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50대와 60대의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류혜지(Hye Ji Ry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초고령 사회를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유비쿼터스 주택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주택에는 다양한 디지털 계획 요소가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노인과 예비 노인들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유비쿼터스 주택의 계획 요소에 대하여 50대와 60대의 집단 간 선호 차이를 분석하는 것은 미래 주택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본적이고 필요한 연구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50대와 60대를 대상으로 유비쿼터스 주택의 계획 요소에 대한 선호 특성과 두 집단 간의 선호 차이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를 거쳐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0대와 60대는 모두 유비쿼터스 주택의 계획 요소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60대는 안전성의 욕구, 생리적 욕구, 자아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사회적 욕구의 순서로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50대는 60대와 다르게 사회적 욕구가 자아실현의 요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32가지의 항목을 전체적으로 보면 50대와 60대 모두 가스누출감지, 화재감지, 침입·도난방지 순서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60대는 주택규모, 50대는 컴퓨터 사용 수준에서 가장 큰 선호도 차이가 나타났다. 반대로 선호도 차이가 가장 없는 것은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에서 60대는 성별이었고, 50대는 주택 형태였다. 본 연구 결과, 연령에 따라 선호 특성이 다르다는 것이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에서 디자인 요소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We live in an aging society, the ubiquitous housing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derly`s life. There were differences about the preference of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ubiquitous housing according to res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ference and to grasp the difference of the fifty and sixty about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ubiquitous ho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fty and sixty have high preference of the planning elements in the ubiquitous housing. The preference of the sixty about the planning elements in the ubiquitous housing showed safety need, physiological need, esteem need, self-actualization need, belonging need in order within the Maslow`s need hierarchy. The preference of the fifty showed safety need, physiological need, esteem need, belonging need, self-actualization need in order. Second, Gas leak perception, fire perception, invasion-robbery prevention service were in order about the 32 planning elements of ubiquitous housing for the fifty and sixty. Third, they were the highest difference of the preference in the house size for the sixty and computer using level for the fifty.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of the preference in the gender for the sixty and house type for the fifty. Finally, it i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about the preference according to age. And it must consider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 and preference for the ubiquitous housing.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 동성마을의 담의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류혜지(Hye Ji Ryu),윤영선(Young Sun Yoon)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07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동성마을 중 하나인 강원도 고성군 왕곡마을을 대상으로 도면을 분석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관찰조사를 함으로써 전통 담의 특성과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앞 담은 없고 앞마당이 완전 개방되어 이웃들과의 친교의 장과 농사 업무를 하는 반공적인 영역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반대로 뒷담은 완전히 폐쇄되어 가족만의 완벽한 사적인 영역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친족들이 모여 사는 동성마을의 독특한 담의 표현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뒷 담의 재료는 기와를 얹은 돌흙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앞 담은 생울타리와 밭, 나무와 돌, 꽃 등 낮은 높이의 자연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영역을 구분짓고 있었다. 셋째, 담의 디자인은 대부분 돌과 흙으로 쌓여졌으며,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멋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동성마을에서 보여 지는 울타리, 경계의 역할을 하는 담의 구성은 현시대의 도시주택계획에서도 응용해 볼 수 있는 좋은 요소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m in the Korean traditional same family origin village, Wanggok in Kosung-Gun. For case study, researcher visited Wanggok village and analysed books and drawing books of Wanggok village.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most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have front-dam, side-dam and back-dam. But there are not front-dam in Wanggok village. That is a very special characteristic in Korean traditional same family origin village. The Second, back-dam is closed and only family can use back space in their house. The Thir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dam are very natural and lots of the materials of dam are stones and soils in Wanggok village.

      • KCI등재
      • KCI등재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택 서비스 요구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류혜지 ( Ryu Hye-hi ),이연숙 ( Lee Yeun-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심층적인 주거 욕구에 기반한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택 서비스 요소를 추출해 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근거이론적 접근 방법에 따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삶의 질과 주거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신체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의 순서로 파악되었다. 둘째, 머슬로우의 욕구 5단계 중에서 생리적 욕구가 가장 컸으며, 안전의 욕구, 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존경의 욕구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재 건강하고 배우자와 같이 사는 경우에는 지금 살고 있는 주택에서 거주하기를 원했고, 아프거나 혼자 살게 된다면 생활의 편의를 위한 다른 주거 형태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유비쿼터스 기술과 유비쿼터스 주택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 후에는 aging-in-place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주택이 좋다는 의견들이 대부분이었다. 다섯째, 근거이론에 따른 접근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유비쿼터스 주택에서 지원받고 싶은 서비스 항목을 머슬로우의 욕구 단계인 생리적 욕구, 안전성의 욕구, 사회적 욕구, 자아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에 따라 13개로 하위주제를 분류하고 66개의 서비스 아이템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서비스 요소는 유비쿼터스가 하나의 트렌드로 보편화될 미래 주택에 고령 소비자 요구를 배경 특성에 따라 더욱 정교하게 파악하여 시대에 적합하고 차별화된 주택 신상품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a range of aging-friendly ubiquitous home services based on need of the elderly. Research method employed was deep interview with elderly, possible aging-friendly ubiquitous services base on the need were searched and analyzed according to grounded the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life quality of elderly were health, economy and social relationship in order. The second, elderly had physiological needs, security needs, affiliation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esteem needs in order within the Maslow`s need hierarchy. The third, when elderly were healthy, they would like to live in their own houses. In case of, however, they are sick, elderly want to live in an alternative house. The fourth, after explanation about ubiquitous home, elderly would like to live ubiquitous home which could support the aging-in-place. The fifth, using ground theory approach, 15 categories and 70 special items of ubiquitous services were extracted and arranged according to 5 types of Maslow`s needs. This service can be used as a pool to more elaborately fined elderly need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and backgrounds to develop aging-friendly house products in more strategic way. In future society, where ubiquitous service will be a general, major design trend.

