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융합교육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학습자의 창의적 인성과 교수자의 전문성 함양에 대한 연구

        맹희주(HeeJu Mae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초등 교수·학습에서 미술·과학 융합교육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학습자들의 창의적 인성 함양의 효과를 알아보고, 교수자의 PCK 변화와 자기 성찰을 바탕으로 융합교육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학 융합교육프로그램은 창의적 인성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 요소 중 호기심, 독립성, 위험감수, 심미성의 향상에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과제 집착과 사고의 개방성 향상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프로그램 적용 후 남학생의 과제집착 성향은 높아지고 사고의 개방성은 낮아진 반면, 여학생의 과제집착 성향은 낮아지고 사고의 개방성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교수자의 수업 설계 능력과 교수·학습 환경 조성 능력,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이 프로그램 적용 후에 크게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타 교과와의 융합적 시도를 통한 정서적, 정의적 발달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eative personality of learn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t and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of convergence education by investigating changes of teachers PCK and self refle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7, an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and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ultivating creative personality. Especially, it was analyzed that the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uriosity, independence, risk taking and aesthetic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effect on improvement of task attachment and openness of creative personality factors. Second, al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le students tendency toward task attachment and the openness of thinking decreas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but the female students tendency toward task attachment decreased and the openness of the accident increased.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teaching design ability, the ability to creat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 of teachers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ontinuous research for emotional and positive development through convergence attempts with other subjects is necessary.

      • KCI등재

        초등영재들의 문화 활동 분석을 통한 소외지역 영재들의 교육지원 방안 연구

        맹희주(HeeJu Mae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학교급지에 따른 초등영재들의 문화 활동 현황을 분석하고 소외지역 영재들을 위한 영재 지원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의 학교급지별 초등 영재학급이 있는 6개의 학교를 선정하여 5, 6학년의 11개의 영재학급에서 177명의 초등영재들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0월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문화 시설이 부족한 을지지역의 초등 영재들은 다른 학교급지의 초등영재들에 비해 박물관 관람 활동, 독서 활동 및 영화 관람 활동의 기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불평등 조건에 놓여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을지지역 초등영재들은 문화유적지 탐방, 미술관 관람, 문화예술 공연 관람에 대해 무경험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외지역 영재들의 교육지원 방안으로, 소외지역 문화 시설을 고려하여 타 지역의 영재학급과 문화 활동 교류가 가능한 융합문화 영재교육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소외지역 교육 기회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 지리적, 문화 시설 기반에 구애 받지 않고 활용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cultural activities according to school grades by location, and considered ways to support gifted student in an alienated areas. For the study, a survey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8, on 177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11 gifted classes in the 5th and 6th grades by selecting 6 elementary schools with gifted classes according to school grades by location in Gyeonggi-do.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the ‘Eulji area’, which lacked cultural facilit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equality conditions for museum visits, reading activities, and movie viewing activities compared to gifted students of other school grades by location. Second, although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proportion of elementary gifted tudents in the ‘Eulji area’ who had no experience in visiting cultural sites, visiting museums, and viewing cultural arts performances was relatively high.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as a way to suppor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an alienated areas.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facilities in an alienated area, there is a need to develop convergence cultural content for gifted education that enables exchange of cultural activities with gifted classes in other regions, and an online platform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geographic and cultural facilities should be prepared to resolve inequality in gifted students’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an alienated area.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생활과 기술’ 단원의 발명교육 목표 및 내용 분석

