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国憲法訴訟における憲法判断手法

        류지성 유럽헌법학회 2013 유럽헌법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일본에서 위헌심사의 수법(방법)으로서 어떠한 심사방법을 취하고 그 결과로서 어떠한 형식을 빌어 위헌선언을 하는가를 살펴봄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국과 달리 미국식의 부수적 위헌심사제를 취하고 있는 일본에서의 위헌심사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 문제가 되는 변형결정을 둘러싼 다툼이나 재판에서는 승소하고 권리는 구제받지 못하는 사태에 대한 해답의 단서를 찾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소박한 기대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최고재판소를 위헌결정의 정점으로 하여 일반법원에서 위헌심사를 행하는 일본의 위헌심사제는 헌법적 질서의 유지라는 가치보다는 개인의 주관적 권리보호라는 가치를 보다 우선시 함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법령위헌이나 적용위헌 내지는 처분위헌, 운용위헌이라는 위헌심사방법에서 보인다. 삼권분립의 견지에서 입법부가 제정한 법률에 대한 위헌판단을 최대한 숙고하고 선출되지 않은 권력에 의한 선출된 권력의 견제를 소극적으로 표출하는 일본의 사법권은 신중해 보인다. 그러나 개인의 주관적 권리구제와 헌법적 질서의 유지라는 가치는 배타적인 관계에 있지 않고 공유되는 부분인 만큼 최고재는 보다 적극적으로 위헌심사에 나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의 재판소가 선고하는 방식인 법령위헌이나 적용위헌 등의 구분은 학자마다 그 해석에서 미묘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고 적지 않은 문제점도 노정하여 왔다. 따라서 그 실상을 살피고 또한 그 문제점을 고찰해 봄으로서 우리에게 보다 잘 맞는 위헌판단방식을 찾음에 작으나마 단서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과 한국의 위헌심사의 결과를 단적으로 비교하자면 한국에는 법령위헌의 수법이 거의 채용된다고 할 것이다. 한정위헌 혹은 한정합헌이라는 수법이 있지만 극히 자제되고 있고, 대법원과의 마찰이 끊이지 않는 방식이며, 법령의 일부위헌판결로 봄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런점에서 일본의 적용위헌이라는 판단수법은 참고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도 구체적 규범통제를 취하고 있는점과 법령에 위헌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 사건에서 문제시되어 그 법령의 일부 혹은 전부가 무효가 된다면 입법권에 대한 침해 문제로 이어질 개연성마저도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다고하여 일본식의 적용위헌을 지나치게 고집한다면 위헌심사권 그 자체의 권위와 기능이 훼손될 것이고 법적용에 있어서의 불안정 내지는 불평등을 초래-왜냐면 적용위헌은 법개정을 요구하는 수준의 결정은 아니기 때문이다-하며 위헌적인 법령을 방치하는 꼴이 될 것이다. 일본의 경우는 법령위헌의 건수가 적다고 하여 법령위헌만을 지나치게 고집한다면 부수적 위헌심사제의 의미가 희석되고 개인의 구체적 권리구제라는 사법권 본연의 임무가 해태될 것이다. 사실 어떤 판결방식을 취하든 그것은 극명하게 당해 법령이 위헌으로 보이지 않는 이상, 법기술적인 측면이라기 보다는 위헌판단으로의 의지에서 표출되는 것으로 볼 것이다. 어쨌든 개인의 권리구제에 일의를 두고 권력분립의 테두리 내에서 나름의 심사권한을 꾀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위헌판단의 방법을 견출해 내고 있는 일본의 태도는 충분한 고려의 가치가 있다. 개인의 권리구제와 헌법질서의 확립이라는 기본가치는 어떠한 위헌심 사제를 취하고 있는가의 여하에 관계없이 함께 이루어져 가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 어떠한 경우에 어떠한 심사방식을 취하는 것이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고 헌법적 질서를 옹호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을 판단의 궁극적인 목적에 두어야만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 of judicial review of unconstitutionality is adopted in Japan and, as a result, in which form the unconstitutionality declaration is made. I started this research from a simple expectation that, through examining the aspects of judicial review in Japan, where, unlike Korea, collateral judicial review of unconstitutionality like that in the US, we may find out a clue to the answer to the problems in Korea: the situations where a person wins his or her case in a suit or dispute with respect to the modified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but any remedy for the infringement on his or her right at issue is not provided. We can find that, in judicial review of unconstitutionality in Japan, the value of protection of individuals' subjective rights is given priority than that of preservation of constitutional order. This can be found in the ways of judicial review: un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unconstitutionality of application; unconstitutionality of disposition; and unconstitutionality of implementation. From its perspective of separation of powers, Judiciary of Japan having appears to be cautious in making an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because: it consider carefully when it delivers an unconstitutional decision against statutes enacted by the legislature; and it passively keep the elected power from abusing power by non-elected power. However, in my view, the Constitutional Court of Japan should take more active stance in making its judicial review of unconstitutionality since the values of remedy for infringed subjective rights of individuals and preservation of constitutional order are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but can be gained together, With respect to the classification of un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and unconstitutionality of application and the ways of pronouncement of judgment in Japan, each scholars shows subtle distinctions in their construction and not a few problems have been revealed so far. Thus, if I examine the realities and explore such problems, I would find a clue to desirable method of judicial review on unconstitutionality which would be best suited for our country. Directly comparing the results of judicial review on unconstitutionality in Korea to those in Japan, it can be said that there exists only way of judicial review on unconstitutionality- the one on statutes- in Korea. While there is a decision of partial unconstitutionality, such decision has been rarely delivered and controversial due to conflict with the Supreme Court, making such decision deemed as a decision on partial un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In that sense, I think that judicial review on unconstitutionality of application used in Japan has value to be referred. In Korea, concrete norm control is taken and it is probable to end up with the invasion of legislature's right to legislation if the entire or part of a statute becomes invalid when it is problematic in a concrete case with no problem in the statute, However, even so, if we excessively insist to use judicial review on unconstitutionality of application, the authority and function of the right to judicial review will be damaged and it will bring about unstability or unequality in applying laws because judicial review on unconstitutionality of application is not a decision requiring amendment of statutes, which will lead to leave unconstitutional statute as it is. In case of Japan, if they excessively insist to make judicial review on constitutionality of statute in light of small number of unconstitutional statutes, the spirit of subordinate judicial review decays and, thus, the remedy for violation of individual right, intrinsic obligation of the judiciary, will not be performed. In fact, whatever way of judicial review is taken, it will be considered as expression of the Court's willingness to make a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rather than as technical matters of law.

