extract had strong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MIC, 3.13~50㎍/ml) such as B. cereus, B. subtilis, L. monocytogenes, S. aureus, Sc. mutans. Among Gram-positive bacteria tested, Bacillus species was the most susceptibile to the extracted substanc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t from the sample was weak to Gram-negative bacteria and yeasts, for example MIC for Gram-negative bacteria and yeasts was 0.8㎍/ml and 0.4-0.8㎍/ml,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한국산 주요 식용해조류의 미량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목종수(Jong-Soo Mok),박희연(Hee-Yeon Park),김지회(Ji-Ho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9

        우리나라 연안에서 수집한 김(33점), 미역(88점), 다시마(12점), 파래(43점) 등 총 176점의 주요 식용 해조류에 대한 미량금속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아연, 망간, 구리 순으로 우리 체내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성분들의 함량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크롬, 니켈, 납, 카드뮴, 수은 순이었다. 김에서는 카드뮴과 아연이, 그리고 파래에서는 크롬, 니켈 및 납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다시마에서는 수은이 가장 높게 검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카드뮴과 아연의 농축계수는 김에서 각각 약 12,000 및 14,0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크롬과 납은 파래에서 각각 약 23,000 및 약 2,500으로 가장 많이 농축되었다. 또한, 구리는 김과 파래에서 약 5,500으로 많이 농축되었다. 다시마에서는 망간과 납 사이에 다른 식용 해조류와는 달리 특이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금속 간의 상관관계도 같은 갈조류인 미역, 그리고 녹조류인 파래와 전혀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김, 미역, 파래에서는 니켈-망간, 니켈-크롬 및 망간-크롬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다른 금속들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크롬-니켈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우리나라 국민의 식용해조류를 통한 수은의 1일 섭취량은 평균 0.03 ㎍이었으며, 이는 PTWI(5 ㎍/㎏ body weight/week)의 0.07%수준이었다. 또한, 카드뮴의 1일 섭취량은 평균 2.15 ㎍이었으며, 이는 PTWI(7 ㎍/㎏ body weight/week)의 3.57%수준이었다. 납의 1일 섭취량은 평균 2.65 ㎍이었으며, 이는 PTWI (25 ㎍/㎏ body weight/week)의 1.20%수준이었다. 따라서 우리국민이 해조류를 통해 일주일에 섭취하는 수은, 납, 카드뮴 등의 함량은 PTWI의 0.07~3.57%에 해당되며, 유해 중금속 함량은 매우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국민은 해조류 통한 구리, 아연, 망간, 크롬의 섭취량은 영양소 기준치의 각각 1.35, 0.89, 4.28, 9.18% 수준이었다. To assure the safety of the major edible seaweeds, we collected the 176 samples of seaweeds such as laver (Porphyra sp.),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lettuce (Enter - omorpha sp.) from Korean coast.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trace metals in the edible seaweeds, and the values were expressed as the dry weight of sea weeds. The mean levels of the trace metals were high in the oder of Zn (36.19±27.14 ㎍/g), Mn (28.75±28.03 ㎍/g), and Cu (6.82±7.62 ㎍/g), which are necessary metals in the human body, and then followed by Cr (1.54±2.07 ㎍/g), Ni (1.29±2.57 ㎍/g), Pb (0.89± 1.11 ㎍/g), Cd (0.72±0.80 ㎍/g) and Hg (0.01±0.02 ㎍/g). The contents of Cd and Zn were high in the laver, Cr, Ni and Pb were detected highly in sea lettuce, and Hg was detected highly in sea tangle.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s were obtained among 28 different pairs of metals, some of them highly correlated (r>0.5, p<0.05), such as Ni-Mn, Zn-Ni, Cu-Pb and Cu-Zn in laver, Ni-Zn in sea mustard, Cu-Pb, Cu-Zn and Mn-Pb in sea tangle, and Ni-Cr in sea lettuce. And, the trace metal contents of seaweeds varied with parts and kinds of samples. The average weekly intakes of Hg, Cd and Pb from seaweeds were about 0.07~3.57% of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which has set by FAO/WHO to evaluate the safeties of trace metals in foo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y showed very safe levels in the edible seaweeds.

