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지식집단의 형성 연구 − 도암 이재의 편지를 중심으로 −

        맹영일 동양고전학회 2023 東洋古典硏究 Vol.- No.9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of Joseon Dynasty's Knowledge Group through Lee-jae(李縡)'s letters. Lee-jae actively used letters. Through this, he acquired homogeneity of the self-group. I understood Lee-jae's letter in terms of format and content. The formal feature is the quotation of Chu hsi's letter. The other is the use of an annexed paper(別紙) and questions(問目). Content features are teaching and publication. Lee-jae emphasized his studies through letters. Lee-jae's letter contains information regarding publication. This allows us to understand what kind of books contemporary intellectuals looked at and how they thought about them. A letter from Lee-jae confirms the process of forming Joseon Dynasty's Knowledge Group.

      • KCI등재

        조선후기 지식인집단의 교류양상 연구 -­ 서천매화사를 중심으로 ­

        맹영일 동양고전학회 2018 東洋古典硏究 Vol.0 No.73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were Yangban Sadaebu who had knowledge based on Confucianism(Neo-Confucianism), enjoyed cultural powers by expressing their knowledge in words or writing, and entered government posts to guide society with such knowledge or included some pre-officials. Sisa(Poem Society) was a major place of knowledge transmission to acquire and impart knowledge of creating Chinese poems that traditional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possessed. Seocheonmaehwasa(西泉梅花社) was a group of writer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gathered together based on the commonality of kinship and political iniquity although they were different factions like Nam’in and Soron, and they enjoyed apricot blossoms and wrote poems there. Seocheonmaehwasa(西泉梅花社) was basically the meeting making poems. They improved their creative abilities with creating poems. Seocheonmaehwasa(西泉梅花社) was a major place of knowledge transmission to acquire and impart knowledge of creating Chinese poems that traditional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possessed.

      • KCI등재

        모헌(慕軒) 강필신(姜必愼)의 생애와 문학연구

        맹영일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9

        18C 전반기는 다양한 시인들이 출현했던 시기이다. 소론과 남인 계열, 중인계층의 문인들 역시 활발한 문학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이 시기 남인문학을 주도했던 문인들은 소위 문외파로 불리던 사대부들이다. 이들 강박, 이인복, 이중환, 오광운, 강필신은 모두 근기 남인 계열의 사대부들이며, 백련시단의 구성원이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강박에게만 머물러 있었다. 강필신은 당대의 평가에 비해 그 실체를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강필신은 조선 후기 남인 계열의 대표적 문인이다. 강필신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분석하면 그의 문학세계의 면모를 일정부분 확인할 수 있다. 강필신과 교유관계를 맺었던 인물들은 크게 셋으로 구분된다. 먼저 백련시단으로 대표되는 청남 계열 문인들로 주로 서울에서 활동하는 집단, 두 번째로 진주 강씨 가문, 세 번째로 강필신의 말년 세거지였던 경상도 지역의 문인들로 분류할 수 있다. 강필신의 교유관계는 시회(詩會)를 통해 이루어졌다. 시회는 기본적으로 강박을 비롯한 인척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다만 살고 있는 지역에 따라 시회의 구성원들이 달라졌다. 강필신은 서울과 경상도를 오가며 시회를 가졌다. 이는 강필신이 근기 남인으로서의 특징을 지니면서 동시에 영남 남인으로서의 정체성도 지니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강필신의 문학이 근기 남인과 영남 남인 사이에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었는지 좀 더 면밀하게 고찰하면 조선 후기 서울과 지방의 문학 교류 양상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강필신의 문학에 대한 보다 면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고전문학과 용인, 용인학

