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논에서 분리한 benomyl 저항성 벼키다리병균의 beta-tubulin 유전자 변이 분석

        류현주(Hyunjoo Ryu),이재금(Jae Geum Lee),강은혜(Eun Hye Kang),홍성기(Sung Kee Hong),최효원(Hyo-Won Choi) 한국농약과학회 2024 농약과학회지 Vol.28 No.1

        In a previous study, 31 strains of sensitive, moderately resistant, and resistant to benomyl Fusarium fujikuroi were isolated from paddy fields in Korea. Analysis of the sequence of genes encoding β-tubulin protein, the mode of action point in response to benomyl, was performed on Korean isolates of F. fujikuroi to confirm differences in the sequences. The isolates that showed moderate resistance to benomyl had a mutation of the 200<SUP>th</SUP> amino acid codon from TTC (Phenylalanine) to TAC (Tyrosine), and the 235<SUP>th</SUP> amino acid codon from GGC (Glycine) to GGT (Glycine) compared to the benomyl sensitive isolates (F200Y, G235G). In the case of resistant isolates, replacement of amino acid codons 167 and 235 with TAC (Tyrosine) from TTC (Phenylalanine), and GGC (Glycine) to GGT (Glycine), respectively (F167Y, G235G),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genetic differences, specific primers for detecting the benomyl sensitive, moderately resistant, and resistant isolates were designed, an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products of the expected size (sensitive 486 bp, moderately resistant 211 bp, resistant 217 bp) were amplified only in target isolates. In this study, the substitution site of the amino acid codon was identified by conducting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base sequence of benomyl sensitive, moderately resistant, and resistant isolates. In addition, by developing specific primers manufactured using the differences described above, a rapid and accurate method for screening benomyl resistant isolates of F. fujikuroi that will enable rapid monitoring for development of fungicide resistance in F. fujikuroi isolates from paddy fields in Korea was established.

      • KCI등재
      • KCI등재

        다중형식 서사의 비선형성 : 영화의 분기구조

        류현주(Hyun-Ju Ryu) 신영어영문학회 2006 신영어영문학 Vol.35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linear narratives with focus on bifurcating structure in films, Groundhog Day(1993) and Sliding Doors(1998). Nonlinearity is characteristics of computer mediated narratives such as hyperfictions and computer games even though it is not just uniquely limited to these digital media narratives. The case in point is forking paths in conventional narratives including printed novels and films. There is no unanimous definition on nonlinearity but there can be an agreement that it refers to narrative structure telling a story against a straightforward way. Among them are different point of views or non-chronological arrangement of events, which have been often touched upon by scholars on narratology. However, narrative bifurcation has yet to be fully researched. This research examines how chronological presentation of events show stories nonlinearly with forking paths in the two films. These narrative texts have different outcomes with variations on the same events: five in Groundhog Day and two in Sliding Doors.

      • KCI등재

        (비교)문학과 번역학

        류현주(Ryu, Hyun-Ju) 신영어영문학회 2012 신영어영문학 Vol.53 No.-

        This study explores ‘rewriting’ of a literary text in terms of two interpretations, post-modern views and language translation under a big framework of literature studies and their evolution. Rewriting has been studied as re-interpretations of existing literary texts in literature and as a skillfully manipulated text in another language of an original (language) text in translation. In a broad sense, these two approaches concern relations or intertextuality among different literary works including translated texts. Literary theoreticians and comparative literary scholars are translators themselves as are the cases in Spivak, Bassnett and Lefevere, to name a few. A translated text in literature studies should be redefined with the following points in mind: readers meet translated texts first, not original texts in foreign languages; a translator is not merely a language transferrer; and rewrites are not immune to various constraints inside and outside of a text.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문학과 언어 : 문학의 주검과 매체 다각화