      • KCI등재

        한국 연안산 해산 무척추동물의 중금속 함량

        목종수(Jong-Soo Mok),이가정(Ka-Jeong Lee),심길보(Kil-Bo Shim),이태식(Tae-Seek Lee),송기철(Ki-Cheol Song),김지회(Ji-Ho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6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동해, 서해 및 남해연안에서 채취하여 위판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연안산 패류(복족류 및 이매패류), 두족류, 갑각류 등의 해산무척추동물 52종 239개체에 대한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인증표준물질(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을 사용한 각 중금속에 대한 회수율은 평균 86.3~104.6%로 Codex에서 요구하고 있는 수준에 부합하였다. 우리나라 연안산 복족류의 중금속 함량은 아연 21.471±10.794 ㎍/g, 구리 4.115±2.565㎍/g, 망간 0.868±0.593 ㎍/g, 니켈 0.254±0.418 ㎍/g, 납 0.238±0.220 ㎍/g, 카드뮴 0.154±0.170 ㎍/g, 크롬 0.110±0.082 ㎍/g 순이었고, 이매패류의 경우는 아연 35.655±46.978㎍, 망간 5.500±9.943 ㎍, 구리 3.129±5.979 ㎍, 카드뮴 0.423±0.345 ㎍/g, 니켈 0.402±0.379 ㎍, 크롬 0.233±0.234 ㎍/g, 납 0.232±0.216 ㎍/g 순이었다. 또한, 두족류는 아연 18.380±5.479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리 3.594±1.823㎍/g, 망간 0.630㎍0.603 ㎍/g, 크롬 0.150±0.115 ㎍/g, 납 0.068±0.066 ㎍/g, 카드뮴 0.034±0.046 ㎍/g, 니켈 0.030±0.047 ㎍/g 순이었고, 갑각류의 경우 아연 25.333±9.608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리 9.042±8.895 ㎍/g, 망간 0.659±0.412 ㎍/g, 크롬 0.592±2.172 ㎍/g, 카드뮴 0.207±0.204 ㎍/g, 납 0.126±0.094 ㎍/g, 니켈 0.094±0.110 ㎍/g 순이었다. 따라서 카드뮴, 납 등 유해 중금속의 함량은 이매패류>갑각류=복족류>두족류 순으로 높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나라 국민의 수산물을 통한 중금속의 1일 섭취량은 각각 카드뮴 6.88 ㎍, 크롬 19.13 ㎍, 구리 137.02 ㎍, 망간 156.13 ㎍, 니켈 11.39 ㎍, 납 7.01 ㎍ 및 아연 1,025.94 ㎍이었다. 이는 FAO/WHO에서 설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와 비교해 보면, 카드뮴의 11.47%, 구리의 0.46%, 납의 3.27% 및 아연의 1.71% 수준이었다. 따라서 우리국민이 수산물을 통하여 섭취하는 카드뮴 및 납 등 유해 중금속 함량은 매우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To measure the heavy metal contents of marine invertebrates, we collected 239 individuals representing 52 species from the eastern (Pohang), western (Gunsan), and southern (Tongyeong) coasts of Korea: 34 species of molluscan shellfish (Gastropoda and Bivalvia), 6 species of Cephalopoda, 8 species of Crustacea, and 4 other species. The mean levels of the heavy metals in the samples taken from the edible portion of each Gastropoda were high in the order of Zn (21.471 ㎍/g), Cu (4.115 ㎍/g), Mn (0.868 ㎍/g), Ni (0.254 ㎍/g), Pb (0.238 ㎍/g), Cd (0.154 ㎍/g), and Cr (0.110 ㎍/g). The heavy metals in the Bivalvia were high in the order of Zn (35.655 ㎍/g), Mn (5.500 ㎍/g), Cu (3.129 ㎍/g), Cd (0.423 ㎍/g), Ni (0.402 ㎍/g), Cr (0.233 ㎍/g), and Pb (0.232 ㎍/g). The heavy metals in the Cephalopoda were high in the order of Zn (18.380 ㎍/g), Cu (3.594 ㎍/g), Mn (0.630 ㎍/g), Cr (0.150 ㎍/g), Pb (0.068 ㎍/g), Cd (0.034 ㎍/g), and Ni (0.030 ㎍/g). The heavy metals in the Crustacea were high in the order of Zn (25.333 ㎍/g), Cu (9.042 ㎍/g), Mn (0.659 ㎍/g), Cr (0.592 ㎍/g), Cd (0.207 ㎍/g), Pb (0.126 ㎍/g), and Ni (0.094 ㎍/g). Therefore, the mean levels of the harmful heavy metals (Cd and Pb) in marine invertebrates were high in the order of Bivalvia>Crustacea=Gastropoda>Cephalopoda.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the heavy metals from the fisheries products were as follows: Cd (6.88 ㎍), Cr (19.13 ㎍), Cu (137.02 ㎍), Mn (156.13 ㎍), Ni (11.39 ㎍), Pb (7.01 ㎍) and Zn (1,025.94 ㎍). The average weekly intakes of Cd, Cu, Pb and Zn from the fisheries products were 11.47%, 0.46%, 3.27% and 1.71%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established by FAO/WHO Expert Committee for Food Safety Evaluation.

