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의 가족지지가 알코올 의존에 미치는 영향: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맹성준,강준혁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2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년의 고위험음주율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음주 문제의 보호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는 환경적 요인인 가족의 지지가 알코올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개인적 요인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이러한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1년 10월 10일부터 22일까지 전국의 만 40세-59세 중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여 총 76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조절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총체적 검증, 단순기울기 분석, 특정 값 선택방법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년의 가족지지가 증가할수록 알코올 의존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의 가족지지가 알코올 의존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데, 스트레스를 소극적으로 대처할수록 이러한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술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중년의 알코올 의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가계부채가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산과 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맹성준,한창근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household debt on a family conflict level and to investigate how the effect of household debt on the family conflict level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assets and income. This study used 5360 cases of households from the 2016 Korean Welfare Panel Study’s data.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moderated effects, omnibus test, simple slope, and pick-a-point approach were used.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household deb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family conflict. Second, the effect of a household debt on the level of family conflict was moderated by assets. Third, income was also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household debt on the level of family conflict. These results signify that as household debts increase, the level of family conflict increases and this effect can be alleviated by the level of income and assets. Base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to reduce a family conflict and discusses a need for a intervention policy. 이 연구는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또한 금리 인상 영향으로 가계부채 리스크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가계부채가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자산과 소득의 수준에 따라 가계부채가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11차년도(2016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5,360명의 가구주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조절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총체적 검증, 단순기울기 분석, 특정 값 선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부채가 증가할수록 가족갈등수준도 증가하였다. 둘째, 가계부채가 가족갈등수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자산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계부채가 가족갈등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소득 역시 자산과 마찬가지로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계부채가 증가할수록 가족갈등수준 역시 증가하는데, 이러한 효과는 자산수준 혹은 소득수준에 따라 상쇄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가족갈등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연구에 관한 비판적 검토

        맹성준,김은경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9 중독과 복지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researches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that have been conducted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suggests what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For that purpose, we have recruited a total of twelve related researches for literature review. From the systematic perspective based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we analyzed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person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Personal factors include academic str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family factors include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Social factors incl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systems theory, most of recent studies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have only analyzed environmental factors analysis at micro-system level. Given that the micro-system includes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parents, siblings, friends, neighbors and teachers, recent studies covered only a part of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 regarding the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 and youth,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searches on influence factor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micro-system, intermediate system, external system and macro-system, and those on the impact of peer groups and qualitativ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관한 최근3년 이내의 연구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앞으로 필요한 연구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총12편의 연구물을 수집하여 ‘일반적 문헌분석(Literature Review)방법을 이용하였다.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ecological systems theory)’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 관점에서 아동·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들의 게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이를 크게 개인내적인 요인(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 및 불안 등), 가족요인(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의 질 등), 그리고 가족 외 사회적 요인(대인관계, 친구관계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둘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면 최근의 연구들은 아동·청소년들의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대부분은 미시체계수준의 환경요인분석에만 머물고 있다. 미시체계도 부모님, 형제, 친구, 이웃, 선생님 등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일부 환경만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관련하여 미시체계를 포함한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등 생태학적 관점에서 다양한 영향요인 연구, 또래집단의 영향 연구,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맹성준,한창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신체이미지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제12차(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총 48,5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이미지 왜곡을 하는 청소년일수록 우울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은 직접적으로 우울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부분적으로 신체이미지 왜곡은 스트레스를 높게 하여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시 청소년 우울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간의 관계를 샘플사이즈가 큰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결론에서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청소년이 올바른 신체이미지 확립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body image distortion influences depression in youths and whether the influence is mediated by stress. Data come from the 12th (2016)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sample consists of 48,511 youths in the 7th to 9th grades. Ke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stortion of body image wa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depression in youths. Second, str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distortion and depression. While body image distortion has direct impacts on depression of youth, the stress has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depression.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is based on the large sample size of youth. This study conclude with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on youth’s body image distortion, stress, and depression.