        류현주 ( Hyun Ju Ryu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2

        본 논문은 매체의 다양화로 기존 예술 장르가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제기되는 문학의 죽음을 연구한 것이다. `매체`란 광범위한 의미로 도구, 매개 기능, 미디어 그리고 장르의 뜻까지 함축하여 사용하였다. 희곡 시나리오에 글로 쓰인 언어 매개는 같은 언어이기는 하나 말로 발화되는 매체로 변환되어 공연되면 연극이라는 다른 장르가 되듯이 매체는 이야기를 다른 장르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새로운 매체는 기존 매체를 `재매개`하는 것이다. 또한 이는 서사라는 것이 말과 글에 국한된 이야기의 한계를 넘어 `서사란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문학 죽음의 원인으로 흔히 영상 문화로 인한 독서 인구 감소를 말한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은 문학의 죽음보다는, 매체의 다각화와 콘텐츠의 다양화를 통한 이야기 향유 방식의 선택폭을 넓혔고, 문학의 외연을 확대하였다. 문학의 한계라고 간주된 매체인 언어가 애니메이션, 만화, 나아가 영화에도 들어있듯이 문학의 죽음을 논하는 사람들에게 이와 같이 문학은 다양한 양상의 콘텐츠를 통해 환생하고 있다. 장르와 매체, 그리고 기법이 다양해진 대중 문학, 순수 문학, 장르 문학, 전자(컴퓨터, 디지털) 문학 등, 여전히 문학이라는 것은 친근한 이야기보따리이다. 그것이 어떠한 형태를 취하든 문학의 중심에 일반 대중을 두지 않고 논할 수는 없다. 문학 가치와 대중적 인기가 동의어는 아니나, 근본적으로 독자 없이 문학이 어떻게 존재하겠는가. 사회 변화에 따라 작가의 무한한 상상력, 새로운 시도, 그리고 다변화되는 독자들의 취향 덕분에 문학의 지평은 확대되고 진화되어 왔다. 작가와 이론가들이 논의한 `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는 `무엇이 문학을 문학으로 만드는가`하는 문학성(literariness)에 대한 문제였다. `문학이 왜 필요한가`라는 논의는 지금까지 합의점을 찾기는 힘들다. 문학을 둘러싼 질문들이 매우 추상적이고, 개인적이어서 부단히 논쟁을 생산한다. 그러나 독자들에게 문학은 `글`에 몰입하여 이야기를 즐기는 하나의 이야기 향유 방식이기에 문학은 계속 건재하다. 문학이란 `글로 표현된 예술`이라는 일반적 정의에서, `글`이라는 것도 사실 무엇인가를 읽고 쓰는 `문文`이다. 영어에서도 문학 `literature`과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 즉 식자 (識字) 정도를 나타내는 `literacy`는 어원이 모두 글을 뜻하는 `littera`로 같다. 그러나 `文`의 도구, 즉 기술적 측면 이전에 문학이란 `이야기`를 언어로 나타내는 예술 분야인 것이다. This article addresses controversial obsolescence of literature on the grounds that the age-old artistic genre evolves over different medium: I use this term `medium` in a broad context, encompassing tool, mediating function and media, even genre occasionally. Language, the basic tool of literature, can be considered medium and written words in drama can be converted into another medium(speech in stage performance) where medium mediates a story to q different genre. This can be also interpreted as "remediation"(Bolter & Grusin 1999) of a story with different medium. This is what medium is about in a sense of "narrative as a display"(Leitch 1986). Literature survives new technology to this time and actually thrives by expanding its horizon through different contents. Cultural contents projects are case in point in Korea. The contents industry has been nourished through increasing number of storytelling contests where literature (children`s story, essay, novel) is always included, not excluded from other contents medium such as animation, comic strips with storyboards and scenarios. To those who argue death of literature, literature is revived through diversified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플래그쉽 스토어를 통한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소비자-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이웨어 브랜드 젠틀몬스터 사례를 중심으로-

        류현주 ( Hyun Ju Ryu ),이연준 ( Youn J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경험의 다면적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접점공간인 플래그쉽 스토어에서 브랜드 경험 전략 요인들이 브랜드와 고객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브랜드 경험의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경험의 5가지 요소를 추출하였고, 이 요소가 브랜드 태도와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행동 경험과 관계 경험이 브랜드 태도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리적 참여인 행동 경험이 고객에게 큰 만족을 주며 플래그쉽 스토어 내의 다양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개인 블로그 등에 올리는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 경험으로 확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인지 경험과 관계 경험이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 경험의 시각과 촉각 요소가 고객의 심리적 참여로서 인지 경험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경험의 호의적인 태도가 관계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경험의 5가지 경험 요인이 모두 총체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또한, 강력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를 위해 플래그쉽스토어 내의 인지, 행동, 관계 경험을 강화하여야 하며 브랜드 경험으로써의 고객 참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empirically how strategic factors of a flagship store`s brand experience, which account for various perspectives of experience as a point of contac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nd customer. Through prior research, five elements of brand experience - sensory, sensibility, cognition, behaviour, relate - were elicited and surveyed to see how these elements impact on brand attitude and loyalty. From the results, first, behaviour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attitude. The results explain that behavioural experience in terms of physical engagement affords customer satisfaction. Then, this experience can be extended into a social relationship through sharing diverse contents in a flagship store via a social networking service or personal blog. Second, cognitive and relational experie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royalty. Visionary and tactile elements, in terms of sensory experience, influence cognitive experience as customers` psychological engagement and favourable attitude towards such an experie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al experience. This paper suggests that five experiential elements of brand experience need to be utilized holistically. In addition, for a strong brand attitude and loyalty, cognitive, behaviour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in a flagship store need to be reinforced and customers` engagement with a brand experience is required.

