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포지엄 : 話題を提示するメタ言語表現 -表現敎育の視点から-

        李팅 ( Ting L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4 No.1

        メタ言語表現にめぐる從來の硏究は、公的あいさつ·硏究發表·ディベ一トのような場面での發話を資料之して行われており、使われるメタ言語表現にも特殊性があり、普通の言語生活で使われるもの之は異なる對相を呈している。また、メタ言語表現全體の分類はされているものの、その各種類については十分に儉討されていない。本稿では、「メタ言語話題提示表現」に焦點を當て、場面·傳達過程·人間關系の多樣性が觀察できるテレビドラマ9本から123例を收集し、表現類型上の特徵、意味內容上の特徵、談話展開上の役割、使用文脈上の特徵を考察した。まず、表現類型上の特徵之して、メタ言語話題提示表現が使用される部分の文型は、「~だ」之「~がある」が中心之なっている。全體的に名詞性が?く、中核の多くは名詞であり、動詞であっても、形式體言の「こ之」をつけた形で使われている。また、「~だ。」「~がある。」で言い切る形之、「(の)だが(けど)、」や「あって、」「ある(の)だが、」のような言い切らない形の2種類が認められた。 次に、メタ言語話題提示表現は話題寄りの要素にも、言語行動寄りの要素にも言及するこ之ができる。さらに、2つ以上の要素を組み合わせた言及も可能である。話題寄りの要素には、「內容」「性質」「種類1」「時間1」「人物1」「順番」「量的要素」「出所」「存在のみ」があり、言語行動寄りの要素には、「種類2」「時間2」「場所」「人物2」がある。1つの要素のみに言及する場合は、話題寄りの要素が優先されるが、いくつか組み合わせる場合は言語行動寄りの要素が多く言及されるようになる。よく言及されるのは「種類2」「人物2」「性質」「內容」「人物1」「種類1」の6種類である。また、談話の展開において、最も中心的な役割は「話題開始機能」である。ほかに、「話を深める」「話を進める」「話をうながす」「話を挾む」「話をそらす」「話をさえぎる」「話を?える」之いうようなこ之もできる。しかし、「話を重ねる」「話を一す」「話をま之める」の諸機能、及び「話題終了機能」については、本稿では收集できなかった。最後に、使用上の特徵之して、「發信者が·受信者に向かって」使う場合が中心的であるが、「受信者が·發信者に向かって」使う場合も、さらに、「第三者が·受信者に向かって」使う場合もある。壹つ目の「發信者が·受信者に向かって」使う場合は、【情報面で受信者の談話理解をリ?ドするために】【情意面で受信者の談話受容をリ?ドするために】【受信者の注意を喚起するために】【受信者の配慮や許しを求めるために】【會話の抉定性を受信者に?り渡し、責任回避するために】、二つ目の「受信者が·發信者に向かって」使う場合は【話の核心に入る手がかりを作るために】【會話參加に必要な話題を探るために】、三つ目の「第三者が·受信者に向かって」使う場合は【發信者に說話のきっかけを與えるために】などの文脈が抽出された。以上、考察した4點は、日本語敎育において、理解之生成の對面から學習者を支援する際に、大きな手がかりになるもの之期待される。理解面においては、表現形式から內容、機能、會話參加者及び會話意?之いう子うに外部から內部へ之理解を深めていくような指導が、また生成面においては、自分の立場や表現意圖を明確し、談話展開を意識しながら、話題のどの要素に言及し、どのような表現類型を選ぶかを抉定し、最終的に、內部から外部へ之這切な表現之して表出させる指導が、それぞれ示唆される。なお、本稿が收集した123例は、用例數之してまだ十分之は言えず、分析資料を量的に?やし、調査を?けていく必要がある。さらに、「待遇コミュニケ一ション」の觀點からの考察や、敎育現場での實踐硏究なども今後の課題之なる。