      • KCI등재

        한국 연안산 어류의 중금속 함량

        목종수(Jong-Soo Mok),심길보(Kil-Bo Shim),조미라(Mi-Ra Cho),이태식(Tae-Seek Lee),김지회(Ji-Ho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동해, 서해 및 남해연안에서 채취하여 위판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연안산 어류 총 53종 177개체에 대한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인증표준물질(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을 사용한 각 중금속에 대한 회수율은 평균 88.7~100.6%로 Codex에서 요구하고 있는 수준에 부합하였다. 어류의 중금속 함량(생물기준)은 아연이 8.981±4.835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리 0.755±0.507 ㎍/g, 망간 0.433±0.699 ㎍/g, 크롬 0.206±0.181 ㎍/g, 니켈 0.081±0.110 ㎍/g, 납 0.038±0.046 ㎍/g, 카드뮴 0.017±0.023 ㎍/g 순이었다. 한편, 우리나라 국민의 어류를 통한 중금속의 1일 섭취량은 각각 카드뮴 0.81 ㎍, 크롬 9.98 ㎍, 구리 36.63 ㎍, 망간 21.01 ㎍, 니켈 3.93 ㎍, 납 1.84 ㎍ 및 아연 435.58 ㎍이었다. 이는 FAO/WHO에서 설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와 비교해보면, 카드뮴 1.35%, 구리 0.12%, 납 0.86% 및 아연 0.73% 수준이었다. 따라서 우리국민이 어류를 통해 일주일에 섭취하는 카드뮴 및 납의 함량은 PTWI의 0.86~1.35%에 해당되며, 이들 유해 중금속 함량은 매우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We collected 177 fishes representing 53 species of fish from the eastern (Pohang), western (Gunsan), and southern (Tongyeong) coasts of Korea, and measured their heavy metal contents. The mean recoveries of the heavy metals extracted from cod muscle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 were 88.7~100.6%. The mean levels of the heavy metals in the samples taken from the edible portion of each fish were high in the order of Zn (8.981±4.835 ㎍/g), Cu (0.755±0.507 ㎍/g), and Mn (0.433±0.699 ㎍/g), which are necessary metals in the human body, and then followed by Cr (0.206±0.181 ㎍/g), Ni (0.081±0.110 ㎍/g), Pb (0.038±0.046 ㎍/g), Cd (0.017±0.023 ㎍/g).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the heavy metals by the fishes were as follows: Cd (0.81 ㎍), Cr (9.98 ㎍), Cu (36.63 ㎍), Mn (21.01 ㎍), Ni (3.93 ㎍), Pb (1.84 ㎍) and Zn (435.58 ㎍). The average weekly intakes of Cd, Cu, Pb and Zn by the fishes were 1.35%, 0.12%, 0.86%, and 0.73%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established by FAO/WHO Expert Committee for Food Safety Evalu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계피 추출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목종수,송기철,최낙중,양호식,MOK Jong-Soo,SONG Ki-Cheol,CHOI Nack-Joong,YANG Ho-Shik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5