        맹영일 한국고전문학회 2023 古典文學硏究 Vol.64 No.-

        지방자치제의 시행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각 지방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맞춰 학계에서도 지역 문화에 관심을 가졌으며, 학문으로 발달시키기기 위해 노력으며, 몇 년 전부터는 지역학이란 범주 안에서 각 지역을 학문으로 체계화하고 있다. 용인은 지역학으로 용인학을 일찍부터 정립하여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용인학에 관련된 조례를 제정하여 각 대학의 교양과목 개설을 지원하고, 대학의 연구기관과 함께 강좌를 열어 용인학의 확산을 위해 노력해 왔다. 용인 관내 10개 대학이 ‘용인학’을 교양강좌로 개설하고, 공통된 교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단국대학교 HK+향기인문학센터와 공동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용인학 강좌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용인문화원은 용인학연구소를 통해 용인학의 정립을 위한 자료의 발굴, 조사, 수집 및 학술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용인학의 정립과 확산에 축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축제가 포은문화제와 처인성문화제이다. 용인학의 정립을 위해 고전문학은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고전문학은 용인의 과거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인물이나 지명과 관련된 전설과 설화, 민요와 굿 등의 고전문학은 용인의 지역적 특성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용인학의 초기 연구부터 중요시되어 왔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용인학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아쉬움이 있다. 우선 지역학으로서의 용인이라는 대상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용인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보여줄 수 있도록 대상을 명확하게 결정해야 한다. 용인학에서 고전문학은 주로 설화라는 특정 장르를 중심으로 다루어졌으며, 특정 인물을 다루는데 한해서 한문학 작품을 다루고 있을 뿐이다. 특정인물과 구비문학(설화) 중심으로 치우친 용인학 분야를 기록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장르로 확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용인학이 용인문화원, 용인특례시, 용인시정연구원, 용인문화재단, 관내 소재 교육기관 등과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정립되어 발전하는 모습은 지역학 정립의 모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용인학이 체계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강연 중심의 프로그램도 중요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도 지속되어야 한다. 고전문학은 더 이상 창작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에게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는 그 작품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해 내는 것도 중요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도 중요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고전문학이 용인학의 정립에 있어서 단순한 소재로서의 역할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이다. Yongin has been working to establish and develop ‘Yongin Studies’ as a regional study from early on. By enacting ordinances related to ‘Yongin Studies’, we have supported the establishment of liberal arts courses at each university and have worked to spread ‘Yongin Studies’ by opening lectures with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Yongin Culture Center, through its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discovered, investigated, collected materials and held academic discussions to establish ‘Yongin Studies’. Festivals are actively used to establish and spread ‘Yongin Studi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lays a certain role in establishing ‘Yongin Studi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lays a role in showing the past of Yongin. Because it can sho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Yongin, it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since the early days of ‘Yongin Studies’.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re are some regret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Yongin Studie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object of yongin as regional studies. Second, the scope of research that focuses on specific characters and genres must be expanded. Third, continuou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long with lecture-centered programs.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so tha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can play a role that goes beyond simple material in establishing ‘Yongin Studies’.