      • KCI등재

        안젤라 카터의 『피로 물든 방』에 나타난 늑대 모티프

        류현주(Ryu, Hyun-Ju) 신영어영문학회 2014 신영어영문학 Vol.57 No.-

        This paper explores a wolf motif in Angela Carter’s The Bloody Chamber with focus on wolf trilogy-The Werewolf, The Company of Wolves, Wolf-Alice. A wolf is a symbol of animal desire. He lingers not only in a forest but also in a girl’s mind. Therefore, a girl/woman is always destined to face a wolf in a forest called a society full of rape and violence. The Bloody Chamber is a gem of Carter’s innovative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In the trilogy, Carter twisted Little Red Riding Hood to show the latent meaning of the story. In the three rewrites of the tale, a girl is not a typical helpless victim sacrificed to a wolf. She is wise and strong-minded enough to fight against a wolf with her knife in a forest. She grows even empowered to tame a wolf and enjoy being together with him in her adolescent age with a help of a red hood, literally and figuratively.

      • KCI등재

        문학의 진화: 경계와 소진 그리고 발전

        류현주 ( Hyun Ju Ryu ) 現代文學理論學會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7

        본 논문은 문학의 경계를 문학의 안과 밖 차원으로 나누어 어떻게 경계 허물기 노력들이 이루어졌는지를 탐구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어떻게 컴퓨터 매체가 문학 창작에 도입되어 작가들의 창작 고뇌와 아이디어의 소진에 돌파구를 마련했는가를 살펴보고, 그 결과 탄생한 새로운 형식의 문학과 서사가 문학 발전에 제공한 기회와 도전을 국내외 사례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문학 밖과의 경계를 넘나드는 노력으로서, 문학과 예술, 즉 영상, 음악, 무용 등 다른 장르와의 만남 사례들을 살펴보고, 문학 내부의 경계로서는 그 동안 본격 순수 문학과 장르 문학으로의 구분과 쌍방향 서사 발전의 문제를 진단해 보았다. 전자의 경계 허물기는 주로 문학을 영상에 담거나, 음악가와 문학인의 창작적 영감 교류, 그리고 문학과 미술의 만남을 통한 ''문학 전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후자의 노력은 컴퓨터 매체 활용에 도움을 받아 PC 통신, 온라인에서 장르 문학이 활발하게 발표 및 유통됨에 따라 이것이 오프라인 출판계와 문학계 전반에 장르 문학 재조명 계기를 마련하였다. 컴퓨터 매체 부상에 따라 인쇄책과 문학의 종말 혹은 죽음이 예견되면서 미국 작가들을 중심으로 쌍방향 서사의 서막을 알렸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장르 문학, 특히 판타지 문학이 활성화되고, 이것이 게임 문학 혹은 경계의 문학으로서 부상하였는데, 문학 자체보다는 컴퓨터 게임과의 밀접한 연계성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연구 풍토에서는 컴퓨터 매개 디지털 문학과, 게임, 그리고 판타지 문학을 항상 동일 선상에서 파악한다. 그 결과 문화 산업 육성에 따른 콘텐츠 개발에서 문학으로서의 장르보다는 게임 문학으로서의 장르 문학이라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장르 문학이 주목 받는 듯 보이지만, 사실상 게임 시나리오 성격으로만 존재하는 장르 문학의 문학적 위상에 대한 고민을 안겨 주었다. 결국 이와 같이 문학 안팎 장르의 만남과 경계를 넘나드는 시도에 따라 창작자는 컴퓨터 나아가 스마트 기술을 통해 새로운 문학을 시도하며 문학은 계속 시대를 거듭하며 진화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current trend of cross border efforts of literature: ''meeting'' different genres including music, art, dance and other performances(extra-literary meeting) and blurring the demarcation of genuine literature and genre literature as well(intra-literary meeting). Computer media has transformed literature which heralded e-book, interactive narratives such as hyper fictions and games, in particular, ARG. Writers often dubbed this sea change as the end of books and death of literature. Korea also witnessed increasing release and growing popularity of genre literature in PC communication network before the introduction of WWW int past and online now. Amid this backdrop, genre novels, especially fantasy genre is considered synonymous with computer-based digital literature, which in turn becomes a source of computer games in the context of Korea. That's why game scenarios are even called as ''game novels.'' All these new forms or buzzing sounds such as ''the end'' and ''death'' reflect challenges facing novelists as they realized their ideas were exhausted. Yet this is the main booster and contributor to further literary 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