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계자와 건축물 에너지 평가사 측면의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 비교 분석

        명일,최종대,정호연,최재규,Myung, Il,Choi, Jong-Dae,Jung, Ho-Youn,Choi, Jae-Kyu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3 No.4

        This research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ived importance of advancing zero 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from the viewpoints of two major stakeholders - designers and building energy assessors. Both groups prioritized the importance of policy, technology, education, incentives, and promotion respectively. For designers, enhancing energy efficiency standards, developing a skilled energy workforce, and implementing an office registration system emerged as critical factors in invigorating the certification process. The findings suggest potential avenues for the government to formulate realistic strategies for boosting the certification activity.

      • KCI우수등재

        녹색건축인증기준에서 실내환경분야의 평가항목 분석

        명일,윤혜경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ople tended to spend more time indoors than ever before by making the most of non-face-to-faceinteractions, remote learning, or working from home. This shift emphasized the need for better ways of defining evaluation criteria for indoorair quality under G-SEED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its residents. Under this backdrop, the performance of general houses andapartments, especially in terms of air quality management were examined and compared by analyzing the scores received on the evaluationitems for indoor air quality from 30 residential buildings; an application for G-SEED certification from version 2016 to 2016-4 was filed. The results showed that in both general houses and apartments, products that emitted fewer indoor air quality pollutants were applied to morethan 70% of the total area. When it came to ventilation performance, general houses were found to rely mostly on openable windows toachieve the desired ventilation performance, while apartments received good marks mainly due to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s. This clearlydemonstrated that although general houses and apartments are all residential buildings, they differ in terms of licensing processes, businessplan approval, the number of households residing, and scale. This may lead to a stark contrast in how they are scored in terms of ventilation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useful guidelines for construction materials and ventilation performance under G-SEED that reflect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houses and apartments while enhancing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for indoor air quality. From apractical standpoint, all of these tools will serve as a means to improve the health of all residents.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현상으로 인해 비대면의 생활, 원격교육, 재택근무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는 만큼 녹색건축인증에서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평가항목 분석 및 거주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6버젼~2016-4버젼으로 인증신청 한 주거용 건축물 30건의 실내공기질 항목의 점수를 분석하여 일반주택과 공동주택에서의 공기환경에 대한 성능평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주택과 공동주택 모두 실내공기오염물질 저방출 제품이 해당면적의 70%이상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환기성능의 경우 일반주택은 대부분 개폐가능한창을 통한 환기성능을 확보한 반면, 공동주택의 경우 기계환기설비를 통한 점수취득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같은 주거공간임에도 사업계획승인등의 인허가, 세대수 및 규모에 따라 환기성능에 대한 점수 취득이 전혀 상반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녹색건축인증에서의 공동주택과 일반주택의 특성을 고려한 건축자재 및 환기성능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및 실내공기질 관련 평가항목이 거주자의 건강에 대한 실질적인 수단이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Analysis of Self Heating Effect(SHE) according to Buried Oxide Thickness in SOI Nanowire FET

        명일,손도균,김현숙,강명곤,신형철 대한전자공학회 2017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7 No.5

        In this paper, the Self Heating Effect (SHE) is investigated in silicon on insulator (SOI) nanowire MOSFETs. A comprehensive study of SHE in Nanowire FET (NWFET) was implemented by Technology Computer-Aided Design (TCAD) simulation. Through analysis of on-current (Ion), thermal resistance (RTH), and heat flux, the DC characteristics of SHE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uried oxide thickness (Tbox). The results indicate that leakage current is not changed according to Tbox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box. In conclusion, in case that Tbox was optimized by 1 nm, temperature and RTH were reduced by 152 K and 54.5% respectively. Also, Ion was increased by 5.84% maintaining leakage current compared with Tbox of 20 nm.

      • KCI등재
      • KCI등재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접근성과 노화 태도와의 관계: 디지털 기술활용도와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의 다중 매개효과 검증

        명일(金明日),신혜리(申慧利),채사라(Sa Ra Chae),신원철(申源澈),김영선(金英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접근성과 노화 태도 간 관계에 대해 디지털 기술활용과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희대학교에서 조사한 「2019년 한국 중・고령자 기술수용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55세 이상 중고령자 500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자료는 SPSS 25.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 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응용프로그램인 SPSS Macro Process v.2.16.3을 활용하여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매개효과 확인은 붓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접근성은 디지털 기술 활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기술 활용과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디지털기기 접근성과 노화 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고령자의 긍정적 노화 태도를 위해 디지털기기와 관련된 물리적 환경 구축, 적절한 건강정보 추구행위를 위한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프로그램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multi-mediated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and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accessibility and aging attitud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e analyzed the ‘2019 Korean Middle and Elderly Technology Acceptance Survey’ by Kyunghee University. We analyzed data of 500 people over 55 years ol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using SPSS 25.0, and multi-mediated regression using SPSS Macro Process v.2.16.3. Also, the confirm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in this study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using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multi-mediated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device accessibility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Also,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and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accessibility and aging attitu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a physical environment related to digital devices and the Health Literacy program for positive aging attitud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KCI등재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 활용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명일(金明日),김영선(金英善),엄사랑(嚴사랑)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활용 유형과 그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하위 집단별 유형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7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총 1,494명의 자료를 남성과 여성 집단으로 구분 후 정보활용 유형 분석을 위한 잠재 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각 하위 집단 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 응답자와 여성 응답자의 정보활용 이용유형은 각각 3가지 유형으로 유형화되었다. 각 하위 유형이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녀 중・고령자 모두 적극적 정보활용 유형이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자의 삶의 안녕과 만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및 인터넷 활용의 실천적 개입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of middle-aged and the elder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ubgroup types on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the Korea Digital Information Agency"s "2017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was used. A total of 1,494 data were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groups, and performed Latent Profile Analysis for investig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utiliz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each subgroup type on life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are following; the information literacy types of male and female respondents were turned out three sub-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each subtyp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active information literacy type positively influenc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both middle-aged and older peop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ntervention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use of digital and the Internet to improve the well-being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