      • KCI등재

        중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맹성준,김광현,강준혁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2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최근 중년층의 음주율이 높게 나타난 상황에서 이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함과 동시에 중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우울이 이러한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편의할당추출법을 통해 표집한 전국의 만 40-59세 중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여 76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경로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위험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였으며, 우울을 매개로 하여 위험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 역시 유의미하였다. 반면,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위험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우울을 매개로 하여 위험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의 위험음주를 완화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산이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맹성준,김은경,한창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asset effects on family conflic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assets and family conflicts. For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uses the 12th wave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KWPS). A sample size is 5,354 household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uses SPSS PROCESS Macro which utilizes a bootstrapping method.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set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s on family conflicts. Second, we found that assets have negative impacts on depression. Third, we foun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s and family conflicts. These findings support expansion of assetbased programs targeting disadvantaged popul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families with diverse problems are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갈등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들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자산이 가족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우울이 이러한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복지패널(Korean Welfare Panel Study)의 12차년도(2017년) 자료 중 가구주용 데이터와 가구원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5,354가구주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Hayes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산이 가족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산이 적을수록 가족갈등수준이 증가하는 직접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자산이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산이 적을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우울이 자산과 가족갈등수준 사이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산이 가족갈등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넘어서 자산이 낮을수록 우울이 증가하고, 우울이 증가할수록 가족갈등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같다. 첫째, 자산의 증대를 추구하는 자산형성지원제도의 확대를 통해서 우울과 가족갈등 수준을 낮출 필요가 있다. 서울시의 희망플러스통장사업과 같은 제도를 더욱 보완 개선하여 안정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들이 전국적으로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자산과 가족갈등수준에는 우울이라는 가족구성원의 심리적 요인이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업, 이혼 등으로 인해 경제적 위기상태에 있는 가족을 중심으로 심리, 정서적인 상담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 후천적 장애인의 장애수용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맹성준,김은경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1

        이 연구는 후천적 장애인이 자신의 장애를 받아들이게 되는 과정과 인식의 변화를 탐 색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사고로 장애를 가지게 된 20대의 남성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장애수용과정을 분석한 결과 ‘낯선 나와의 직면’, ‘장애보다 더 큰 상처’, ‘덫에 걸린 나’, ‘새로운 눈’이라는 주제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연구참여 자는 사고의 순간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는데 자신이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이 된다 는 것에 많은 절망감을 느꼈었다. 특히 장애인으로 살아가면서 겪는 여러 불편함중 신체 에 대한 불편함보다는 사람들의 인식과 시선으로 인해 더 고통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장애인에게 있어 제일 큰 불편함은 법적제도나 불충분한 시설보다는 비장애인의 편견과 시선이라고 하였다. 또한 참여자와 같은 경증장애인의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하거 나 공공시설을 이용할 때에도 배려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자신의 장애를 받아들여가는 과정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르지만 서서히 순응과 타협의 과정을 거치 며 자신의 장애와 다른 이들의 장애를 바라보는 인식이 변화됨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생각해볼 수 있는 사회복지적인 함의는 다음과 같다. 후천적 장애인의 경우 선천적 장애인보다는 비장애인의 삶과 장애인의 삶으로의 전환과정에서 심한 정신적 충격과 불안을 겪기 때문에 수치심과 좌절감이 더 심하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찾아가는 상담서비스와 집중적인 1:1사례관리가 더욱 절실하다. 특히 경증장애인의 경우 중증장애인보다는 덜하지만 일반인보다는 신체적인 불편함을 겪고 있는 장애인이 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더욱 세심한 배려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일상생활이나 공공시설에서 이들의 신체적인 여건을 고려한 시설들이 보완되어야 하고, 장애 초기에 적절한 재활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disabled people's accepting their disabilities, and changes of their perception.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with disability who are in their 20s and who got disability because of accidents. As a result, 'facing myself as a stranger', 'the wound more hurtful than the disability', 'Myself being caught in a trap', 'new point of view' were drawn as the subjects. The study participants remembered the moment of the accidents vividly, and they felt hopelessness for being person with disability who is in disadvantaged position in the society. Particularly the most difficult thing for them to live with disability was not insufficient social facilities or legal system in the society, but the perception and prejudice by people without disability. Also, people with mild disability were less likely to be cared or helped when they used public transportations and public facilities. Although there were various difficulties in accepting their own disability, the study participants felt that the perceptions of their own disability and others’ had been changed, through the process of adaption and compromis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suggested developed services and programs,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changes in recogni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 KCI등재