      • KCI등재후보
      • Humic acid가 카드뮴 어독성에 미치는 영향

        류지성,정규혁,최필선,이길철,최덕일,최성수,류홍일,박광식 한국환경독성학회 1998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13 No.1

        Cadmium, a major aquatic pollutant in many parts of the world, is toxic and readily accumulated in aquatic organisms. It mainly exists in water as complexes with organic ligands such as dissolved organic carbon and this complexation is known to have effects on the aquatic toxicities. In this study, acute toxicity, histology, and bioaccumulation were studied to evaluate effects of humic acid on cadmium toxicity and bioavailability to fish using Oryzias latipcs and Cypriruts carpio. 96h~LC50 of cadmium was 6.38 mg/L using Oryzias latipes. However, the mortality showed the dose-dependent decrease when humic acid was added to the test solution. When fish were exposed to 5 mg/L of cadmium, histological changes in the exposed organs (caudal fins, gills, kidney, liver, and gut) of Cyprinifs carpio were decreased by humic acid, especially in kidney and liver. Bioaccumulation of cadmium also decreased by treatment of humic acid. It seems that the formation of complexes between cadmium and humic acid may decrease bioavailability of cadmium to fish, and thus reduce the toxic effects of cadmium.

      • SCOPUSKCI등재

        17$\beta$-Estradiol이 수컷 송사리의 성적 행위 및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류지성,이철우,박응로,남성숙,남규찬,류홍일,전성환,나진균,최덕일 한국독성학회 2001 Toxicological Research Vol.17 No.2

        Sexual behavior and reproductivity of male fIsh were studied as an in vivo screening method of endocrine disruptors. Male medaka (Oryzias latipes) were exposed to 17$\beta$-estradiol at nominal concentrations of 2 and 20 $\mu\textrm{g}$/l for 14 days. After exposure of the chemical, sexual behavior between male medaka and normal female which were injected with prostaglandin $F_{2\alpha}$ just before the test, was analysed by using video camera for one hour. Normal control male showed courtship dancing such as following, guarding, dancing and crossing while 17$\beta$-estradiol treated male did not show any type oj courtship dancing. Furthermore, fecundity and fertil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reated group. It was suggested that analysis of sexual behavior could be a useful endpoint for the screening of the endocrine disruptors.

