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입국학생의 공교육 진입 지원을 위한 교육 계획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맹재숙(Jaesook Maeng),박수정(Soojung Park)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중도입국학생의 ‘공교육 진입’을 위해 계획된 학교 교육 내용 특성을 파악 하고자 2016년 다문화 예비학교로 지정된 68개 초등학교와 46개 중등학교의 교육계 획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완 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중등 다문화 예비학교 교육 계획에서 공통 적으로 ‘한국어’, ‘문화’, ‘상담’, ‘강사’가 출현 빈도가 높고 의미 구성에 영향력이 큰핵심어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는 ‘한국어 능력’과 ‘문화 적응력’이 중도입국학 생의 학교생활 적응의 주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고, 상담이 중요한 교육 활동으로 계획 되고 있으며, 예비학교 교육 활동에서 강사 활용 비중이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별 학급’, ‘통합’, ‘일반학급’은 중등보다 특별학급 개설 학교 수가 더 많은 초등에서 상위 핵심어인데, 이는 특별학급과 일반학급 간의 통합 교육에 관한 내용이 비중있게 다루어 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현장 교육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education plan for migrant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from other students. For this, the education plans established by the 68 elementary schools and 46 middle and high schools designated as multicultural prep schools were analyzed through a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This study found that the key words ‘Korean language’, ‘culture’, ‘counseling’ and ‘part-time instructor’ emerged with high frequency and degree centrality in the education plan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s well as the elementary schools. As a result of this data, ‘Korean language ability’and ‘cultural adaptation’are identified as key elements in school education plans. One can also conclude that counseling is a significant activity and that part-time instructors play a large role in the activity of migrant students. Additionally, in schools running these special classes, the connection between special and normal classes might be a crucial matter. These findings can provide a basis when forming policies for the management of prep schools concerning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교사들의 학습공간과 지식공유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맹재숙 ( Jae Sook Maeng ),박수정 ( Soo Jung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학습공간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지식공유 활동의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개의 교사학습모임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습모임은 학교 안과 밖의 다양한 공간을 학습의 장으로 이용하고 있었고, ‘베이스캠프(base camp)’ 역할을 하는 공간에서는 주로 정기모임과 전문성 함양을 위한 학습이 이루어졌다. 둘째, 교사학습모임은 여러 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모임과 같은 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모임으로 나뉘는데, 두 유형모두 한 공간 안에 모여 학습하게 된 계기는 한 명의 리더 교사에 의해 마련되었다. 셋째, 결성 당시에는 ‘같은 학교 교사학습모임’이었으나 교사 전보로 인해 ‘여러 학교 교사들로 이루어진 학습모임’으로 변하게 된 경우, 학습공간 마련에 어려움을 겪었다. 넷째, 교사들이 업무공간 안에서 일상적으로 학습모임 활동을 한 경우, 수업개선, 학생지도, 교육과정운영 등에 관한 지식이 생산·공유되고 교육현장에 적용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사의 학습공간과 지식공유에 관한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learning spaces and th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Results were compiled via qualitative data obtain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interviews, and an analysis of materials involved in the sampled fiv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conducted their activities in many different spaces but regular meeting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s were held in a special space, which is similar to a ‘base-camp’. Secon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eachers working at the same school and teachers from different schools. However, a lead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original formation of both types of communities. Third, communities that consisted of teachers from different schools, which had originally consisted of teachers working at the same school, had difficulty in getting their own learning space. Fourth, in the case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at shared knowledge between colleagues in their daily occurrences, there was an effect on knowledge creating, knowledge sharing and application of teaching, guiding students, curriculum implementation. A discussion of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on teacher’s learning space and knowledge sharing is included in this paper.

      • KCI등재

        교육연구논총 : 아시아계 외국인 학생의 학습 경험 연구

        맹재숙 ( Jae Sook Maeng ),박수정 ( Soo Jung Park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논총 Vol.3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파견 근무로 인해 한국에 오게 된 아시아계 외국인 초등학생의 학습 경험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참여관찰,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Rajawali와 Tunisuba의 한국 학교에서의 학습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크게 교과 학습 경험과 교과 외 학습 경험으로 범주화 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학생들의 특별학급 한국어 학습은 일반학급에서의 교과 학습 수행을 지원해주지 못하였고, 그 결과 학습에서 소외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학생들은 교과서를 학습에 활용하지 못함에 따라 학습내용 이해, 다른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자기주도적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한국인 학생들과의 놀이 경험 공유는 그들 사이에 존재했던 벽을 허물고 학습을 돕는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 기회가 되었다. 넷째, 탐구, 체험, 공유 중심의 동아리 활동은 외국인 학생들에게 ‘재미있어요’라는 반응을 이끌어 냈고, 학교 생활에 대한 즐거움을 갖게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근거로 외국인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wo Asian students in a Korean public school. The results were compiled via qualitative data obtain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interviews, and an analysis of materials involved in the students’ school activities an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Research reveals four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One: Foreign students, despite being placed in multicultural classes, feel alienated from their classmates due to a lack of Korean communication skills. Two: The main textbook offered limited resources in terms of course content, teacher-student and student-classroom interac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objectives. Three: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oreign and Korean students’ relationships and their play experiences. Four: The foreign students enjoyed their club activities based on exploratory experience and commented positively on it, saying “Jaeme itseoyo” (“I had so much fun”). Also, the club activities helped foreign students overcome learning difficulties. A discussion of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follows.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 교직과목의 운영 실태 분석