        코로나19가 가구의 경제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 빈곤, 성별, 연령에 따른 이중차이분석

        맹성준,김은경,한창근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원 2024 미래성장연구 Vol.9 No.2

        Considering that Covid-19 has influenced economics negative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Covid-19 affect household’s economic conditions. For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used 14 to 17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The household’s economic conditions include disposable income, real assets, total assets, and total debts. The DID analysis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vid-19 has negative impacts on real assets, total assets, and total debts, in particular for the disadvantaged populatio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with several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실물경기 하방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가 가구의 경제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14차~17차(2019년~2022년)자료를 활용하였고, 가구의 경제적 수준을 가구균등화 가처분소득, 부동산자산, 총자산, 총부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으며, 확장형의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가 전반적으로 코로나19에 더욱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집단들의 부동산자산, 총자산 및 총부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상술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가 가구의 경제적 수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배제가 가족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맹성준 ( Maeng Seong Jun ),한창근 ( Han Chang-keu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2

        본 연구는 가족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구조적 차원 등 다차원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배제 개념을 활용하여 가족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우울이 이러한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사회적 배제의 정도를 수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퍼지집합이론을 활용하였고, 사회적 배제 지표의 영향력이 다를 수 있기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중치를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2019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5,927명의 가구주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배제 수준이 가족갈등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배제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갈등수준이 증가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적 배제 수준이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이 사회적 배제 수준과 가족갈등수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족갈등을 줄이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Since family conflicts are significant social problems in the Korean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social exclusion influences family conflicts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family conflicts is mediated by depression. Social exclusion is selected as a key independent variable to examine family conflicts in terms of multiple aspects including economical, social, cultural, and structural aspects. Fuzzy set theory was applied to measure the multiple aspects of social exclusion. This study utilized the 14th Korean Welfare Panel Data (2019) and the sample size is 5,927.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onal effects with path analysis and bootstrapping. Ke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xclus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family conflicts. Second, social exclusion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Third, the Bootstrapping analys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family conflicts is mediated by depress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several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물질주의 인식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맹성준 ( Maeng Seong Jun ),강시온 ( Kang Sion ),한창근 ( Han Chang-keu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복지연구 Vol.53 No.1

        최근 한국에서 가치가 높은 재화를 소유하는 것이 개인 삶의 성공 지표로 인식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인생에서 높은 재화의 획득이 가장 큰 가치라고 여기는 물질주의 인식이 팽배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이타적인 행동으로 대표되는 개인의 기부행동은 한국에서 꾸준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물질주의와 기부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이론적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 및 논의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삶에서 두 변수의 관계성을 유기적으로 파악하고자 사회적 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9년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물질주의 인식이 높을수록 기부행동을 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물질주의 인식은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매개하여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부행동의 촉진을 위한 논의로 물질주의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 및 함의점들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materialism influences giving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whether satisfaction in social relationshi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giving behavior. This study used a sample of 4,765 (aged from 19 to 75) from the Survey on Koreans’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2019. The PROCESS macro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e found that citizens with a higher level of materialism are less likely to do giving behavior. We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giving behavior was mediated by the satisfaction level of social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itizens with a high level of materialism have low levels of satisfaction in social relationship and that those with low satisfaction level in social relationship may have negative views on giving behavior. This study concludes with several implications on theory, practice, and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