      • KCI등재

        전통문화콘텐츠를 통한 지역 이미지의 생성 연구 - 용인지역 서원을 중심으로 -

        맹영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9 No.-

        In this study, the image of the city is expressed through the culture of the city. The image representing yong-in(龍仁) is associated with death. Efforts were made to change the negative image of yong-in, but it actually did not work. One of the cultural contents that can change the yong-in image is education.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書院) was where rituals and education were held for the ancient sages.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can show a positive image of education. People focused on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as a link that connects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his paper, Lee jae(李梓)'s Hancheon jungsa(寒泉精舍) was introduced. Yong-in was studying by Lee Jae in his later years. Lee jae(李梓) explained the study of No-ron(老論) and Nak-ron(洛論) centering on Hancheon jungsa(寒泉精舍). He placed strict regulations and organized the academic and life of the students. He thought the lecture was important. The main places where classes were held at yong-in were Hancheon jungsa(寒泉精舍), 龍仁鄕塾(yongin hyangsuk), 忠烈書院(ChungnyeolSeowon), 深谷書院(SimgokSeowon). He allowed the study groups in each village to be with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This is because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had the lecturing and expanding. The yong-in’s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which shows the tradition of the late Joseon, can help transform the yong-in brand into an educational city. Currently, Yong-in's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is not connected to one brand, and it is operated by each. If we include the above-mentioned Hancheon jungsa(寒泉精舍) and make an image of an educational city in connection with ChungnyeolSeowon(忠烈書院) and SimgokSeowon(深谷書院), it will help spread the positive image of Yong-in. 한 지역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환하는데 전통문화가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용인시에 대한 대표적인 이미지는 “生居鎭川 死居龍仁”이다. 용인을 대표하는 이미지는 부정적인 죽음과 연결된다. 이러한 용인의 부정적 이미지를 바꾸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실제 효과는 미미하였다. 본고에서는 용인지역의 서원을 통해 용인이라는 지역이 가지는 교육적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일반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조선후기 노론계의 대표적 문인・학자였던 이재와, 그가 활동했던 한천정사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를 통해 한 지역의 이미지를 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고민하였다. 용인 지역의 이미지를 바꿀 수 있는 문화콘텐츠 중의 하나가 교육이다. 용인의 대표적인 문화콘텐츠 중의 하나가 정몽주의 묘와 조광조의 묘이다. 지금까지는 선현의 추숭이라는 유교적 정서로 인해 묘에 초점이 맞춰져 묘와 함께 있는 서원의 존재는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역할이 한정되었다. 서원은 선현에 대한 奉事와 교육이 함께 이루어지는 곳이다. 서원은 용인이 지니고 있는 기존의 죽음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 대신 교육이라는 긍정적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용인지역에는 널리 알려진 심곡서원과 충렬서원 말고도 이재의 한천서원이 있었다. 이재는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문인・학자로, 특히 노론계열의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이재가 말년의 20여년 기간동안 많은 저술을 남기고, 제자들을 교육시켰던 곳이 용인의 한천동이었다. 이재가 살았을 당시에는 한천정사였다가 이재 사후 한천서원으로 사액을 받았다. 이재는 한천정사를 중심으로 노론 낙론계의 학문을 강론하였고, 이를 배우기 위해 기호지역의 생도들이 모여들었다. 이재는 이 과정에서 엄격한 규정을 두어 생도들의 학술과 생활을 조직하였다. 특히 강학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는데, 용인지역에서 강학이 이루어지던 주요한 곳이 한천정사와, 용인향숙, 충렬서원, 심곡서원이었다. 이재는 각 마을에서 이루어진 강회가 서원과 연계되도록 하였다. 이는 서원의 건립 목적이 강학에 있다는 신념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후기 강학의 전통을 보여주는 용인지역의 서원은 용인의 브랜드를 교육도시로 바꾸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충렬서원에서는 ‘포은문화제’를 대표적인 축제로 발전시켰으며, 심곡서원도 문화탐방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용인 지역의 서원이 하나의 브랜드로 묶이지 못하고 각자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고에서 언급한 한천서원을 포함하여 충렬서원, 심곡서원을 연계하여 교육도시라는 브랜드를 만들어 용인이라는 지역의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그 경계를 허물다-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맹영일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8

        Recently,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has been rapidly growing. With increasing exports of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social interest regarding a wide variety of fields comprising the content business such as planning, making, and producing of content also are increa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ccompanied by this tre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ttempting to strengthen its academic status through the fusion work with various cultural content. Today, academic boundaries are becoming meaningles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This is becaus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being broken. First, the trend of the fusion pattern was identified by analyzing research papers on their fus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papers related 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rends. One is a study that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 throug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other is the study of works that mak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o cultural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ctive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through this. Of course, there are also problems that appear in their fusion. The things that are intended to be made into cultural content are focused on specific genres and works. To escape this situation, diversit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s required. There is also a tendency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 remain a simple source of cultural content. To resolve this problem, researcher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ust understand cultural conten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fu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th cultural content.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의 기획, 제작, 생산 등 콘텐츠산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고전문학도 마찬가지이다. 고전문학은 문화콘텐츠의 원천소스로서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고전문학도 다양한 문화콘텐츠와의 융합작업을 통해 고전문학의 학문적 위상을 강화하고자 한다.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는 학문적 경계가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는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융합 양상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관련 논문을 확인한 결과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고전문학을 통한 문화콘텐츠화의 가능성을 논의한 연구이다. 둘째는 고전문학을 문화콘텐츠화 한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고전문학이 원천소스로서 문화콘텐츠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는 나타나는 문제점도 있다. 문화콘텐츠화의 대상이 특정 장르와 작품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의 다양성이 더욱 요구된다. 또한 고전문학이 문화콘텐츠의 단순한 공급처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자들이 문화콘텐츠를 이해하고,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 KCI등재