      • KCI등재

        미래지향형 고령친화 주거디자인을 위한 예비노인층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류혜지 ( Ryu Hye-j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본 연구는 거주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주거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미래 노인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고 특성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와 웹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예비노인층인 50대와 60대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은 신체적 상황, 사회적 상황, 경제적 상황의 높고 낮음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6가지 유형 중에서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이 가장 낮은 유형 1이 가장 많았고, 두 번째는 세가지 상황이 가장 높은 유형 5가 많았다. 셋째, 유형 1은 여자, 전문대졸 이하의 학력, 컴퓨터는 잘 사용하지 못하며 월수입 200만원 미만, 30평 미만의 다가구나 다세대 주택에 사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났다. 넷째, 유형 5는 남자, 대졸 이상의 학력, 컴퓨터를 보통 이상으로 사용하고, 200만원 이상의 월평균 수입을 가진 30평 이상의 자기 소유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 학력, 컴퓨터 활용 정도, 월수입, 주택 형태, 규모, 소유 형태 모두 라이프스타일에 차이를 주는 변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예비노인층인 50대와 60대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였고, 이를 고려하여 노인 주거디자인도 차별적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for the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of the pre-elderly to suggest elderly-friendly housing designs for enhancement of the homeowner`s quality of life. The literature review and web survey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aking 400 people with the age of fifty and six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ir lifestyle was divided into six types according to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state of the surveyed people. The second, type 1 of the lowest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states had the highest rate, and type 5 of the highest those states had the second highest rate in six types. The third, type 1 was distributed throughout women, people with educational level of less than college graduates, computer-illiterate, people with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2 million won, and people living in multi-family housing of less than 30 pyung. The forth, type 5 was mainly found in group of men, people with more than bachelor`s degrees, computer-literate, people with a monthly income of more than 2 million won, and people living in one`s own apartment of more than 30 pyung. The fifth, there were differences in lifestyle according to gender, education, computer skills, income, house type, size, and ownership. Finally, as a result of survey on the lifestyles of pre-elderly with the age of fifty and sixty, the elderly-friendly housing designs should be adequately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various types of their lifestyles.

      • KCI등재

        논문 : SF 영화에 나타난 유비쿼터스 서비스 사례 연구

        류혜지 ( Hye Ji Ryu ),정태섭 ( Tae Sub Ch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가 대상인 SF 영화 속에서 나타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종류를 파악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미래 사회에서 우선적으로 적용 되어야 할 유비쿼터스 서비스들의 종류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SF 영화를 대상으로 한 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안전성, 편리성, 건강성, 쾌적성, 정보성, 경제성, 사회성, 오락성으로 분류하였고, SF 영화는 A.I., I Robot, The Island, The Moon, Minority Report, Bicentennial Man 6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공간은 주거환경, 상업환경, 공공환경 3가지로 구분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환경 속의 서비스는 편리성, 안전성, 오락성, 건강성과 쾌적성, 정보성, 경제성과 사회성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상업환경 속에서는 안전성과 편리성, 정보성, 건강성 순서로 4가지 종류만 나타났다. 셋째, 공공환경 속에서는 편리성, 안전성, 정보성, 쾌적성과 사회성과 오락성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영화 내용에 따라서 표현되는 공간의 종류와 서비스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영화 속의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미래의 유비쿼터스 사회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biquitous service for future society by investigating SF films. The study methods were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The ubiquitous services were divided into security, convenience, wellness, comfortableness, information, economic, social and entertainment. The target films were A.I., I Robot, The Island, The Moon, Minority Report, and Bicentennial Man. The results of ca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residential environments, convenience, security, entertainment, wellness & comfortableness, information, economics & sociality service were found as in order. Second, in commercial environment, convenience & security, information and wellness were found as in order. Third, in public environments, convenience, security, information, comfortableness & sociality, entertainments were found as in order. Finally, according to movie content and services, there were different kinds of ubiquitous service. To analyze the ubiquitous service in the SF film can provide efficiently the ubiquitous service in the future ubiquitous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