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양성 난소기형종에서 발생한 편평세포암 2 례

        목정은,김영탁,이영배,김암,정동근,이인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8

        저자들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양성 난소기형종에서 발생되는 희귀한 악성변형증 편편세포암 2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presence of malignant squamous cell components in the ovaries is rare whether it is primary or metastatic. We present two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arising from benign cystic teratomas of ovary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액검사상 정상으로 판명된 남성에서의 정자형태의 정밀분석에 의한 재평가

        목정은,김정훈,조윤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1994년 6월부터 1994년 9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불임크리닉에서 배란장애만 있거나 (n=40) 원인불명의 불임(n=15)으로 배란유도 또는 과배란유도주기에서의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받은 5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궁강내 인공수정 당일 정자형태의 정밀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행당일의 통상적 정액검사상 모두 정상소견을 보였던 대상환자 55명에서 정자형태의 정밀분석을 시행한 결과 정자의 정상형태비는 범위가 1.1-15.4%로서 평균 6.6+-3.3%이었으며, 정자의 형태지수는 범위가 2.4-20.2%로서 평균 10.7+-5.0% 였다. 2. 통상적 정액검사는 모두 정상인 것으로 나타난 대상환자 55명에서의 정자형태의 정밀분석 결과, 이들중 7명(12.7%)은 정자의 정상형태비가 2.5%미만이었고 정자의 형태지수도 5.5%미만이었다. 대상환자중 1명 (1.8%)은 정자의 정상형태비는 2.5%를 넘었으나, 정자의 형태지수가 5.5%미만이었다. 3. 대상환자 55명중 크로미펜이 사용된 군에 포함된 34명의 환자들중 4명에서 정자형태의 정밀분석결과 정자의 정상형태비가 2.5%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4/34=11.8%). 배란유도를 위하여 클로미펜이 사용되어던 34명의 대상환자들 중 8명이 임상적 임신에 도달하여 시술주기 및 환자당 임신율은 23.5%로 나타났는데 정자형태의 정밀분석 결과 정자의 정상형태비가 2.5%미만, 정자의 형태지수가 5.5%미만으로 나타났던 4명은 모두 임신에 실패하였다. 임신에 성공하였던 8명의 환자들중 정자형태의 정밀분석 결과 가장 낮은 정자의 정상형태비 및 형태지수를 보인 경우가 각각 4.1%와 6.2%로 나타났다. 4. HMG 단독요법에 의하여 배란 유도 및 과배란유도가 시행되었던 5명의 환자들은 정자형태의 정밀분석 결과 모두 정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5명중 4명에서 임신이 되어 시술주기 및 환자당 임신율은 80.0%였다. 5. GnRH agonist 의 초단기투여법이 사용되었던 16명의 환자들중 7명이 임신에 성공하여 시술주기 및 환자당 임신율은 43.8%로 나타났다. 이들에서의 정자형태의 정밀분석결과 정자의 정상형태비가 2.5%미만이었던 3명은 모두 임신에 실패하였고, 정자의 형태지수가 5.5%미만이었던 4명중 1명은 임신에 성공하였다. 임신에 성공하였던 7명의 환자들중 정자형태의 정밀분석 결과 가장 낮은 정자의 정상형태비 및 형태지수를 보인 경우가 각각 2.6%와 5.3% 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정자형태의 정밀분석은 원인불명의 불임환자들에서는 물론 모든 불임환자들에 있어 기초 불임검사로서 특시 보조 생식술의 시행 이전에 확인하여야 할 검사로서 통상적 정액검사와 더불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이같은 경우 불임부부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정확한 치료법을 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치료성적의 향상은 물론 환자의 신체적,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격감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the incidence of male factor infertility diagnosed by sperm morphology evaluation using strict criteria(SMEUSC) in male with normal findings in conventional semen analysis an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MEUSC as a routine screening test in inferile couple, from June to September 1994. Fifty-fivy infertile couples who had undergone intrauterine insemination(IUI) during ovarian stimulation cycles for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due to ovulatory factor(n=40) and unexplained infertility(=15) were allocated to the study group. Ovarian st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clomiphene citrate(n=34),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hMG) (n=5), and ultrashort protocol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GnRH) agonist(n=16). All male partners included in this study had normal findings in conventional semen analyses. Of the 55patientsstudied, 7(12.7%) had a normal sperm morphology below 2.5% and 8(14.5%) had a morphology index (summation of noraml and slightly amorphous morphology) below 5.5% in SMEUSC. All patients with $lt;2.5% normal sperm morphology had a morphology index below 5.5%. All patients with $lt;2.5% normal sperm morphology did not become pregnant. All patients with $lt;5.5% morphology index except a patients did not become pregnant. A patient with 5.3% morphology index became pregnant through IUI during ovarian stimulation cycle using ultrashort protocal of GnRH agonis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MEUSC is simple, inexpensive and useful and it could be required as a routine screening test for the appropriate therapeutic approach in infertile couples.