      • KCI등재후보

        한국 역대 정권의 대북 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류지성 한국동북아학회 2005 한국동북아논총 Vol.10 No.2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unification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s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Factors affecting the reunification policies of the governments were many: it could be found not only in the national politics, but also in the international politic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consideration of those pivotal factors affecting the policies, we tried to construct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comparative study. In comparing the policies of the Korean regimes, we considered three different levels of dimensions such as institutional, behavioral, and functional. The specific comparison strategy adopted in this study was "most similar system comparison design." Inter-systemic similarities and inter-systemic differences are the focus of the design. Within-system variations were explained in terms of systemic factors such as institutional, behavioral and functional dimensions. The number of common characteristics sought was similarity and the number of not shared characteristics sought, difference. We gathered data about the reunification policies of the governments, and analyzed in terms of such a comparative strategy. We actually arrived at some conclusions that we found not only some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shared by the governments, but also some of the differences, not shared characteristics in the reunification policies of the Korean regim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역대정권의 대북 정책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한국 역대정권의 대북 정책은 한국 사회의 시대적 특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한반도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국제정세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한국 역대 정권별 대북 정책은 단일한 차원보다는 가능한 모든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역대정권의 대북 정책을 제도ㆍ행태ㆍ기능적 측면을 고려하여 유사체제연구설계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할 때, 측정의 기준이 되는 제도ㆍ행태ㆍ기능적 범주는 논리적으로는 구분되나 실질적인 자료의 수집과 분석과정에서는 분리되어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러나 가능한 비교연구모형에 준하여 충실히 자료를 수집ㆍ분류하여 비교ㆍ분석하였으며, 한국 역대정권의 대북 정책에 대한 동질성과 이질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 역대정권의 대북 정책에 대한 동질성은 먼저 모든 정권이 통일의 당위성에 입각하여 대북 정책을 추구하였다는 것이며, 다만 정권별로 제도의 동질성이 행태와 기능의 동질성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정권의 속성은 대북 정책의 행태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셋째, 대북정책의 실질적인 효과는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는 정부의 행태에 크게 좌우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산업정책에 관한 연구 - 정책공동체(policy community)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

        류지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3 No.1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governmental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capacity of the culture technology industries. By reviewing the past relationships between the government and industry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we have arrived at some of the lessons about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The newly revised government and high-technology-based industry relations should be reformed in order to make the industries efficiently operated and competitive especially internationally. We have suggest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relationship by considering the policy communit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es. The policy community i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each of which, we considered were specifically, (1) research institutes for collecting data, market analysis, and gathering informations for the industries, (2) financial institutions, (3) professional groups for advising and sharing the technologies to the industries, and (4) education institutes for providing skilled personnels. Because these policy community does not effectively interrelate each other, we suggested that government should play pivotal roles in connecting these four dimensions of the policy community. The policy networking is necessary for the industries to be more effectively work together. The roles of government then provide some of the ways in which the policy community working interactively. By way of conclusion, we suggest some of the ways in which the government make the industries much more productive and competitive in the world markets.

      • KCI등재

        한국사회의 네트워크화와 직접 민주주의 가능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류지성 한국동북아학회 2008 한국동북아논총 Vol.13 No.4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tentials of direct democracy in the age of network society in Korea. The study of governance networks is a novel research field that is founded on the discovery of non-hierarchical forms of governance based upon negociated interaction between a plurality of public, semi-public and private actors. The construction of, or reliance upon, governance networks is by no means a new phenomenon. Although many issues of governance have applications in many different kinds of political systems, our focus is on democracies, especially a network democracy. We first of all tries to conceptualize the concepts of democracy by examining the essential natures of it. The first kind of essential nature of democracy is a commitment to personal liberty and individual responsibility in its exercise. A second essential part of the democracy is the idea of popular sovereignty and political equality. A third essential nature is faith in the role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human reason in human affairs. A fourth essential part of the democracy is an emphasis on procedural reliability and stabilty, on the rule of law and the regulation of arbitrary power. We also discuss about the evolutions of the democratic concepts: classical democracy;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networks democracy. Our interests, of course, were given to the networks democracy. We have arrived at some conclusions that the political order came to be seen as a matter of choice, based on human will, calculation, and power, and society came to be seen as a collection of independent individuals bound together by concent and contract, especially setting up the direct democratic political systems in consideration of networks society.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에 따른 직접 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을 한 마디로 언급하기는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아마도 직접 민주주의가 가지고 있는 다의성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사회에 따른 직접 민주주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먼저 민주주의를 개념화하여 민주주의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개인의 자유와 책임, 주권과 정치적 평등, 합의된 사회적 신념으로서 민주주의, 민주적 절차와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으로 나누어 구체화 하였다. 민주주의는 다의적으로 해석되고 구성되는 만큼, 특정 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은 그 국가의 정치제도에 반영되어 독특한 거버넌스를 창출해 낸다. 민주주의도 하나의 거버넌스 유형으로 시대에 따라 달리 해석되어 진화되어온 문화적 유산이다. 따라서 민주주의는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로 완성되는 고전적 민주주의 유형으로 부터 대의 민주주의라 일컬어지는 정기적이고 경쟁적인 선거를 통해 민주적 기본요소를 실현해 나가는 유형으로 진화되어 왔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민주주의의 진화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의견수렵방식의 획기적 전환을 계기로 새로운 민주주의를 모색 가능케 하였고 본 논문은 그 가능성을 민주적 기본원리에 준해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 사회에서 민주주의 재발견은 단지 과학적 기술에 의해 자동으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민주적 기본원리를 네트워크를 통해 실천하려는 의지에 달려 있다고 생각된다. 즉 네트워크 사회가 민주주의에 미치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감안해 민주적 기본 원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구체화하여 총체적으로 새로운 민주주의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유추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