        이은주(Eunjoo, Lee):맹희주(Heeju, Mae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발명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실과교과서 6종의 ‘생활과 기술’ 단원을 구성 비율, 발명교육 내용 및 발명교육 목표의 반영정도를 중심으로 분석하 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발명교육의 이론적인 영역인 ‘기술과 발명의 기초’ 소단원에 비해 실습 부분인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에 할애되는 지면의 수가 많았다. 둘째, 발명교육 내용 분석 결과 발명의 이해, 발명과 사고, 발명과 기술에 비해 발명과 과학, 발명과 특허, 발명과 경영의 영역은 상대적으로 적게 제시되어 있었다. 셋째, 발명교육의 목표 중 정보와 지식, 가치 및 태도 보다 사고와 기능을 함양하기 위한 내용의 제시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는 발명교육 내용에서 지식재산권과 특허에 대한 내용과 발명 마케팅에 대한 내용이 반영이 되어 있지 않거나 진로와 관련 되어 미비하게 제시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사가 ‘생활과 기술’ 단원 수업 시 출판사별 누락된 내용이나 활동을 확인한 후 관련 자료를 추가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발명교육의 올바른 목표 함양을 위해 차후 개발되는 교과 서에는 발명교육의 내용이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component ratio of the unit and the goals and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in Life and Technology unit of 5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 of 6 different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effectively implement invention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ges devoted to the practical part of creative product creation was somewhat more than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base sub-section, which is the theoretical part of invention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the parts of invention and science, invention and patent, invention and management was relatively poor than the understanding of invention, invention and thinking, invention and technology. Third, among the goals of the invention education, the contents to develop the thought and function rather than information and knowledge , value and attitude was relatively poor.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 lack of the thinking and function area in the invention education goal means that the cont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patents related to patent information search and patent application, and the contents of invention marketing are not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or it is because it is presented poorly in relation to career path.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 to reconstruct the related materials after confirming the missing contents or activities in the Life and Technology lesson classes, In order to cultivate the right goals of invention education,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fairly and uniformly in textbooks developed later

      • KCI등재

        보드게임 기반 초등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임대욱(Lim, DeaWook),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초등 영재들을 위하여 보드게임을 기반으로 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20차시의 보드게임 기반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기도 소재지의 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 6학년 수학·과학 융합반 20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적용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개발한 보드게임 기반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들의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의 수학적 창의성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들은 전체 수학적 창의성과 유창성과 융통성, 독창성의 세 하위 요소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들은 전체 수학적 창의성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세 하위 요소 중 독창성만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보드게임 기반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수학적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들이 창의성과 유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This study developed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board game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examined the effects on mathematical creativity. For this study, 20 game board-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5 students in the 6th grade math and science convergence clas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Gyeonggi-do, Korea, for 5 weeks. It was like First, the board game-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 developed significantly improved the mathematical creativity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Second,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three sub-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Third, the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overall mathematical creativity, but only origina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mong the three sub-factors. Therefore, the board game-based gifted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mathematical creativity and suggested that the program needs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improve creativity and fluency.

      • KCI등재

        지역별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전문교과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역량 비교 연구

        박광수(Park, KwangSoo),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본 연구는 지역별 전문계고 교사들의 전문성 차이로 인한 교육의 질적 형평성의 문제를 고찰해 보기 위해 대도시와 중 소도시, 농어촌 지역의 전기·전자·통신교육전공의 총 207명의 전문교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성 개발 노력과 PCK를 조사하 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역별 교사들의 교사 전문성개발을 위한 자발적인 노력은 전반적으로 부족했다. 특히 농어촌지역 교사들의 연수참여 횟수와 연구 모임 참여 경험은 적어서 전문성 개발을 위한 활동이 타 지역 교 사들보다 다소 부족하였다. 둘째, 전문계고 교사들은 성공적인 교육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전문계고 교사들의 PCK는 중간이상이었다. 또한 PCK 영역 중 학습자의 이해에 대한 전문성은 중간이하로 PCK 영역 중 가장 낮았다. 셋째 지역별 교사들의 PCK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 전문성으로 인한 지역의 교육 형평성의 문제는 다소 적을 것으로 시사되었다. 따라서 전문계고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전문계고 학생들의 특성과 학습자들의 학습 특성을 반영한 교수학습 전략을 연수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등 체계적인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수 및 학회의 적극적인 참여 활동을 유도 할 수 있도록 타 지역 교사들의 접근 용이성을 고려하여 행 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roblem of the qualitative equity of educa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professionalism amo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metropoli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rural community through investigating the regional difference of a total of 207 teachers’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ctronics, electrics, and communication education maj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ocal teachers’ voluntary efforts to develop teacher professionalism were generally lacking.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eachers’ participating of teaching train and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s’ participating of study group in rural community had the lowest. So rural community teachers’ activ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somewhat lacking in other local teachers. Second, vocational school teachers recognize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is the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education, but the PCK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s moderate. Among the PCK domains, the expertise of learners understanding was lower than moderate, and it was the lowest of the PCK domains.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CK of the regional teachers, suggesting that the problem of the educational equity of the local area due to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is rather small.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y inclu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In addition, In order to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eaching training and academic conference, it should be supported with financial and financial support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of teachers in other regions.