        麗末鮮初 知識人集團의 變化樣相

        맹영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In this article, I will try to see the change of intellectuals group due to the change of political topography from the literary point of view. After the invasion of Yuan dynasty(元), the change of political power of Goryeo was done rapidly. The aristocratic forces, which were political leaders until the early Goryeo period, will lose their influence more and more due to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such as invasion of Military Officers' Revolt(武臣亂) and Yuan dynasty, A new group appeared. The Ruling Neo-Confucian elite(新進士大夫) grew at the center forces since then and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Joseon. The ruling Neo-Confucian elit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in the political change. Though it grew up based on the common thought of Confucianism, thought changed together based on the change of political topography. Though it grew up based on the common thought of Confucianism, thought changed together based on the change of political topography. The literary theory was also reflected. The Literature carrying morality(載道論), first claimed by ruling Neo-Confucian elite, changed on Joseon. The literatians of the late Goryeo insisted on literary-centered literalism which emphasizes Sajang(詞章). The writers of early Joseon insisted on the literary view of the Confucian who emphasized way and virtue(道.) 원의 침입이후 고려는 정치세력의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졌다. 고려 전기까지 정치적 주도세력이었던 귀족세력들은 무신난과 원나라의 침입 등 사회・정치적 변화로 인해 점점 영향력을 잃게 되었고, 새로운 세력이 등장하였다. 신흥사대부라 불리던 이들은 이후 중심세력으로 성장하였으며, 조선을 건국하는 과정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이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하던 이들 신진사대부들은 정국의 변화 속에서 고려를 지키고자 했던 집단과 새로운 나라를 세우려는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이들은 유학이라는 공통된 사상을 기반으로 성장하였으나 정치 지형의 변화에 따라 사상의 분기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는 문학론에서도 나타난다. 고려말 신진사대부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던 재도론적 문학론은 조선 초기에 이르러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고려 말기의 문인들은 문학에 있어서 사장을 중시하는 문인 중심의 문학관을 주장하였으나, 조선 초기의 문인들은 도덕을 중시한 유자의 문학관을 주장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학론의 변화를 통해 여말선초 지식인집단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載道論的 문학론’을 처음 제기했던 최자와 ‘文以載道’의 문학론을 주장했던 정도전의 문학론을 통해 지식인집단의 변화양상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 한국 한문소설에 포섭(包攝)된 제문(祭文)의 양상과 특징

        맹영일 檀國大學校 國語國文學科 2013 國文學論集 Vol.22 No.-

        한문소설에 포섭된 제문의 양상을 몇 가지 특징으로 나눌 수 있다. 한문소설 에 삽입된 제문들의 경우에 대부분 제문의 전형화된 형식에 따라 창작되었다. “維世此 ~ 嗚呼 哀哉 ~ 尙饗”이라는 형식을 그대로 차용하였으며, 4 6구의 변 려문 형태로 압운 및 대우를 사용하여 제문의 특성을 따랐다. 한문소설의 제문 은 내용면에서도 죽은 이에 대한 회상, 죽은 이와의 만남과정의 기술, 영원한 이별에 대한 슬픔의 토로 등 장르의 전형성이 잘 나타나 있다. 한문소설 속의 제문은 작품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오유 란전』·『종옥전』의 제문은 죽음이라는 현상을 보여주여 작품의 서사가 전개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한문소설은 제문을 통해 작중인물의 감정을 표현 하기도 하는데,『주생전』의 주생이 영원한 이별과 강제된 이별을 겪게 된 심리 를 묘사하는 배도에 대한 제문이 대표적이라 하겠다. 제문은 각 작품에 따라 양상이 다르긴 하나, 등장인물의 감정을 정리하여 작품의 끝을 맺거나 다른 이 야기로 전개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육미당기』에서 원한을 풀어주어 감 정을 정리하는 해원 굿의 역할을 하는 제문이 대표적 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