      • 경천지구 농민 물절약 시범교육 실시

        최경숙 ( Kyung Sook Choi ),리팅 ( Ting Li ),도종원 ( Jong Won Do ),이광야 ( Kwang Ya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민 물절약 교육 모델 개발(2016)」에 따른 교육모델의 현장 시범교육을 실시하였다. 시범교육 대상지는 가뭄을 경험한 지역으로 선정하여 교육 효과를 증대시키고자 농업가뭄 경험지역 중 한국농어촌공사 경천지사 관할지구인 경천지구를 선정하였다. 시범교육은 경천지구 내 예천용수간선 용수 이용 농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범대상 지역 중 6개 마을을 선정하여 4회에 걸쳐 교육을 실시하였다. 물절약 시범교육을 실시하기 전 2차례의 현장조사를 통해 수로손실, 중간취수 등 물공급 및 용수손실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필지단위 농민 물사용 행태와 시범교육 대상구간의 용수손실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범교육 대상지역은 수로 노후화가 많이 진행되어 누수에 의한 물손실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대상지구내 허가 받지 않은 무단취수지점도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거 및 필지 단위 물사용 행태를 조사한 결과 지난 가뭄 경험으로 대체적으로 농민의 물관리 실태는 양호하였으나, 일부 구간은 여전히 물꼬관리 부실에 의한 물손실 야기로 농경지 밖으로 물이 흘러넘치는 경우가 많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물절약 교육 모델 이수단계별 시범교육을 실시한 결과 농민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물절약의 필요성과 농민의 물낭비 실태에 대한 깊은 공감을 표하였으며, 물절약 실천의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룹토의를 통해 농민이 도출한 물절약 행동 강령에는 개인 물꼬관리, 밸브설치, 자체 용수로 보수, 주민 동원 용수로 준설과, 봄철 논물가두기 등이 있었으며, 수로관리를 위한 농민 수리계 조직 결성, 농민의 권리주장을 위해 농민의 물세 납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물절약 시범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범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농민의 관행적인 물관리 실태와 물절약 관련 의견수렴을 목적으로 개발된 설문조사지를 활용하여 시범교육 실시 후 농민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설문응답자는 대부분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많았으며, 농사인력의 대부분이 남성으로서 농사경험은 많지만 대부분 소규모 영농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설문응답자 중 가뭄으로 물부족을 경험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물부족에 의한 주민간 물다툼 경험도 다소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농민 물 과다 사용에 대해서는 대체로 인정하고 있었으나, 농민의 물꼬관리 실태는 잘하고 있다는 의견이 절반을 차지하였다. 농업용수 손실 원인으로는 수로 노후화를 가장 많이 채택하였으며, 부실한 물관리와 무단취수가 그 뒤를 따랐다. 물 부족 상황 시 해결 방법은 물관리 기관(공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개인적으로 해결하는 경우도 다소 높게 나타났다. 농민의 물절약 필요성은 모두가 공감하고 있었으며, 농민의 물절약 참여 방법은 물꼬관리, 수로관리, 수리계 조직 결성과 함께 모든 방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향후 수리계 조직 시 가입 의향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물절약 시범교육을 통해 농민의 물낭비 원인에 대한 깊은 공감대 형성과 물절약에 대한 실천의지를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물절약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농민 물절약 교육 모델 개발

        최경숙 ( Kyung Sook Choi ),리팅 ( Ting Li ),도종원 ( Jong Won Do ),이광야 ( Kwang Ya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최근 기후변화에 의해 과거에 비해 가뭄의 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가뭄 패턴 또한 지속적이고 국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농업 및 농촌지역의 가뭄피해가 빈번해짐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도 기존의 사후복구대응체계에서 벗어나 선제적인 가뭄대응체계를 통한 가뭄피해 최소화와 농업 및 농촌의 효율적인 물이용을 도모하고 영농여건 변화에 중장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2015)」을 수립하였다. 4대전략 16대 과제로 구성된 농업가뭄대응 종합대책에는 가뭄대책의 일환으로 농업인 절수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물절약 추진을 도모하는 과제가 포함되었다. 이를 계기로 본 연구에서는 농민을 대상으로한 물절약 교육 모델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 통해 개발된 물절약 교육 모델은 현재 농업용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논농사 농민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이수단계별 교육 모델을 구축함으로 농민이 물절약 교육 내용을 쉽게 파악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의 단순한 주입식 교육을 지양하고 가뭄시나리오에 기반한 체험식 교육 콘텐츠를 개발함으로 농민의 직접적인 참여 교육을 통해 교육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이수체계는 1단계 이해단계, 2단계 적용단계, 3단계 평가단계로 구성하였고, 교육 모델 적용시간은 총 1시간정도 소요되도록 구성하였다. 이해단계에서는 물의 가치, 농업용수 공급체계의 이해, 물손실 원인, 물절약을 통한 경제적 효과 등을 이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비주얼 매체를 활용하여 대부분 평균 연령이 높은 농민들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플래쉬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그룹별 액션러닝을 통해 농민이 직접 물손실 및 물절약에 대한 개념을 모의해 보는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평상시 농민의 물이용 관행에 따른 물손실 야기에 대한 이해와 가뭄시나리오에 따른 물공급량 감소시 농민 피해 및 가뭄 극복을 위한 효율적 물이용에 대한 효과를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마지막 평가단계에서는 그룹토의를 통해 물절약 실천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물절약 실천 방안을 도출하도록 하여 발표하게 함으로 물절약 실천의식 함양 및 물절약 실천을 위한 행동강령을 도출하도록 구성하였다. 교육모델의 현장시범교육을 진행하여 시범교육의 효과도 파악해 보았다. 농민의 물절약 교육 효과 확대를 위해 교육 모델 개발 외에도 홍보 및 물절약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물절약 슬로건 및 포스터도 제작하였다. 물절약 홍보 포스터는 여러 가지 유형으로 제작하여 물절약 시범교육에 활용하였으며, 전국 한국농어촌공사 도본부 및 지사단위 가뭄극복을 위한 물절약 홍보에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물절약 교육모델은 농민을 대상으로한 물절약 홍보 및 교육 자료로의 활용과 절수를 통한 가뭄대응에 활용가능 하리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