        박수정(Park, Soo Jung),맹재숙(Maeng, Jae Sook),우현정(Woo, Hy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consists of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Educational Theory(ET), the Educational Competence(EC) and the Educational Practicum(EP). And the students should take more than 22 academic credits in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being offered in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which consist of 46 teachers colleges, 13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a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at 3 universities. Results were compiled via an analysis of materials obtained from online resources and written inquiries on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in the sampled institutions. Th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determined by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any similarities to the academic credits management between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and national standard were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management of the academic credits each institutions adopted were divided into 4 types, which are ‘applying standard’, ‘expanding EP’, ‘expanding ET’, ‘expanding ET & EC’.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yllabus each institutions adopted because most of the institutions followed the national standard. A relatively small difference was shown in management of ‘additional educational theory’. Third, under the current teaching profession course system, students’ course-taking would be decided between two different methods, the way of students choosing their own course electives or students given subject clusters(compulsory). Secondary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were mostly adopting the former method while elementary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were mostly adopting the latter. A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and the related issues follows. 교직과목은 교사양성에서 필수적인 교육과정으로, 현재 교직이론, 교직소양, 교육 실습 영역으로 구분되어 총 22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대표적인 초ㆍ중등교원양성기관인 46개 사범대학과 10개 교육대학 및 3개 초등교육과에서 개설한 교직과목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5월에 각 대학의 교직과목 운영 담당자에 대한 서면 조사를 실시하고 대학 홈페이지에 게시된 자료를 보완적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ㆍ중등 교원양성기관의 교직과목 영역별 학점 운영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교원자격검정 기준과의 동질성이 매우 높았으며, 그 특징은 기준적용, 실습확대, 이론확대 그리고 이론ㆍ소양확대로 구분되었다. 둘째, 모든 교원양성기관이 교육부 고시에 따른 교직과목 영역별 교수요목과 동일한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교원양성기관 간의 다양성은 ‘기타 교직이론’에서 일부 드러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자의 수강 과목은 개설된 과목 중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하거나 필수과목군과 선택과목군 안에서 선택하는 방법으로 결정되었다. 전자는 주로 중등교원양성기관에서, 후자는 초등교원양성기관에서 교직과목 운영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직과목의 운영 실태와 쟁점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김송자 ( Song Ja Kim ),맹재숙 ( Jae Sook Maeng ),박수정 ( Soo Jung Park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라는 내적·환경적 맥락 속에서 보여주는 운영 과정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H교육청이 지원하는 교과연구회 ‘한마음연구회’로 활동하고 있는 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관찰, 관련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운영 지속에 대한 구성원들의 내적 동기는 연구회 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둘째, 구성원 간의 협력 전략은 학교 현실에 대응하여 ‘분업’과 ‘가상공간에서 만나기’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들은 연령, 학교 내 직위, 낯선 관계 등을 극복하고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활동하였다. 넷째, 연구 활동에서 나오는 아이디어와 연구결과물들의 공유 범위는 매우 한정적이었다. 다섯째, 의무적으로 제출하고 평가를 받아야하는 보고서 작성은 교사학습공동체의 활동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성공적으로 형성·지속되고, 그들의 학습결과가 학교 현장에 의미 있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ze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s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ir school context. This paper used a case study to illustrate how the community creates and continue. The data analyzed for the paper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of the six teachers of the community, observations of the meetings and documents from H Education Science Researching Institute. H Education Science Researching Institute support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encourage teachers to study autonomously, to enhances understanding of course content, improve the quality of classroom teaching, and renovate classroom teaching through creativity A review of research reveals fiv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irst, the implicit motivation to continue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created while its members were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second, the strategy to cooperate under the school circumstance was to take their roles and to work together in on-line community; third,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ir ages and positions, its members have the sam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thoughts; fourth, the possibility to expand their learning and new ideas into the whole school was limited; last, the community is directed to summit the report to and be evaluated by the Institute rather than to apply their learning to their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o create and continue a successful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o apply their learning to the students.

      • KCI등재

        학교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박수정(Park, Soojung),맹재숙(Maeng, Jaesook),Chen Peng(Chen, Peng),박선주(Park, S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이 연구는 농촌 지역 일반고등학교에서 일어난 변화의 출발점과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변화의 특성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장,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면담과 관찰을 실시하였고, 교육활동 산출물과 학교 관련 연구물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변화의 목표 설정은 학교장 단독 결정으로 이루어졌으나 교사들이 이를 수용하고 동참하게 된 데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였다. 그 중 하나는 교장이 설정한 목표가 교사들이 공감할 수 있는 목표라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교장과 교사 간에 열정, 공감, 신뢰, 선호, 희생 등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작용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학교 내적, 외적 조건이 열악한 상황에서 변화의 물꼬를 트는 작업은 외부의 정책 활용을 통해 이루어졌다. 정책적인 지원은 지역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에 투입되었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변화는 성장해가는 또래나 선배를 관찰하면서 확산되었고, 선배에서 후배로 이어지는 전통의 전수를 통해 변화의 지속가능성을 높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변화에 지원적인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look into the start of the changing process of general high school in rural a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changes during the operational proces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data obtained through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monitoring focused on the principal,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urther more, the educational activity’s outputs and the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sampled school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reasons why the teachers accepted and participated in performing the goal principal developed unilaterally, which are the agreeable goal and the positive emotions such as passion, empathy, trust, sacrifice among the members. Second, in the poor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 catalytic work for the change in school was made through the external policy. Students’ change appeared on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Lastly, students’ change was influenced by observing the growth of peers or senior. This positive precedent showed the sustainability of the change through passing on know-how from the senior students to jun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