      • KCI등재

        한국여성에서 난소암 진단을 위한 혈청 CA 125 측정의 유용성

        목정은,김영탁,남주현,조윤경,김상순,이수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12

        저자들은 1989년 5월부터 1992년 4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과 한림대학교 의료원에서 경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면역법을 이용하 혈청 CA 125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외견상 건강하고 내진과 초음파 등을 종합하여 부인과적으로 정상이었던 550명에서 CA 125치를 측정한 결과 평균치±표준편차 2배수는 37.7 U/ml, 제 95 백분위수는 34.0 U/ml로 통상 우리가 사용하는 35 U/ml 기준치와 별 차이가 없었다. 35U/ml를 기준치로 적용시 가양성율은 4.4%, 65 U/ml 기준시는 0.7%이었다. 2. 51세이상의 정상군에서는 35 U/ml이상이 단 1명(0.9%)으로 고연령층 특히 폐경이후에 CA 125를 선별검사로 이용할 경우 99.1%의 높은 특이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50세이하군에서는 65 U/ml 기준치 적용시 역시 가양성율이 0.9%로 연령에 따라 기준치 적용을 달리하여 그 이상 증가되어 있으면 철저한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 양성 부인과질환에서의 평균치는 난소낭종이 37.5, 자궁근종 53.0, 자궁내막종 71.7, 난소난관농양 255.5, 골반결핵 466.7 U/ml순이었으며 35 U/ml기준시 가양성율은 각각 15.7, 37.3, 59.4, 69.2, 100%이었다. 양성 난소낭종 환자의 제 95백분위수인 126 U/ml를 적용할 경우 전체적으로 11.3%, 난소낭종에서는 4.6%의 가양성율을 얻었다. 4. 난소암의 경우 평균치는 881.2 U/ml이었으며 다른 부인암은 110.2 U/ml이었고 중앙치는 각각 474.0, 33.9 U/ml이었다. 난소암에서의 민감도는 35 U/ml 기준시 상피성 난소암이 91.1, 비점액성 난소암이 89.7%이었다. 126 U/ml 기준시 각각 82.2, 87.2%이었다. 5. FIGO 병기별 민감도는 35 U/ml 기준시 I기가 57.1%, II기가 50%, III,IV기가 100%로 암세포의 양에 따라 증가하였다. 6 . 상피성 난소암의 감별진단에서 35 U/ml 기준치 적용시 CA 125의 민감도는 91.1%, 특이도는 84.3%, 진단적 유효도가 85.4%이었다. 126 U/ml기준치 적용시 민감도는 82.2%로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특이도는 95.4%로 증가하여 난소종괴의 악성여부를 감별하는데에는 가장 우수한 진단적 유효도 93.1%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상여성에서 CA 125를 난소암의 조기진단 목적으로 측정할 경우 51세이상군에서는 35 U/ml, 50세이하군에서는 65 U/ml의 기준치에서 각각 99.1%의 특이도를 보임으로서 연령에 따라 기준치를 달리하여 그 이상 증가한 경우 의미있는 증가로 보고 철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난소종괴의 악성감별진단에는 126 U/ml 기준치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진단적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Our objectives were to define the optimal threshold level of CA 125 in Korean women for early detection of ovarian cancer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is marker for differentating malignant from benign pelvic masses. Study Design: Serum CA 125 levels were measured by immunoradiometric assay in total 1,049 samples which were collected from 550 apparently healthy women, 388 patients with benign pelvic masses, and 111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s. Results: CA 125 levels were above 35 U/ml in 24(4.4%) of 550 healthy women, however only one exceeded 35 U/ml among women 50 years or older (specificity: 99.1%). Of women younger than age 50, 4(0.9%) had elevated CA 125 levels above 65 U/ml. Among 388 patients with benignpelvic masses, CA 125 levels above 35, and 65 U/ml were detected in 115 (29.6%), and 67 (17.3%) patients respectively. Using both cut-offs of CA 125, the rates of sensitivity were 91.1% and 88.9%, respectively, for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Using threshold of 126 U/ml which is the level of the 95th percentile for 216 patients with benign ovarian tumor, the rate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differentiating epithelial cancer from begnign ovarian tomor were 88.2% and 95.4%, respectively. Conclusion: In terms of ovarian cancer screening, different threshold levels of CA 125 should be applied by age. Using 35 U/ml threshold for women age 50 or older and 65 U/ml threshold for those under 50 years of age, the specificityes of CA 125 are adequate for screening. In differentiating malignant from benign pelvic masses, using 126 U/ml cut-off could obtain the acceptable sensitivity and the better specific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산전에 진단된 태변성복막염의 자궁내 자연치유 2 예

        목정은,원혜성,김암,이인식,이필량,김연표,유시준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0

        Meconium peritonitis is a sterile and chemical peritonitis resulting from prenatal bowel perforation mainly associated with bowel obstruction. It occurs in 1 of 35,000 live births. The underlying bowel disease includes small bowel atresia, volvulus, internal bowel hernia, intussusception, congenital bands, vascular insufficiency, and unkown causes. In recent years, meconium peritonitis has been frequently diagnosed in utero by means of prenatal sonography. Prenatal sonographic findings of meconium peritonitis include polyhydramnios, ascites, abdominal calcification, echogenic messes, pseudocyst and scrotal calcification. Recently, Two cases of meconium peritonitis which are diagnosed in utero by means of ultrasonography are resolved in utero during serial follow-up examination. We present these two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