      • KCI등재

        영재교원의 업무 효율성 강화를 위한 영재교육 경력별 어려워하는 업무 유형 분석과 업무 지원 방안 연구

        이석(Seok Lee),맹희주(Heeju Maeng)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영재교육 업무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영재교육 경력별 영재교원들이 어려워하는 업무 유형과 업무 지원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원들은 영재교육 업무 유형 중 행정 및 담임 업무에 가장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영재교육 운영 계획 수립과 심의, 영재교육 예산 및 정산 자료 관리를 어려워하였다. 둘째, 저경력 영재교사들은 교과활동과 비교과활동, 평가 업무를 고경력 영재교사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어려워하였다. 셋째, 영재교육 업무가 어려운 이유는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저경력 영재교사들의 인식이 유의미하게 더 강하였다. 넷째, 영재교육 업무 기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 업무의 간소화, 구체적인 업무 매뉴얼 개발 및 보급, 강사료 인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영재교사들의 업무 효율성을 위하여 학교와 교육 행정 기관의 행・재정적 지원이 적극 필요하며, 더불어 영재교원이 어려워하는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 방법을 직무연수 프로그램 구성에 반영하여 업무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iculty per career type and perception of support plans in gifted education teachers to reinforce work efficiency. First, among the type of work related to gifted education, it was analyzed that teachers had the most difficulty with balancing administrative and homeroom work, establishing and reviewing operation plans, and managing budgets and settlement data. Second, low-career gifted education teachers, compared with high-career teachers, had difficulty with subject and non-subject activities, and evaluation work.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the reason why gifted education was difficult was due to lack of support from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In particular, the low-career gifted education teachers strongly felt this way. Fourth, gifted education teachers acknowle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simplify administrative work, develop and distribute specific work manuals, and increase instructor fe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voiding gifted education work. Therefor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in gifted education teacher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schools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agency is required. Additionally, these factors will help enhance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by reflecting specific management methods of work difficulty for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In-Servic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plan.

      • KCI등재

        학교급지별 초등학생들의 문화자본과 창의적 인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윤남희(Yoon, NamHee),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학교급지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문화 분야에 대한 선호도와 문화 활동 빈도를 조사하여 문화자본 현황을 알아보았으며 문화 활동과 창의적 인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문화적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방법 연구를 위해 경기도의 학교급지별 6개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5, 6학년의 총 24개의 학급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0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65명의 초등학생들의 응답에 대해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문화시설이 부족한 을지지역의 초등학생들은 문화분야에 대한 선호도는 높으나 다른 학교급지의 초등학생들에 비해 박물관 관람, 문화유적지 탐방, 독서 및 연극과 영화 관람 활동의 기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불평등 조건에 놓여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화 활동은 창의적 인성과 약한 상관이 있으며, 문화 활동의 기회가 적은 을지지역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문화적 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해 교육 교류를 통한 문화인프라의 공유가 필요하며, 창의적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 문화예술의 참여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무엇보다 교육 기회의 불평등을 해소시키기 위해 경제적 지원과 지역사회의 공동의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cultural capital by examining the preferences for cultural fields and the frequency of cultural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grades by loc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ctivities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analyzed and educational support ways were suggested to cultivat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students from culturally alienated areas. Methods For this study, a survey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8 targeting a total of 24 classes of 5th and 6th graders by selecting six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school grades by location in Gyeonggi-do. Th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ponses of a total of 565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ult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ulji area’, which lacked cultural facilities, have a high preference for the cultural field, but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ther school grades by location. the opportunities to visit museums, visit cultural sites, read, and watch movi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unequal. Second, cultural activities have a weak correlation with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ulji area’, which has few opportunities for cultural activities, was found to be the lowest. Conclusions 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are cultural infrastructure through educational exchange foran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continuously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s to cultivate creative personality, and above all, to reduce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economic support and the common interest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eded to solve the problem.