        어류질병에 대한 천연 항균제를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계피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최소발육저지농도, 최소살균농도 및 어류 사료에 적용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계피 추출물의 그람양성세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는 $75.8\sim189.6{\mu}g/mL$이었고, 그람음성세균에 대하여는 $75.8\sim113.8{\mu}g/mL$ 이었으며, 그람양성균보다 음성균에 대하여 보다 강한 살균작용을 나타내었다. 계피 추출물은 본 실험에 사용된 그람양성세균 및 그람음성세균 모두에 대하여 폭 넓은 항균스펙트럼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Streptococcus iniae, Edwardsiella tarda 및 Listonella anguillarum에 대하여 강한 증식 억제력을 보였다. 계피 추출물은 S. iniae에 대하여 $113.8{\mu}g/mL$ 첨가로 살균작용을 보여 12시간 배양 후 31og 정도의 균수를 감소시켰고, $189.6{\mu}g/mL$ 첨가구는 초기 균수 $10^6CFU/mL$인 것이 12시간 배양 후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L. anguillarum에 대하여는 $75.8{\mu}g/mL$ 첨가시에는 배양 24시간 후 약 21og 정도의 균수가 감소하였고, $151.6{\mu}g/mL$첨가구에서는 24시간 후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사료를 계피 추출액에 침지시 적정 침지 시간은 10분이었으며, 사료 중량에 따른 추출물 흡수량은 식 Y=7.2726X+4.5083 ($R^2=0.9998$)이었다 계피 추출액에 침지시킨 사료는 사용된 모든 어류질병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그것의 항균활성은 저장온도 $10\sim35^{\circ}C$에서 28일까지 안정하였다. 또한 침지 사료를 액체배지에 넣어 배양했을 때, 사료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To develop a natural antibacterial agent for fish bacterial diseases, antibacterial activit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and bactericidal effect of cinnamon bark extract were examined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 to the fish diet was also estimated, Cinnamon bark extract showed the broad spectrum of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especially, it had strong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iniae, Edwardsiella tarda and Listonella anguillarum. Its MIC was $75.8\sim189.6{\mu}g/mL$ against Cram positive bacteria, and $75.8\sim113.8{\mu}g/mL$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in liquid medium, It was found to show stronger bactericidal action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than Cram positive bacteria.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it resulted in a proportional reduction of viable cell counts of both S. iniae and L. anguillarum. The former was not detected by addition of $189.6{\mu}g/mL$ after 12 hours incubation and the latter by addition of $151.6{\mu}g/mL$ after 24 hours incubation, respectively. It was reasonable that fish diet was soaked in cinnamon bark extract for ten minutes. The relationship formula between the weight of fish diet and the extract absorbed to fish diet was Y=7.2726X+4.5083 ($R^2=0.9998$). The fish diet soaked in the extract inhibited the growth of all strains used in this study. Its antibacterial activity was stable at the range from $10^{\circ}C\;to\;35^{\circ}C$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28 days. When the diet soaked in the extract was incubated in liquid medium at $35^{\circ}C$, it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habited in the diet.

      • KCI등재

        서해산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토사 배출 및 미생물 정화 조건

        송기철,목종수,강창수,장동석,SONG Ki-Cheo1,MOK Jong-Soo,KANG Chang-Su,CHANG Dong-Suck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서해산 동죽의 토사 배출 및 미생물 정화의 최전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토사 배출에 대한 수질의 영향, 그리긴 동죽에 대한 폐사율, 토사 잔존유무 및 세균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죽의 토사 배출을 위한 적절한 수질조건은 수온 $23^{\circ}C$, 염분농도 $32.9\~35.0\%_{\circ}$, $pH\;7.9\~9.0$이었다. $23^{\circ}C$로 조절한 자연해수 (염분농도 $32.9\%_{\circ}$, pH 7.9)를 사용하여 토사배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동죽은 마리당 평균 약 210mg의 토사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24시간 후에 $94\%$를 배출하였다. 동죽은 공급 해수의 유수량과 동죽에 대한 해수 비율이 높을수록 양호한 생리상태 및 토사배출 성상을 보였으며, 최적 토사배출조건은 동죽에 대한 수조내 해수 비율을 4,000 L/$m^3$ 이상으로 하여 최저 150 L/minute/$m^3$의 유수량으로 36시간 이상 공급해 주는 것이었다. 동죽의 미생물 정화는 토사 배출과 마찬가지로 유수량이 많을수록 동죽에 대한 해수 비율이 높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인 미생물 정화 조건은 동죽에 대한 해수 비율이 4,000 L/$m^3$ 이상일 때 최저 150 L/minute/$m^3$의 유수량으로 24시간 이상 공급해주는 것이었다. Surf clam, Mactra veneriformis, is a important shellfish produced i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But it's ready to be contaminated and have sand in flesh because it mainly inhabit in silt at tHe inside of coastal area. We determined optimum conditions for the sand elimination and microbial depuration in the shellfish harvested from western coast of Korea. It was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conditions of process water for the sand elimination were $23^{\circ}C$, $32.9-35.0\%_{\circ}$ salinity and pH $7.9\~9.0.\;A$ surf clam contained about 210 mg of sand whose $94\%$ was eliminated after 24 hours in natural sea water ($32.9\%_{\circ}$ , pH 7.9) controlled at $23^{\circ}C$. To eliminate both sand and microorganisms contaminated in surf clam, the process water should be run during at least 36 hours for the former and 24 hours for the latter at 150 L/minute/$m^3$of shellfish, when its volume was above 4,000 L/$m^3$ of shellfish in 2 tons of tank.

      • KCI등재

        서해산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토사 배출 조건

        송기철,목종수,강창수,장동석,SONG Ki-Cheo1,MOK Jong-Soo,KANG Chang-Su,CHANG Dong-Suck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3

        서해안에서 생산되는 주요 패류인 바지락의 토사 배출률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토사 배출에 관여하는 환경인자의 영향과 토사 배출에 따른 해수의 pH 및 용존 산소의 변화, 그리고 바지락에 대한 세균학적 조사, 폐사율 및 토사 잔존유무를 검토하였다. 바지락의 토사 배출에 있어서 해수 온도의 영향을 보면 수온 $23^{\circ}C$에서 가장 양호하여 48시간 후에 $97.9\%$가 배출되었으며, 염분농도는 $32.9\~40\%_{\circ}$에서 가장 양호하여 48시간 후에 $94.7\~97.1\%$가 배출되었다. 또한 pH의 영향을 보면 pH 9.0에서 가장 많은 양이 배출되어 48시간 후에 $98.0\%$가 배출되었으며, 자연해수인 pH 7.9와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바지락은 해수를 유수시키지 않고 12시간마다 해수만 교환한 시험구에서는 48시간 경과후 $2\~24\%$의 폐사체가 발생하였으나, 유수 시킨 시험구에서는 48시간까지 폐사체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모든 시험구에서 36시간 이상 경과시 대부분의 토사가 배출되었다. 바지락의 토사 배출을 위한 최적 해수 공급 조건은 바지락에 대한 해수 비율이 3,000과 4,000 L/shellfish $m^3$일 때에는 해수를 150L/min./shellfish $m^3$ 이상, 6,000과 8,000 L/shellfish $m^3$일 경우에는 해수를 100L/min./shellfish $m^3$ 이상 공급하는 것이었다.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shellfish produced i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But it's ready to be polluted and have sand in flesh because it mainly inhabit in silt at the inside of coastal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informations about the elimination of sand in shortnecked clam harvested from western coast of Korea. During rearing shortnecked clams in water tank, the elimination rates of sand from them at 6, 13, 23, $28^{\circ}C$ were 59.0, 88.2, 97.9, $96.1^{\circ}C$ after 48 hours, respectively. The sand was eliminated above $95^{\circ}C$ from the shellfish at 32,9 to $40\%_{\circ}$ of salinity after 48 hours. But the sand elimination from them was incomplete and inconsistent at 10 to 20 of salinity. The sand was eliminated rapidly at pH 1.9 to 9.0 however, its elimination was not effective at neutral or acidity range, It was found that the sand elimination was most effective at $23^{\circ}C, 35\%_{\circ}$ salinty and pH 9.0. Reasonable flow rate for sand eliminate in shortnecked clam was above 150 L/min./shellfish $m^3$ under both 3,000 and 4,000 L/shellfish $m^3$, and above 100 L/min,/shellfish $m^3$ under both 6,000 and 8,000 L/shellfish $m^3$ in water ta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