      • KCI등재

        영재교육프로그램의 활용가치 증대를 위한 초등 일반학급 적용 효과 분석

        김민지(Kim, Minjee),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기존의 영재교육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일반학급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재구성하고, 적용에 따라 창의적 인성의 변화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단평가 점수와 적용 전 창의적 인성검사 점수로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교과목표와 세부목표에서 창의적 인성 함양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단원별 창의적 인성 요인을 추출하였다. 둘째, 기존의 영재교육프로그램의 주제는 일반 정규 교육과정의 단원 주제와 학습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일반 학급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창의적 인성의 하위 요인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미술중심의 과학융합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셋째, 영재교육프로 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호기심, 독립심, 위험감수, 심미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제집착과 사고의 개방성의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일반 정규교육과정에 준하는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은 창의적 인성의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고의 개방성이 보통정도의 성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영재교육프로그램을 일반학급 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 잠재된 영재아를 발굴하고 일반학급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을 함양하는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영재교육프로그램의 재활용으로 경제적 가치도 고려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struct existing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application of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in general clas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applying the reconstructed program. Two groups similarity was identified by creative personality score of before application and diagnostic assessment score.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a possibility of the creative personality cultivation on the aims of the subject and details of art and science, and then it was extracting creative personality factor from textbook unit. Second, because the topic of existing gifted education program involve learning contents and unit topic of general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possible application for general school class. So, it was modified and reconstructed for the grade and the level of students in general school class. Third, it has analyzed that the curiosity, independence, risk taking, and esthetics factor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in was significantly improved more before application, but task commitment and openness of thoughts was not significantly effect. While, the creative personality factor’ change of control group students in was not significantly, but openness of though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to moderate propensity before application of general curriculum.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to help to develop student’ creative personality of general class and to discover a potential talented person, In addition, economic value can be considered by recycling of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여수연(Yeo, SooYeon),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디자인적 사고 프로그램을 적용한 쌍방향 원격수업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창의적 체험학습 동아리 활동 시간에 맞춰 10차시의 디자인적 사고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고, 2020년 6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영재학생 10명과 일반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집단 창의성 효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집단 창의성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생들은 집단 창의성의 속성 중 ‘공동의 목표 공유’와 ‘분산과 통합을 통한 적절한 응집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일반학생들은 ‘동등한 상호 작용’을 제외한 집단 창의성의 모든 속성인 ‘공동의 목표 공유’, ‘즉흥적 혁신’, ‘분산과 통합을 통한 적절한 응집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을 통한 디자인적 사고 프로그램의 적용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집단 창의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일반학생에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with a design thinking program on the group creativity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Methods For this study, the design thinking program of the 10th session wa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club activity class. And, from June to December 2020, real-time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were conducted with 10 gifted students and 10 general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 effect of group creativity was investigat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the attributes of group creativity, gifted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hared a common goal’ and ‘appropriate cohesion through dispersion and integration’. And, general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ll attributes of group creativity except ‘equal interaction’, ‘shared a common goal’, ‘spontaneous innovation’, and ‘appropriate cohesion through dispersion and integration’. Conclusion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thinking program through real-time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helped both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o improve group creativity,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was greater especially for general students.

      • KCI등재

        저경력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이 수업 계획 및 운영 과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연구

        고상숙(Koh, Sang Sook),윤지현(Yoon, Jihyun),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과학기술문화 활동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생활과학교실의 질적 성장을 위하여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이 수업 전문 역량을 갖출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효과적인 수업 역량 개발 연수 프로그램의 마련을 위해서는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실태 파악 및 문제점 등에 대한 진단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3년 이하의 저경력 생활과학교실 강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집단 면접(FGI)에 기반한 인식 조사를 통해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즉, 2020년 11월에 줌(ZOOM)을 활용한 비대면 심층 집단 면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은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수준에 맞는 수업 자료를 준비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며, 특히 강사들은 수업 목표에 적합한 수업전략의 사용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이나 융합적 사고력 발달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생활과학교실 수업에서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강사들은 생활과학교실 수업 중 학생들의 돌발 행동이나 문제 행동 발견 시 적절한 대처와 지도 방법 학습에 대한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이 자신들의 교과교육학적 지식에 대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이를 개발해 나갈 수 있는 연수 과정의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Life Science Classroom conduct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as a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al activit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training program in which Life Science Classroom instructors can have professional competency in the classroom. However, in order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first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and diagnose problems in the area of the instructo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Method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PCK were investigated through a perception survey based on an focus group interview(FGI) targeting low-career Life Science Classroom 8 instructors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In other words, in November 2020, a non-face-to-face FGI using ZOOM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ison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ors of the Life Science Classroom lacked the ability to prepare and effectively present class materials suitable for the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levels. In particular,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nstructors did not use instructional strategies suitable for the instructional goals.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strategies that could effectively guide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y or convergent thinking skills, and overall the understanding of evaluation in Life Science Classroom classes was low as well.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instructors had a great demand for learning how to deal with students sudden or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the life science classroom and learn how to teach them appropriately. Conclusions Since it was found that Life Science Classroom instructors recognized the problems with their PCK, it was urgently necessary to prepare a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i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